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느덧 학기의 반이 지나고 바다과학기행의 아홉 번째 시간입니다. 선선해진 바람과 함께 우리 바다의 이야기도 더욱 깊어지고 있는데요, 오늘은 우리나라와 세계의 바다 생태계를 위협하는 다양한 환경 문제들을 중심으로 한 흥미로운 주제를 탐구해 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Chapter 2에서 1) K-철새의 생존과 비상, 2) 아열대 생물의 남해 상륙, 3) 중국 갯끈풀의 서해 상륙, 그리고 4) 남극 해양생태계의 위기라는 네 가지 주제를 다룰 예정입니다. 각 주제를 통해 우리 바다가 처한 도전과 그 중요성을 깊이 이해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첫 ...
2024-10-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5대 해양환경공단 이사를 역임하신 한기준 이사장님께서 2024년 10월 28일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진행하셨습니다. 한기준 전 이사장님은 해양수산부 및 국토해양부에서 재직하셨으며, 과장, 국장을 거쳐 중앙해양안전심판원장과 기획조정실장으로 계셨습니다. 2021년 3월 해수부 산하 공공기관인 해양환경공단 이사장으로 임명되시면서 우리나라 해양 발전에 기여해주셨습니다. 이번 강의는 한국의 갯벌 복원사업의 추진 현황과 주요 성과를 주제로, 한시간동안 강연이 이뤄졌습니다. 크게, 갯벌 정의와 복원의 필요성, 정책 및 추진 현황, 갯벌 복원 사업 유형에 대해 배울 수 있는 귀중한...
2024-10-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10월 28일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에서 진도보고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세미나에서는 각 과제별 진행사항 보고 및 학생들 논문 연구발표가 있었으며, 선생님의 애정어린 조언을 듣고 박사님들의 의견을 교류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일시: 2024.10.28 장소: 25-1동 국제회의실
2024-10-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바다과학기행의 여섯 번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바다의 생태적 중요성과 함께 한국 해역의 생물다양성, 그리고 바다를 둘러싼 여러 환경 문제들을 폭넓게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Chapter 1에서 1) K-해양생물다양성, 2) 제주바다의 해양생물다양성, 3) 울릉도-독도의 해양생물다양성과 Chapter 2의 4) 간척의 희생양 갯벌 생물, 5) 해양오염과 연안 생태계 파괴라는 5가지의 주제를 다루겠습니다. 각 주제를 통해 우리 바다의 소중함을 더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K-해양생물다양성은 우리나라의 해양생물 종다양성이 전...
2024-10-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남정호 박사님께서 2024년 9월 27일 11~12시에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진행하셨습니다. 남정호 박사님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양연구본부의 선임연구위원으로서, 한국형 해양공간계획 지원 시스템 개발, 해양공간계획서 번역서 발간, 새만금 외 해역 환경 변화 연구 등 여러 해양 및 수산 관련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계십니다. 남정호 박사님은 해양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정부 위원회에서 활동하시며, 국가 정책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계십니다. 박사님은 국무총리 자문위원, 중앙연안관리심의회, 토지이용규제심의위원회 및 국가지속가능발전 위원회...
2024-09-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학기가 시작되고 두 번째 시간입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바다과학기행의 첫 여정을 함께 시작해볼까요? 첫번째 챕터는 ‘바다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1-1) 우리바다가 특별한 이유, 1-2) K-갯벌의 경제적가치, 1-6) 바다의 가치 재조명에 대해 배웠습니다. 여러분은 혹시 생태계 서비스라는 개념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생태계 서비스는 바다와 같은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다양한 혜택을 말하는데, 크게 네 가지로 나뉩니다. 먼저, 공급 서비스는 우리가 바다에서 얻는 수산물이나 자원을 의미합니다. 바다가 주는 물질적 혜택이죠. ...
2024-09-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9월 3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 BKFOUR ‘환경변화와 건강사회 위기에 대응하는 환경보건 리더양성 교육연구단’에서 개최한 ACS ES&T 자매지 편집장 초청 특강이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번 특강에서는 환경 과학, 오염 문제, One Health, 학문적 역량 개발 등 다양한 주제를 다뤘으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의 최경호 교수님께서 진행을 맡아주셨습니다. 첫 번째 기조강연에서는 ES&T Letters 편집장인 Bryan W. Brooks 교수님께서 ‘환경, 오염, 그리고 One...
2024-09-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해
첫 번째 ‘바다과학기행’ 강의에서 김종성 선생님은 이번 강의의 전반적인 목표와 특징, 그리고 세부 일정에 대해 설명해 주셨습니다. 이번 강의는 바다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통해, 바다를 더 친근하게 느끼고, 바다에 대한 흥미와 애정을 키우는 동시에, 쉽고 재미있게 기초 과학 지식을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은 바다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과 그 기능적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탐구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더 나아가, 바다의 훼손과 오염을 살펴보고, 바다 보전, 복원, 관리에 대한 우리의 노력을 국내외 다양한 바다 탐험 사례를 ...
2024-09-03l해
어느덧 6월 4일, 생물해양학 및 실험 14주차 시간입니다. 오늘은 강의 마지막 날로, 기말고사만을 남겨두고 있는데요. 다음주면 종강이라는 생각에 설레기도 하지만, 이제 이 수업을 들을 수 없다는 생각에 조금은 속상하기도 합니다.. 늘 해주시던 명강의와 함께 마지막 시간인만큼 선생님께서 학생들을 위해 맛있는 선물도 준비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선생님! 오늘 마지막 수업의 주제는 ‘김종성의 우리바다 우리생물 파트1,2’입니다. 우리나라 136개 기념일 중 바다와 관련된 날은 9개인데요. 정부 주관 53개 기념일 중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날은 ‘바다의 날’이 유일합니다....
2024-06-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5월 19일 일요일, 김종성 교수님께서는 광주광역시 국립광주과학원 1층 상상홀에서 열린 2024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에서 ‘세계자연유산 한국 갯벌의 가치’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금일 열린 특별강연은 2024년 ‘수요일엔 바다톡톡’이라는 프로그램의 1회차 강연으로 국립광주과학관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과 연계하여 개최되었습니다.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 특별강연 중인 김종성 교수님> ‘수요일엔 바다톡톡’은 2014년부터 해양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 및 인식 제고를 위해 진행하는 해양강좌입니다. 전국 주요 5개 도시(...
2024-05-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3월, 날씨가 쌀쌀할 때 만났는데 어느덧 5월 마지막 주가 되었습니다. 2주 뒤에 있을 기말고사만 끝나면 종강이네요! 개강했을 때 어색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다들 친해져서 종강하면 아쉬울 것 같습니다(선생님과 저만 그런거 아니죠...?). 종강하기 전까지 열심히 달려봅시다! 오늘은 ‘김종성의 우리바다 우리생물’ 두 번째 시간입니다! 여러분, 리빙 쇼어라인(Living Shoreline)에 대해 아시나요? 리빙-쇼어라인은 연안침식 방지를 위해 미국의 일부 주에서 시작된 것으로 인공제방을 철거하고 해안가에 식생, 굴밭과 같은 자연서식지를 대폭 ...
2024-05-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5월 22일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신형무 교수님 초청 특강이 진행되었습니다. 본 특강은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Era of Big Data and AI’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25-1동 1층 국제회의실에서 2시간 동안 강연 되었습니다. 강연이 있기 전, 장갑수 교수님께서 신형무 교수님을 소개하는 시간이 있었으며, 이상규 박사님 외 BENTHOS 학생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인공지능과 해양을 연관 지어 공부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었습니다. 순서는 1. ...
2024-05-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