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2022년 9월 17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진행사항보고- 항타소음 어류 행동 영향  진가영: 논문 진행사항보고- 수중소음 어류 산소소비율 영향  김승원: KOSMEE 논문작성 계획 및 진행사항 발표  송현서: KOSMEE 논문작성 계획 및 진행사항 발표  변유정: KOSMEE 논문작성 계획 및 진행사항 발표  이청재: KOSMEE 논문작성 계획 및 진행사항 발표  서우성: KOSMEE 논문작성 롤모델 페이퍼 발표-Tracking changes in social-ecological systems along enviro...
2022-09-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주제는 경기만으로 김종성 선생님의 제자이신 김태우 박사님을 모셨습니다. 수업에서는 경기만이 어떻게 오염이 되었는지, 방조제 건설에 따른 잔류성오염물질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경기만 연안 환경의 유해물질 자정능력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해주셨습니다. 과거 우리 BENTHOS에서는 유해물질이 연안에서 이동, 확산, 침전, 탈착, 농축, 분해되는 제반 과정을 이해하고 물리, 지화학, 생물학적으로 제거 및 재분배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연안 환경의 유해물질 자정능력을 제시했습니다. 마지막으로 경기만을 주제로 한 다양한 연구에 대해서 쉽게 설명해주시...
2022-09-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9월 13일 학생세미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공부한 논문-Limiting motorboat noise on coral reefs boosts fish reproductive success  권인하: 공부한 논문-Biofilms attached to Myriophyllum spicatum play a dominant role in nitrogen removal in constructed wetland mesocosms with submersed macrophytes: Evidence from 15N tracking, nitr...
2022-09-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주제는 시화호로 김종성 선생님의 제자이신 이정현 박사님을 모셨습니다.  수업에서는 시화호가 어떻게 오염이 되었는지, 방조제 건설에 따른 잔류성오염물질에 대해서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시화호의 방조제 건설 이후와 완공 직후 그리고 방조제 건설 4년 후의 모습을 보여주셨습니다. 건강한 생태계에서 수질 및 저질이 악화되고 다시 생태계가 회복되는 모습을 보며 갯벌 생태계 파괴에 대해서 심각성을 배우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 대해서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셧습니다. 중간중간 시화호 조사 사진을 보여주시면서 ...
2022-09-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9월 2일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과제진행보고 및 학생진도보고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세미나에서는 각 과제별 진행사항 보고 및 학생들의 논문 연구 발표가 있었으며 선생님의 애정어린 조언을 듣고 교류하는 의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일시: 2022.09.02 장소: 25-1동 국제회의실
2022-09-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의 바다과학기행 주제는 강화도로 오랫동안 김종성 선생님과 함께 연구해오신 안양대학교 류종성 교수님을 모셨습니다. 수업에서는 연안의 모습, 생태적 가치, 강화도에 역사 등을 주제로  강화도를 폭넓게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강화도의 갯끈풀에 대해서도 공부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갯끈풀은 벼목 벼과의 식물로 0.4-1.3m의 높이로 자라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외래종으로 분류된 식물입니다. 외래종인 갯끈풀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생물학적 교란이 있었지만,  탄소저장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그리고 중간중간 재밌는 갯벌 생물과 관련 역사에 대해 강의해주셨습...
2022-09-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대부도, 선재도 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갯벌 일차생산에 대해 오랜시간 연구해 오신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권봉오 교수님입니다. 학회 참석으로 스페인에서 비대면으로 자리해 주셨습니다. 저서미세조류(microphytobenthos)는 갯벌에 서식하는 주된 일차 생산자인데요. 말을 풀어 설명하자면 아주 작은(micro) 광합성을 하는(phyto) 저서동물(benthos) 이랍니다. 교수님께서 현장에서 퇴적물을 샘플링하는 과정을 사진과 함께 설명해주셨습니다. 샘플링 해온 퇴적물 시료들은 실험실에 가져와 분석해 저서미세조류...
2022-09-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8월 27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작성 현황- 향토 소음 어류 행동 영향 데이터 김호상: 학위 논문 - 지역별 일차 생산 데이터 및 논문 TOC 박신영: 논문 작성 현황- 부유사 미세조류 영향 데이터 권인하: 논문 작성 현황- 전국 연안 갯벌 질소침적 데이터 김승원: 논문 작성 현황- Mesh-bag TOC 송현서: 공부한 논문- Suspended sediment exacerbates per fl uorooctane sulfonate mediated toxicity ...
2022-08-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1회차에 이어,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김종성 교수님의 ‘바라는 바다’ 강의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제목: 우리바다가 특별한 이유, 바다 과학 기행 연사: 김종성 교수님 일시: 2022년 8월 2일(화), 오후 7-9시 <우리바다가 특별한 이유> 지난 1회차 ‘바다 생명 도감’ 강의는 해양생태계와 생물에 대한 재미있는 주제로 바다와 친숙해지는 시간이었다면, 이번 6회차 ‘우리바다가 특별한 이유’ 강의는 이름 그대로 우리나라의 바다, 특히 우리나라의 갯벌이 가지는 우수성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였습니다. 12가지 주제를 모두 다루기에는 내용이 많기에...
2022-08-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김종성 교수님의 '바라는 바다' 강의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제목: 바다 생명 도감, 바다 깊(고 얕)은 곳 신비의 세계 연사: 김종성 교수님 일시: 2022년 6월 7일(화), 오후 7-9시 <바다 생명 도감, 바다 깊(고 얕)은 곳 신비의 세계> 깊고 넓은 바다의 크기처럼 바다와 관련된 주제는 무궁무진합니다. 그중에서 김종성 교수님께서는 바다에 대해 친숙해질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재밌고 신기한 바다의 여러 주제로 강의들을 구성하였습니다. 강의 주제의 주된 내용은 총 12가지의 해양생태계와 생물 이야기였습니다. <...
2022-06-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5월 13일 학생회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이인옥: 진행 중 논문(주하이 먹이망) 발표 진가영: 공부한 논문 발표- The impact of experimental impact pile driving on oxygen uptake in black seabream and plaice 변유정: 공부한 논문 발표- Relationship between Swim Bladder Morphology and Hearing Abilities - A Case Study on Asian and African Cichli...
2022-05-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5월 6일 학생회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박신영: 공부한 논문 발표- Identification of potential toxicants in sediments from an industrialized area in Pohang, South Korea: Application of a cell viability assay of microalgae using flow cytometry  권인하: 공부한 논문 발표- Tidal elevation is the key factor modulating burial rates and compos...
2022-05-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