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2주차 실습 내용은 “저서미세조류의 동정”입니다. 먼저 저서미세조류(microphytobenthos, MPB)는 그 동안 저희 실험실에서 여러 번 소개해드렸던 생물로, 전 세계 해양에서 일차 생산량의 20%까지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는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높은 생산성을 보이기 때문에 특별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Kwon et al., 2020). 생산성이 높다는 것은 같은 양이라도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더 많이 흡수한다는 의미이고, 그 탄소는 고스란히 갯벌에 저장될 것이기 때문이죠. 또한 저서미세...
2023-03-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생물해양학 및 실험 1주차 강의는 김종성 선생님의 인사말과 함께 본 강의의 이름인 “생물해양학”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소개하였습니다. 바다를 탐구하는 학문인 해양학은 생물, 화학, 물리, 지질 등 다양한 분야들을 아우르고 있는데요, 본 강의는 그 중에서도 해양생물의 생태, 분포, 특성을 통해 해양을 공부하는 학문입니다. 또한 본 강의는 김종성 선생님의 이론 수업에 이어 조교들과 함께하는 실습 수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실습의 주제는 주차별로 달라지며 저서미세조류, 해조류, 염생식물, 중형저서동물, 해면동물, 자포동물, 연체동물(군부, 복족류, 이매패류), 절지동물, ...
2023-03-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2월 18일 학생세미나 발표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Effect of biological and anthropogenic habitat sounds on oxidative stress biomarkers and behavior in a key crab species 김호상 : USE OF GLUCOSE BIOSENSORS TO MEASURE EXTRACELLULAR GLUCOSE EXUDATION BY INTERTIDAL MICROPHYTOBENTHOS IN SOUTHERN TASMANIA1 박신영: Insights int...
2023-02-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2월 11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5-1동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진행사항보고 – 항타소음 어류 행동 영향  김호상: 논문진행사항보고 – 이학박사 학위논문  박신영: 논문진행사항 보고 – 부유사 미세조류 영향  권인하: 논문진행사항보고 –메조코즘 갯벌 정화능  진가영: 논문진행사항보고 –수중소음 생리 영향  송현서: 논문작성계획-이매패류 부유사 노출 영향  변유정: 논문작성계획-이매패류 수중소음 노출 영향  서우성: 논문 발표-The effect of biomass variations of Spartina alterniflora on t...
2023-02-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환경보건국제심포지움에 오시는 환경보건학과 객원교수로 계신 벨기에 Antwerp 대학의 환경보건학자 Adrian Covaci 교수님께서 2023년 2월 7일 10시~11시에 학생 특강을 하셨습니다. Adrian Covaci 교수님은 현재 환경 독성학과 화학 교수로 계시며, 분야는 “Application of advanced mass spectrometric techniques to the human exposome”, “Human biomonitoring of emerging contaminants”, “Metabolomics and human metabolism...
2023-02-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2월 4일  학생세미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발표-Behavioural responses of wild Pacific salmon and herring to boat noise  김호상: 논문 발표-Benthic primary production in emerged intertidal habitats provides resilience to high water column turbidity  박신영: 논문 발표-“Fishcide” effect of the fungicide difenoconazole in freshwa...
2023-02-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1월 28일  학생세미나 발표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박신영: 논문진행사항 보고 - 부유사 미세조류 영향 변유정:  실험계획 발표 - 차년도 해평 이매패류 실험 계획(측정항목, 실험종 등 선행연구 리뷰) 서우성: 논문발표 – "Changes in the elemental (C, N) and isotopic (δ13C, δ15N) composition of estuarine plants during diagenesis and implications for ecological studies"
2023-01-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1월 14일, 연구실에서 학생들이 공부한 논문들을 서로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세미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발표 - Impact of underwater noise on the growth, physiology and behavior of Micropterus salmoides in industrial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s 김호상: 논문발표 - Colonisa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by primary produc...
2023-01-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1월 7일, 연구실에서 학생들이  준비한 자료를 가지고 논문에 대해 서로 공유하며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진행사항보고 – 항타소음 어류 행동 영향 김호상:  논문진행사항보고 – 이학박사 학위논문 박신영: 논문진행사항보고 – 부유사 미세조류 영향 권인하: 논문진행사항보고 –메조코즘 갯벌 정화능 진가영: 논문진행사항보고 –수중소음 생리 영향 송현서: 논문발표 –Large-scale monitoring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persistent t...
2023-01-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2월 31일, 연구실에서 학생들이 공부한 논문들을 서로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는 세미나 시간을 가졌습니다. 발표장소: 25-1호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발표 - Commercial cuttlefish exposed to noise from offshore windmill construction show short-range acoustic trauma 김호상: 논문발표 - Contribution of unvegetated tidal flats to coastal carbon flux 박신영: 논문발표 - Specific...
2022-12-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981년 고철환 교수님께서 시작하신 Benthos의 역사가 시간이 흘러 40여년 기억으로 쌓였습니다. 2022년 12월 14일 오후 5시 30분, 서울대학교 글로벌공학교육센터(38동) B1 다목적홀에서 2022년 연구성과보고회에 이어 Benthos 40주년 기념행사가 개최되었습니다. 벤토스 1기의 지도교수님이신 고철환 서울대 명예교수님께서는 1981년 부임하셨고, 세계에 K-갯벌을 알리셨습니다. 현재 벤토스 2기를 이끌어나가고 계신 김종성 교수님께서는 고철환 교수님의 후임으로 2012년에 부임하셨습니다. 서울대학교의 김종성 교수님을 중심으로 안앙대학교의 류종성 교수...
2022-12-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2022 Benthos 연구성과보고회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벤토스 연구실 선배님들과 군산대, 안양대, 한국해양대, 충남대, 인하대, 세종대 교수님들과 학생들, 그리고 먼 외국에서 찾아온 교수님들께서 참석해 주셨습니다. <2022년 연구성과보고회 단체 사진> 이번 연구성과보고회에서는 지금까지의 성과가 기록된 책자들이 준비되어 Benthos의 역사를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습니다. <책자를 보고 계시는 김종성 선생님> 선생님의 환영사와 함께 행사가 시작되었고 각 방의 교수님 및 방장들이 한 해의 성과를 발표하는 시간이 ...
2022-12-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