물씬 피어나는 꽃내음과 함께 봄기운이 완연한 4월의 첫날이 찾아왔습니다. 겨우내 움츠렸던 마음과 몸이 따스한 햇살에 녹아들고, 새싹처럼 다시 피어날 희망과 설렘으로 가득 차오르는 이 계절은, 새로운 시작을 다짐하기에 더없이 좋은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재미있는 생태학의 기본 개념 2부-개체군, 군집,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이번 수업에서는 생물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개체군과 군집의 개념, 그리고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에 대해 배워보았습니다. 경쟁, 포식, 기생, 그리고 공생(상리공생과 편리공생 등)처럼 다양한 생물 간의 관계를 살펴보...
2025-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4주차 이론 강의 주제는 ‘생태학의 기본 개념’입니다. 생태학의 정의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양한 해석이 존재합니다. 김종성 선생님께서는 생태학을 자연현상의 규칙성과 불규칙성을 구분하는 과학적 연구라고 설명하셨습니다. 생태계의 영양 구조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분됩니다. 생산자에는 식물, 소비자에는 동물, 분해자에는 박테리아가 해당되는데요, 이렇게 분류하면 이해가 좀 더 쉬우실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 종이 총 몇 종이나 되는지 아시나요? 2021년 기준으로 총 56,248종의 생물...
2025-03-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개강한 지 어느덧 3주 차가 되었습니다. 아침에는 눈이 내렸으나 수업이 시작될 무렵, 봄의 기운이 점점 더 느껴졌습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해양환경과 생물의 적응에 대해 배웠습니다. 해양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 요소인 빛, 수온, 염분 조건과 이러한 환경에서 생물이 어떻게 적응하는지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먼저, 빛 환경에서는 광합성에 이용되는 빛을 나타내는 PAR(광합성활성복사)와, 이중 식물에 의해 흡수된 빛 에너지를 의미하는 PUR에 대해 배웠습니다. 수온과 염분에 대해서는 위도와 계절에 따른 수직 분포 및 변화 과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2025-03-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따스한 봄바람이 불어오는 3월, 우리는 두번째 생물해양학 및 실험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해수의 특성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물의 특성, 그러한 물을 담고 있는 바다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해수의 물리적 성질인 밀도, 수온, 염분, 투명도 등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해수의 온도, 압력, 염분, 광량 등은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수괴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해수의 특성은 해양 생태계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해양 생물의 생존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수...
2025-03-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새 학기가 시작되며 학생들의 설렘이 가득한 가운데, 선생님께서도 생물해양학 및 실험 수업을 시작하게 되어 기대감 넘치는 마음으로 강의실에 들어섰습니다. 첫 수업이라 다소 어색했던 분위기도 잠시, 선생님께서 "생물해양학이란 무엇일까요?"라는 질문을 던지시자 학생들의 관심이 집중되며 강의실이 활기를 띠었습니다. 생물해양학과 해양생물학의 차이에 대해 고민해 본 적이 있나요? 단순히 단어의 위치만 다른 것 같지만, 사실 두 학문은 연구 목적과 접근 방식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생물해양학은 해양 생태계를 포함한 다양한 해양 현상을 설명하는 학문이며, 해양생물학은 바다에 서식하는...
2025-03-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12-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랩세미나
2024 Benthos 연구성과보고회
2024 Benthos 연구성과보고회가 12월 13일 국립군산대학교 황룡문화관 노판순홀에서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을 비롯하여 안양대학교,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인하대학교, 충남대학교, 세종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교수님들과 학생들, 그리고 사스캐처원대학 장갑수 교수님께서 자리를 빛내주셨습니다. 행사는 서울대학교 김종성 선생님의 개회사와 국립군산대학교 권봉오 교수님의 축사로 시작되었으며, 김태우 박사님의 멋진 사회로 진행되었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Benthos 연구진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열정 있는 연구를 진행...
2024-12-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어느덧 2024년 바다과학기행 14주차 시간입니다. 오늘은 강의의 마지막 날로, 이제 기말고사만을 남겨두고 있는데요. 다음 주면 종강이라는 설레는 마음도 있지만, 선생님의 명강의를 더 이상 들을 수 없다는 아쉬움이 큽니다. 특히, 마지막 시간을 특별히 준비해주신 선생님의 정성과 맛있는 선물까지, 정말 감사한 마음으로 강의를 마무리하게 되었습니다. 오늘 강의는 Chapter 4. 숙제와 도전에서 1) 경계를 허문 융복합 해양학 연구, 2) 해양과학의 대중화 소명, 그리고 3) 바다로, 세계로, 미래로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뤘습니다. 이...
2024-12-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어느덧 종강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겨울바람이 매섭게 느껴지는 요즘, 모두 따뜻하게 지내고 계신가요? 오늘 강의는 Chapter 4. 숙제와 도전에서 1) 글로벌 해양 이슈 전망, 2) 청년 해양학도의 열정, 그리고 3) 치열했던 바다 연구 40년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뤘습니다. 이번 강의도 바다와 환경에 대한 새로운 통찰과 고민을 더해주었는데요, 오늘은 우리가 바다와 함께 걸어가야 할 지속 가능한 미래를 함께 탐구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로 다룬 주제는 글로벌 해양 이슈 전망의 해양 키워드 "C.A.R.B.O.N."이었습니다. ‘C.A.R....
2024-11-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어느덧 바다과학기행의 열두 번째 시간입니다. 날씨가 많이 추워졌네요. 모두들 건강 잘 챙기시길 바랍니다! 오늘 강의는 Chapter 3의 "개발과 보전의 화두" 중에서도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1) 기후위기 해결사 K-갯벌, 2) K-리빙-쇼어라인, 그리고 3) Blue-ESG에 대해 다뤘는데요, 오늘은 바다와 기후위기,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실천 방향을 함께 탐구해 보았습니다. 한국의 갯벌은 단순한 자연 경관을 넘어 기후위기 시대의 강력한 탄소 흡수원으로 재조명받고 있습니다. 갯벌은 연간 최대 48만 톤의 이산화탄소...
2024-11-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바다과학기행 강의를 통해 바다의 신비와 복잡한 생태계를 한 걸음 더 깊이 이해하는 귀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오늘은 특별히 이상규 교수님을 모시고, 갑각류에 대한 연구 여정을 함께 탐구하는 의미 있는 강의를 진행했습니다. 한국 해역은 약 56,000종에 달하는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세계적인 생물다양성의 중심지입니다. 특히, 게를 포함한 갑각류는 해양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갯벌 생태계 균형 유지와 영양분 순환에 크게 기여합니다. 교수님은 갯게, 칠게, 납작게, 방게 등 다양한 종의 생김새와 독특한 습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셨습니다. 특히, 한국 해역...
2024-11-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여러분! 어느덧 바다과학기행의 열 번째 시간이 되었습니다. 오늘 강의는 Chapter 3. 개발과 보전의 화두에서 1) 해상풍력발전 득과 실, 2) 스마트 혁신기술 아쿠아포닉스, 그리고 3) 해양쓰레기 이슈와 해법이라는 세 가지 주제를 다뤘습니다. 이번 강의도 우리 바다와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고민을 더해주었는데요, 오늘은 바다와 인간의 조화로운 공존을 위해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함께 탐구해 보았습니다. 첫 번째로, 해상풍력발전과 해양생태계의 공존에 대해 다루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해상풍력발전이 친환경 에너지로 떠오르고 있고, 한국 역시 ...
2024-11-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