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25일 학생회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박신영: 공부한 논문 발표-Evaluation of antioxidant response and Na+/K+-ATPase activity in zebrafish exposed to polyethylene microplastics: Shedding light on a physiological adaptation 권인하: 공부한 논문 발표-Bioturbation of burrowing crabs promotes sediment turnover and carbon and ni...
2022-03-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3월 18일 학생회의 발표 장소: 24동 423호 발표자 및 주제 이인옥: 진행 중 논문(주하이 먹이망) 발표 진가영: 이학석사학위 논문제출자격시험 발표 김승원: 공부한 논문 발표-Factors influencing organic carbon accumulation in mangrove ecosystems. Perez et al. (2018) Biol, 14: 0237. 변유정: 공부한 논문 발표-Photosynthesis by marine algae produces sound, contributing to the...
2022-03-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3월 9일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랩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세미나에서는 과제별 진행사항 보고 및 각 학생들의 논문 연구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이인옥 박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김범기 박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박신영 박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권인하 박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진가영 석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김승원 석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변유정 석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송현서 석사과정 학생: 학생진도보고> <김범기 박사과정 ...
2022-03-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랩세미나
2021 Benthos 연구성과보고회
이번 2021 Benthos 연구성과보고회는 개최하였습니다.코로나 방역수칙을 엄격히 준수하여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벤토스 연구실 선배님들과 안양대, 한국해양대, 충남대, 인하대 교수님들과 학생들, 그리고 먼 외국에서 찾아온 교수님들께서 참석해 주셨습니다. <2021년 연구성과보고회 단체 사진> 선생님의 환영사와 함께 행사가 시작되었고 벤토스 연구실에 방문 교수로 오셨던 장갑수 교수님(캐나다 사스카추완 대학교)과 이기훈 교수님(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최진우 박사님(서울대학교) 축사가 이어졌습니다. <김종성 선생님의 환영사> <...
2021-12-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연구실에서 수행한 전략과제 연구가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정 뿐 아니라, 연구재단 Brain pool 최우수 과제로도 선정되었습니다. 이에 김종성교수님과 장갑수교수님(사스캐처원 대학)은 2021년 12월 14일-15일 양일간 개최되는 Global Research Network Seoul 21에 Keynote speak로 초청되어 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발표 제목은 ‘Rethinking Toxicology: Transition from Statistical Interpretation of Observation to Analytical Predicti...
2021-12-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강의 요약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살아 숨쉬는 우리 바다입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한 학기 동안 중요하게 다루었던 수업 내용 요약과 더불어 현재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내용들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한국의 갯벌은 올해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될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있습니다. 또한 우리나라 갯벌은 탄소 저감율, 일차 생산력,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갯벌 또는 해양 전체가 겪고 있는 여러가지 문제들을 소개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한 학기 동안 배워온 이러한 아름다운 갯벌과 해양을 어떻게 하면 지킬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
2021-12-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Wayne 박사님 특강
미국 SCCWRP(Southern California Coastal Water Research Project)에 소속된 Wayne 박사님께서 지난 2021년 11월 25일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을 방문하여 수동형채집기와 미세플라스틱 기기분석에 대한 특강을 하셨습니다. Wayne 박사님께서 소속된 SCCWRP는 캘리포니아 남부 해안의 수생 시스템 보호 및 관리 개선을 위한 전략, 도구,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기관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8606" align="aligncenter" width="1707"] <강연중이신 Wayne ...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캐나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캐나다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캐나다 사스카츄완 대학의 장갑수 교수님입니다. 장갑수 교수님의 전공은 물리이며 김종성 선생님과는 다른 분야를 전공하고 계시지만 캐나다에서부터 오랜 인연을 이어오셨고 현재까지 함께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캐나다에서 장갑수 교수님과 있었던 에피소드와 코웍을 하게된 계기 그리고 캐나다 Prince Albert와 Lake Diefenbaker에서 진행되었던 연구와 샘플링에 대한 소개를 해주셨습니다. 또한 연구 외에 쌓았던 캐나다에서의 추억에 대한 이야기도 나누었습니다. 캐나다는 아니지만 장갑수 교수님...
2021-11-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남극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남극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저희 연구실의 송성준 교수님과 배한나 박사님입니다. 현재 지구온난화로 인해 남극의 빙하는 후퇴하고 있고 이곳의 생태 또한 변화하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이곳의 저서미세조류와 중형저서동물 등을 연구하였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남극 세종 기지의 모습과 그 곳에서의 생활, 샘플링, 연구 등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또한 남극에 사는 생물을 주제로 저희 연구실에서 작성한 논문에 대한 이야기로 수업이 마무리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11-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일본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일본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오랜기간 함께 연구해오신 한국해양대학교 박진순 교수님입니다. 박진순 교수님께서는 오랜기간 갯벌의 가장 중요한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 저서미세조류에 대해 연구해오셨습니다. 저서미세조류가 중요한 이유는 모든 갯벌 생물 뿐만 아니라 바다 생물 모두의 먹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박진순 교수님께서 일본 유학시절의 경험과 미세저서조류의 분류 등을 말씀해주셨습니다. 또한 김종성 선생님의 일본 견학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박진순 교수님의 수업 소감과 호기심의 중요성에 대...
2021-11-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중국
바다과학기행 이번 주제는 중국입니다. 오늘 게스트는 두분 모두 두번째 출현입니다. 김종성 선생님께 박사 학위를 받으신 이정현 박사님과 윤서준 박사님입니다. 이 두분을 모신 이유는 선생님과 황해 연구를 오랜 기간 함께 해왔고 오늘 설명해드릴 여러가지 분야를 잘 알고있기때문입니다. 첫번째로 저희 연구실과 함께 협업하였던 중국에 여러 단체, 연구실 등을 소개하였습니다. 저질의 오염 경로 그리고 이를 연구하는 방법과 연구 범위 등을 설명해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협업의 중요성과 앞으로 연구 범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강의가 마무리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2021-11-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강의의 주제는 서울대 아쿠아팜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께 석사 학위를 받고 현재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추승오 연구원입니다. 선생님과 함께 근 1년간 아쿠아포닉스에 대해 연구해왔기 때문에 이번 바다과학기행 서울대 아쿠아팜 강의에 초청하였습니다. 첫번째로 아쿠아포닉스(Aquaponics)란 Aquaculture (어류양식)과 Hydroponics (수경재배)의 합성어로 이 두가지 산업을 한 시스템에서 운용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어류가 배설한 요소가 특정 미생물의 산화 과정을 거쳐 질산염이 되고 이 질산염을 함유한 물을 식물 뿌리...
2021-11-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