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 탈탄소화 정책 소개도…기후변화 대응 위한 국제협력 강화 [현대해양] 해양수산부(장관 전재수)는 브라질 벨렘에서 열리는 ‘제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11. 10.~21.)’서 해양을 통한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해법을 논의하고 국제협력을 강화하는 활동을 펼칠 예정이라고 10일 밝혔다. 출처 ...
2025-11-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현대해양]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갯벌 등 해양 탄소흡수원을 새로 포함한 온실가스 산정 지침 개요에 합의했다. 출처 : 현대해양(https://www.hdhy.co.kr)
2025-11-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IPCC, 포함 여부 검토하기로 갯벌과 해조류·조하대 퇴적물을 해양 탄소저감 활동(블루카본)으로 포함하는 내용이 본격 검토된다. 김종성 블루카본사업단장은 “기존 블루카본 생태계는 우리나라에 거의 분포하지 않거나 규모가 작아서 국가 단위의 탄소흡수 정책에 활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었다”며 “이번 총회로 ...
2025-11-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르포]갯벌 블루카본 현장을 가다…탄소흡수원 국제인증으로가는 길 해양수산부는 2022년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이라는 국가 연구개발사업을 시작했다. 이는 2022년부터 2026년까지 5년간 진행되는 대형 프로젝트로 서울대학교 김종성 교수가 이끌고 있다. 김 교수가 단장으로 있는 블루카본사업단은 산...
2025-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언론
해상풍력발전과 수중소음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재생에너지 전환은 전 세계적 흐름이다. 그중 해상풍력발전은 육상보다 바람 자원이 풍부하고 대규모 단지 조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30년까지 약 12GW 규모의 해상풍력발전 설비 보급을 목표로 하며, 서·남해와 제주 해역을 중심으로 단지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해상풍력발전은 친환경 에너...
2025-10-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전통적인 수산업이 가진 부정적 이미지를 벗고 기술 기반의 혁신 이미지를 갖춘 ‘블루푸드’로 변화해 나가기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것으로는 ‘데이터’가 꼽혔다. 하지만 현재 이를 위한 데이터는 국가 차원에서부터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라는 점이 지적됐다. 여러 분야의 기술이 결합되면서 생기는 까다로운 규제 또한...
2025-10-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전성 담보 어렵고 생명권 침해 우려 있어" 재판부는 또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서천갯벌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하면서 유산 보존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에 대한 관리 등을 권고한 점 등에 비춰보면 새만금국제공항 건설 사업이 사업부지 및 인근 서천갯벌에 서식하는 법정 보호종 조류 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그 보호를 위한 실효성있는 방안을 마련...
2025-09-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올여름은 장마와 폭염이 교차하며 유난히 변덕스러운 날씨가 이어졌다. 기후 전문가들은 이러한 이상 기후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구 온난화, 특히 해수면 온도의 상승을 꼽는다. 실제로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6차 보고서에서는 기후 변화를 일으킨 원인이 인류일 확률을 99%로 지목할 정도로, 인류가 배출한 온실가스가 기후 위기를 심화시키고 있다는 ...
2025-09-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인터뷰] 김종성 "수라갯벌 가치 연 800억 이상…꼭 보존해야"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갯벌 연구에 독보적 성과 "수라갯벌, 생태적 기능 여전히 살아있고 가치 매우 높아" "수라갯벌 훼손시 세계자연유산 서천갯벌에 부정적 영향" "갯벌 유지하며 생태계 서비스 혜택 누리는 게 훨씬 유리" ▲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2025-09-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온실가스 주범 탄소…색·성격에 따라 브라운·블랙·그린·블루카본 해양식물 등 블루카본…육상식물보다 탄소 흡수 빠른 '착한' 탄소 탄소 저장고 맹그로브부터 갯벌, 해조류에 녹조 포함한 미세조류 왕십리역 광장에 설치된 대형 기후위기시계. 지구에 남은 시간이 지난달 4년 1일이던 게 한달이...
2025-08-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스타트업 취중잡담] 어류 양식과 식물 수경 재배를 동시에, 아쿠온 김종성 대표 어류 양식(Aquaculture)과 식물 수경 재배(Hydroponics)를 융합한 첨단 농법도 등장했다. 이른바 ‘아쿠아포닉스’다. 어류 양식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유기물이 식물을 위한 천연 비료가 돼 친환경적이다.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교수이...
2025-07-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임수민의 지금 이 사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 (2) 김종성 교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K 갯벌의 숨은 가치를 세계에 알리는 해양과학자 해양과학자가 된 계기와 우리 갯벌의 특징와 앞으로의 개발 방향 등
2025-06-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르포]갯벌 블루카본 현장을 가다…탄소흡수원 국제인증으로 가는 길 사진](/webdata/boardimages/media/ff7zb79zef1z03fz601z7a8zf4cz21ez775z3f1zdb.png)





!['처서마저' 배신한 날씨…현실이 된 기후위기 해결책은 없나 ['녹조라떼'의 역설 上] 사진](/webdata/boardimages/media/e9az0f3z33dz395zf26zd85z624z1d4zeffz88cz54.jpg)

![[임수민의 지금 이 사람]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 (2) 사진](/webdata/boardimages/media/b10z9a1zfffz19bzbf5z0cfzc95zb20z4f7z701z43.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