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2022년 10월 15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5-1호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진행사항보고-항타소음 어류 행동 영향  박신영: 논문 진행사항보고-부유사 미세조류 영향  권인하: 논문 진행사항보고-메조코즘 갯벌 정화능  진가영: 논문 진행사항보고-이학석사 학위논문  송현서: 논문 발표-Nickel toxicity to benthic organisms: The role of dissolved organic carbon, suspended solids, and route of exposure  변유정: 논문 발표-Pile driving repeated...
2022-10-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수업에서는 게스트로 이상규 박사님을 모시고  거문도, 백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상규 박사님은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계시고 동물계통분류학을 전공하셨습니다. 먼저 국립공원이란 국가가 지정한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어있는 곳을 말하는데요. 이상규 박사님께서 근무하셨던 경험을 토대로 국립공원 관리공단의 주요 업무와 시스템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곳은 인적이 드물고 자연생태계가 잘 보전되어 있어서 흔히 볼 수 없는 진귀한 풍경이 많이 보인다고 하는데요. 그 예로 신안 무의도 해변에서는 달랑게 무리가 대...
2022-10-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수업에서는 이종민 박사님을 모시고 전국 서남해의 블루카본 생태계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종민 박사님께서는 현재 서울대학교 블루카본사업단 연수연구원으로 계십니다. 블루카본 생태계란 탄소 저장을 통한 기후 조절, 일차생산, 수산물 공급 및 관광 등 해양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태계로, 최근 주요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각광받고있는 생태계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인식 및 연구가 부족한 상황을 이종민 박사님께서 설명하여주셨습니다 블루카본 생태계에 대한 이해를 늘리기 위해 블루카본 생태계 후보지 중 하나인 갯벌...
2022-10-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0월 8일  학생세미나 발표 장소: 25-1호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김호상: 논문 발표-Potential Impact of Photoinhibition on Microphytobenthic Primary Production on a Large Intertidal Mudflat  권인하: 논문 발표-Phytoremediation of cadmium-, lead- and nickel-contaminated water by Phragmites australis in hydroponic systems  진가영: 논문 발표-Blood parameters an...
2022-10-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김종성 교수님과 함께 새만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새만금은 다양한 환경 단체나 학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무리한 간척을 진행하였고 그로 인해 연안의 환경이 변화하고 해양 생물 다양성이 훼손되는 결과를 불러왔습니다. 저희 해양 저서 생태학 연구실에서는 매년 정기적으로 새만금의 갯벌 생물 다양성과 생물 분포를 조사하고 간척 후 생태계 환경이 어떻게 변화 했는지 추적해 간척으로 인한 오염 실태를 밝히고자 하였습니다. 오늘 새만금 강의 또한 인간의 이익을 위해 이루어진 개발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그로 인한 부작용에...
2022-10-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인하대 하호경 교수님과 함께 무의도, 증도로 떠났습니다.  인하대와 함께 다수 방문한 증도, 무의도는 벤토스 요원들에게는 매우 친숙한 곳인데요. 그만큼 즐거운 에피소드도 많이 있는 곳입니다. 무의도와 증도에서는 저서퇴적물의 안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식의 조사가 진행됐습니다. 무어링 장비를 설치하여 엽록소와 ADCP(해수 유속)을 측정하여 퇴적물의 안정도를 파악하고자 했습니다. 주기적으로 점검이 필요한 무어링 장비를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데요. 우리의 무적 벤토스 요원들은 훌륭히 미션을 수행했다고 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
2022-10-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0월 1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진행사항보고- 항타소음 어류 행동 영향  김호상: KOSMEE 제출 논문 발표-코로나19 팬데믹 현상이 연안 생물 개체수 변화에 미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영향 고찰  박신영:논문 작성 현황- 부유사 미세조류 영향 데이터  권인하: KOSMEE 제출 논문 발표-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 및 블루카본 변화에 대한 고찰  진가영: 논문 진행사항보고- 수중소음 어류 산소소비율 영향  송현서: KOSMEE 제출 논문 발표-코로나-19 팬데믹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
2022-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김종성 교수님과 화옹호에서 뵀던 이상규 박사님, 경기만에서 뵀던 김태우 박사님을 다시 모셔서 ‘신안’으로 떠났습니다. 퍼플섬으로 알려진 반월도와 박지도가 있는 천사도에서 ‘신안 천사도 프로젝트’로 해양쓰레기 저감 방안을 모색하는 방법에 대해서 예능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삼면 사색의 무지개 바다에서 사색 중 서해는 어떤 색깔일지 퀴즈를 내셨는데요. 동해는 ‘쪽빛’ 남해는 ‘핑크빛’, 그리고 제주는 ‘짙푸른 빛’이라면 서해는? 정답은 ‘황톳빛’ 서해였습니다. 다음으로는 한국에서 해양쓰레기가 가장...
2022-09-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지난 시간 스페인에서 함께해 주신 권봉오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주제는 금강, 영산강, 낙동강 하구 입니다. 먼저, 하구란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을 말합니다. 금강하구와 가까이 위치한 곳과 멀리 위치한 곳에서 각각 그랩으로 조사해본 생물 군집입니다. 사진에서 두 사람이 끌어 올리고 있는 것이 바로 '그랩' 이라는 장비 입니다. 하구에 가까워질 수록 빈 조개껍데기와 까맣게 썩은 듯한 퇴적물이 많고 멀수록 생물이 더 잘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오늘 강의 또한 인간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이 생...
2022-09-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9월 24일 학생세미나 발표 장소: 25동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권인하: 논문발표-Tidal elevation is the key factor modulating burial rates and composition of organic matter in a coastal wetland with multiple habitats 송현서: 논문발표-An index to assess the health and benefits of the global ocean 변유정: 논문발표-Boat noise impacts Lusitanian toadfish breeding...
2022-09-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김종성 교수님의 제자이신 이창근 박사님을 모셔서 태안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2007년 비극적인 기름 유출 사고로 황폐화된 바다에서 어떻게 현재의 건강한 모습으로 돌아올 수 있었는지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원유 유출 사고의 참상과 복구하려는 노력, 그리고 10년 동안의 피해 환경의 관리 및 조사를 알아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복구 작업의 실패와 성공, 그리고 사고 이후 미래 피해 저감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작 및 대책을 설명하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원유 유출 사고의 양상을 더 자세히 연구하여 생물에 대한 원유 유출의 영향 평...
2022-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서울대 해양 연구소 책임 연구원이신 이상규 박사님을 모셔서 화성과 남양만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2003년 남양만에 간척이 진행되면서 갯벌 면적이 줄어들었고 거기서 사는 많은 생물들이 영향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남양만 간척 피해 현장을 조사하고자 김종성 선생님의 은사님이신 고철환 선생님과 독일의 Kellerman 교수님이 함께 답사를 다녀왔습니다. 특히 이매패류가 대부분 폐사하는 사진을 보며 간척 및 서식지 파괴의 심각성을 느끼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화성 갯벌에서는 블루카본 조사를 진행했습니다. 블루카본이란...
2022-09-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