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살아 숨쉬는 우리 바다입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한 학기 동안 중요하게 다루었던 수업 내용 요약과 더불어 현재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내용들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한국의 갯벌은 올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될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갯벌은 탄소 저감율, 일차 생산력,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갯벌 또는 해양  전체가 겪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소개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한 학기 동안 배워온 이러한 아름다운 갯벌과 해양을 어떻게 하면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
2021-12-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미국 SCCWRP(Southern California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에 소속된 Wayne 박사님께서 지난 2021년 11월 25일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을 방문하여 수동형채집기와 미세플라스틱 기기분석에 대한 특강을 하셨습니다. Wayne 박사님께서 소속된 SCCWRP는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의 수생 시스템 보호 및 관리 개선을 위한 전략, 도구,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기관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8606" align="aligncenter" width="1707"] <강연중이신 Wayne ...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캐나다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캐나다 사스카츄완 대학의 장갑수 교수님입니다. 장갑수 교수님의 전공은 물리이며 김종성 선생님과는 다른 분야를 전공하고 계시지만 캐나다에서부터 오랜 인연을 이어오셨고 현재까지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캐나다에서 장갑수 교수님과 있었던 에피소드와 코웍을 하게된 계기 그리고 캐나다 Prince Albert와 Lake Diefenbaker에서 진행되었던 연구와 샘플링에 대한 소개를 해주셨습니다. 또한 연구 외에 쌓았던 캐나다에서의 추억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었습니다. 캐나다는 아니지만 장갑수 교수님...
2021-11-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남극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저희 연구실의 송성준 교수님과 배한나 박사님입니다. 현재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빙하는 후퇴하고 있고 이곳의 생태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이곳의 저서미세조류와 중형저서동물 등을 연구하였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남극 세종 기지의 모습과 그 곳에서의 생활, 샘플링, 연구 등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또한 남극에 사는 생물을 주제로 저희 연구실에서 작성한 논문에 대한 이야기로 수업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11-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일본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오랜기간 함께 연구해오신 한국해양대학교 박진순 교수님입니다. 박진순 교수님께서는 오랜기간 갯벌의 가장 중요한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 저서미세조류에 대해 연구해오셨습니다. 저서미세조류가 중요한 이유는 모든 갯벌 생물 뿐만 아니라 바다 생물 모두의 먹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박진순 교수님께서 일본 유학시절의 경험과 미세저서조류의 분류 등을 말씀해주셨습니다. 또한 김종성 선생님의 일본 견학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박진순 교수님의 수업 소감과 호기심의 중요성에 대...
2021-11-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바다과학기행 이번 주제는 중국입니다. 오늘 게스트는 두분 모두 두번째 출현입니다. 김종성 선생님께 박사 학위를 받으신 이정현 박사님과 윤서준 박사님입니다. 이 두분을 모신 이유는 선생님과 황해 연구를 오랜 기간 함께 해왔고 오늘 설명해드릴 여러가지 분야를 잘 알고있기때문입니다. 첫번째로 저희 연구실과 함께 협업하였던 중국에 여러 단체, 연구실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저질의 오염 경로 그리고 이를 연구하는 방법과 연구 범위 등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협업의 중요성과 앞으로 연구 범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강의가 마무리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11-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강의의 주제는 서울대 아쿠아팜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께 석사 학위를 받고 현재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추승오  연구원입니다.  선생님과 함께 근 1년간 아쿠아포닉스에 대해 연구해왔기 때문에 이번 바다과학기행 서울대 아쿠아팜 강의에 초청하였습니다. 첫번째로 아쿠아포닉스(Aquaponics)란 Aquaculture (어류양식)과 Hydroponics (수경재배)의 합성어로 이 두가지 산업을 한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어류가 배설한 요소가 특정 미생물의 산화 과정을 거쳐 질산염이 되고 이 질산염을 함유한 물을 식물 뿌리...
2021-11-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강의의 주제는 새만금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오랜기간 새만금 연구를 함께 해오신 안양대학교 류종성 교수님입니다. 류종성 교수님은 새만금 전문가이신만큼 새만금에 관한 풍부하고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새만금은 간척 당시 다양한 단체 및 김종성 선생님과 류종성 교수님을 포함한 수많은 과학자의 반발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결국에는 시행되었습니다. 그 결과 새만금 간척은 연안의 침, 퇴적 환경변화 가속화와 해양생물다양성 훼손을 불러왔습니다. 이 후 저희 연구실에서는 매년 수차례의 갯벌 조사를 통해 새만금 간척 후의 오염 실태를 밝혔습니...
2021-11-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주제는 울릉도, 독도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울릉도, 독도 연구를 함께해온 서울대학교 송성준 연구교수님과 충남대학교 김형기 교수님입니다. 서울대학교에는 김종성 교수님이 센터장으로 계신 울릉도, 독도 연구센터가 있습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2012, 2013, 2017, 2020년의 자체조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울릉도, 독도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울릉도 독도의 전경에 대한 설명과 울릉도에서 열렸던 '울릉도(독도) 생물다양성과 기후변화 심포지엄'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울릉도 및 독도에서 진행한 생물 샘...
2021-11-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마산봉암갯벌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저희 연구실의 노준성 박사님과 김태우 박사과정 학생입니다. 마산봉암갯벌은 도심 내만형 갯벌로 국내 유일 무형항만 내 위치한 갯벌입니다. 1960년대 공업화 이후 공업단지와 아파트 단지 조성으로 자정능력을 상실하면서 훼손된 연안 습지를 복구하기 위해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었습니다. 그 연구의 일환으로 저희 실험실에서는 마산봉암갯벌을 예시로 갯벌의 정화능력을 평가하는 연구를 했습니다. 위의 그림과 같이 현장 환경을 모사하는 실내 메조코즘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현장 환경을 더욱 잘 모사하기 위해 현장 메조...
2021-11-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11월 2일, 한양대학교에서 김종성교수님의 초청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제 목 : “탄소중립과 우리나라 갯벌 블루카본의 가치” 연 사 : 김종성 교수님 일 시 : 2021년 11월 2일 (화), 오후 4시~6시 장 소 : 한양대학교 에리카캠퍼스 제2과학기술관110호 김종성 교수님께서는 기후위기 대응책인 탄소중립을 위한 해결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갯벌블루카본(해양생태계 내로 흡수·저장되는 탄소흡수력)'에 대해 크게 아래의 5가지의 주제로 강의하셨습니다. 기후위기와 탄소중립 2. 블루카본과 탄소감축원 3. 갯벌의 가치와 복원 필요성 4. 숨 쉬는 해안뉴딜 5. ...
2021-11-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특별관리해역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충남대학교 홍성진 교수님입니다. 홍성진 교수님은 김종성 선생님의 첫제자로 서울대학교에 부임하시기 전부터 오랜 인연을 이어왔습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연안의 모습, 생태적 가치, 위협 요인 등을 주제로 연안에 대한 여러가지 정보를 공부했습니다. 또한 특별관리해역의 연안오염총량관리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연안오염총량관리제란 해역의 환경관리 목표 수질을 설정하여 목표수질의 유지 달성을 위해 해역으로 유입되는 오염 물질의 허용부하량을 산정함으로써 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허용부하량 이내에서 관리...
2021-11-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