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2024년 5월 19일 일요일, 김종성 교수님께서는 광주광역시 국립광주과학원 1층 상상홀에서 열린 2024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에서 ‘세계자연유산 한국 갯벌의 가치’라는 주제로 특별강연을 진행하였습니다. 금일 열린 특별강연은 2024년 ‘수요일엔 바다톡톡’이라는 프로그램의 1회차 강연으로 국립광주과학관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과 연계하여 개최되었습니다.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 특별강연 중인 김종성 교수님> ‘수요일엔 바다톡톡’은 2014년부터 해양의 중요성에 대한 국민 공감대 확산 및 인식 제고를 위해 진행하는 해양강좌입니다. 전국 주요 5개 도시(...
2024-05-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3월, 날씨가 쌀쌀할 때 만났는데 어느덧 5월 마지막 주가 되었습니다. 2주 뒤에 있을 기말고사만 끝나면 종강이네요! 개강했을 때 어색했던 때가 엊그제 같은데 다들 친해져서 종강하면 아쉬울 것 같습니다(선생님과 저만 그런거 아니죠...?). 종강하기 전까지 열심히 달려봅시다! 오늘은 ‘김종성의 우리바다 우리생물’ 두 번째 시간입니다! 여러분, 리빙 쇼어라인(Living Shoreline)에 대해 아시나요? 리빙-쇼어라인은 연안침식 방지를 위해 미국의 일부 주에서 시작된 것으로 인공제방을 철거하고 해안가에 식생, 굴밭과 같은 자연서식지를 대폭 ...
2024-05-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5월 22일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신형무 교수님 초청 특강이 진행되었습니다. 본 특강은 ‘Exposure and Risk Assessment of Environmental Pollutants in the Era of Big Data and AI’라는 주제로, 서울대학교 25-1동 1층 국제회의실에서 2시간 동안 강연 되었습니다. 강연이 있기 전, 장갑수 교수님께서 신형무 교수님을 소개하는 시간이 있었으며, 이상규 박사님 외 BENTHOS 학생들이 참석하였습니다. 인공지능과 해양을 연관 지어 공부할 수 있는 뜻깊은 자리었습니다. 순서는 1. ...
2024-05-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주 금요일에 열린 지구환경과학부 체육대회 행사에 생물해양학 수업을 수강 중인 학생들이 많이 참여했는데, 수업 외 시간에 만나니까 매우 반가웠습니다. 오늘 선생님께서는  ‘김종성의 우리바다 우리생물’이라는 재미있는 주제로  강연해 주셨습니다. ‘김종성의 우리바다 우리생물’은 파트1,2로 나뉩니다. 오늘은 파트1 중 1) 우리 바다가 특별한 이유, 2) 블루카본의 보고, 우리 바다를 사수하라!, 3) K-해양생물다양성, 세계 최고를 말한다, 4) 머드맥스, 한류를 탄 K-갯벌의 가치에 대해 배웠습니다. 여러분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바다의 표면적이 지구 전체...
2024-05-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의 남정호 박사님께서 2024년 5월 20일 15시~16시에 학생들을 위한 특강을 해주셨습니다. 남정호 박사님은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해양연구본부의 선임연구위원으로, 한국형 해양공간계획 지원 시스템 발명, 해양공간계획 번역서 발간, 새만금 외해역 환경 생태 변화 연구개발 사업 진행 등 해양 및 수산 분야에서 다수의 중요한 역할을 맡고 계십니다. 박사님께서는 특히 해양 정책 및 관리와 관련된 다양한 정부 위원회에서 활동하시며 국가 정책 개발에 기여하고 계십니다. 주요 활동으로는 국무총리 자문위원, 중앙연안관리심의회, 토지이용규제심의위원회,...
2024-05-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은 5월 14일, 스승의 날 하루 전날입니다. 여러분이 바른길로 갈 수 있도록 지도해주신 선생님, 교수님께 연락 드려보는 것은 어떨까요? 선생님의 따뜻한 미소와 함께하는 오늘의 수업! 이번 시간에는 저서생물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저서생물이란 해저 바닥에 서식하는 생물입니다. 저서생물은 저서식물과 저서동물로 나뉘는데, 저서식물은 미세조류, 해조류, 해초류와 같이 부착하여 광합성을 하는 것이고, 저서동물은 다양한 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착, 이동 모두 가능합니다. 환형동물 중 다모류는 저서동물 중 가장 많은 생물량으로 해양오염의 지표종입니다. 절지동물문의 갑각강은...
2024-05-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5월은 행사가 참 많은 달이죠~ 중간고사도 끝났고, 이번 주엔 축제까지 있어 캠퍼스의 분위기가 잔뜩 달아올랐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미있는 생물해양학 수업을 들으러 온 12명의 학생들! 그리고 그 학생들의 열의에 멋진 강의로 보답해주시는 김종성 선생님! 생물해양학 및 실험 10주차 이론 수업에서는 ‘부유생물’을 배웠습니다. 부유생물(Plankton)이란 물의 흐름에 따라 수동적으로 떠 있는 생물입니다. 유영생물(Nekton)도 물에 떠 있다는 점은 부유생물과는 같지만 물의 유동이나 흐름에 반해 헤엄칠 수 있다는 점이 차이점입니다. 부유생물은 서식지 깊이에 따라 수...
2024-05-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교외교육을 다녀오니 여름이 곧 찾아올 듯 햇빛이 강렬해졌습니다. 어색함이 다 사라진 강의실, 오늘 수업 분위기는 최상입니다! 8주차 수업에서 배워볼 것은 해조류, 해면동물, 자포동물입니다. 첫 번째, 해조류입니다. 해조류는 온화식물의 한 무리를 지칭하는 단어로 수중에 서식합니다. 해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지구 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의 흡수원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용존산소를 증대시키며, 오염물질을 제거해 해양환경을 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해조류는 크게 녹조류, 갈조류, 홍조류로 나뉩니다. 녹조류에는 파래, 청각 등 식품으로 여러분들께서도 잘 알고 계...
2024-04-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드디어 2024학년도 1학기의 꽃, 생물해양학 및 실험의 교외교육 시간이 찾아왔습니다. 올해도 작년과 같은 제주도로 떠나게 되었는데요. 제주도는 언제 가도 참 아름다운 곳인 것 같습니다. 지금부터 아름다운 제주를 함께 즐기러 떠나보실까요? “오전 9시 10분까지 김포공항에서 모입시다!” 벤토스 연구원들은 학생들의 안전과 교외교육 준비를 위해 8시에 공항에 도착했는데요. 학생들은 제주여행이 설레는지 공지한 시각보다 훨씬 빠른 8시30분부터 공항에 도착했습니다. 시간약속을 잘 지켜준 학생들 덕분에 벌써 신이 나네요! 학부생 12명과 벤토스 15명, 총 27명...
2024-04-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어느덧 4월이 되었습니다. 중간고사 기간이 성큼 앞으로 다가와서 학생들의 마음에 여유가 조금 없어졌을 텐데요. 생물해양학 및 실험 수업의 분위기는 조금 다릅니다. 바로 다음 주에 제주도로 교외교육을 가기 때문입니다. 한껏 들뜬 마음은 다음 주에 발산하기로 하고, 이번 시간에는 재미있는 생태학의 기본 개념 2부-개체군, 군집, 에너지 흐름과 물질순환에 대해 배워봤습니다. 생물 간의 상호작용은 크게 경쟁, 포식과 기생, 공생(상리공생, 편리공생)으로 나뉘는데요. 선생님께서 학생들과 교수님의 관계로 예시를 재밌게 들어주셔서 학생들이 상리공생과 편리공생이 무엇인지는 확실하게...
2024-04-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4주차 이론 강의 주제는 ‘생태학의 기본개념 1장-생태학, 생물의 다양성, 생태적 지위’입니다. 생태학의 정의는 비슷한 듯 다양한데요. 김종성 선생님께서는 생태학을 자연현상의 규칙성과 불규칙성을 구분하는 과학적 연구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생태계의 영양구조는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나뉩니다. 생산자에는 식물, 소비자에는 동물, 분해자에는 박테리아가 있다고 생각하시면 조금 이해하기 쉬우실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생물이 총 몇 종인지 아시나요? 2021년 기준 동물계는 32,273종, 식물계는 8,156종, 균...
2024-03-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강의 시작 전, 조교가 교외교육 자료를 발표했습니다. 1주차 게시글에서 교외교육을 어디로 가게될지 힌트를 드렸는데요. 저희는 제주도로 떠납니다! 학생들은 제주도 교외교육 일정과 맛있는 식사 후보를 보며 “우와~” 감탄사를 연발했습니다. 이 글을 보고 계시는 여러분들께도 제주도의 맛집들을 공개합니다:)! 선생님께서 좋은 기회를 주신 덕분에 재밌는 일정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모두 웃음 가득한 얼굴로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생물해양학 실험 3주차 이론 강의 주제는 ‘해양환경과 생물의 적응’입니다. 수층은 광량에 따라 진광대(광합성이...
2024-03-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