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전국 서남동해연안 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군산대학교 해양생물공학과 권봉오 교수님입니다. 이번 강의의 소주제는 블루카본이며 블루카본은 모든 수생환경에 존재하는 탄소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도 갯벌의 탄소저장 능력에 주목하여 함께 의견을 나누었습니다.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오래전부터 블루카본에 대해 연구해왔으며 현재는 정부 또한 탄소 중립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특히 갯벌 그리고 염습지의 탄소 저장량 그리고 흡수속도가 얼마인가에 대해 연구하였습니다. 이러한 블루카본 연구 선정지와 연구 방법 등을 이야...
2021-10-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거문도, 백도 입니다. 오늘 게스트는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책임연구원으로 계신 동물계통분류학전공 이상규 박사님입니다. 오늘 강의에서는 김종성 선생님께서 미국 옐로우스톤에 다녀온 경험을 예로 들어 국립공원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또한 이상규 박사님께서 국립공원 관리공단에 계셨을 때의 재밌는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이상규 박사님은 주로 게를 연구하고 계시기 때문에 오늘은 게에 대한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주셨습니다. 우선은 달랑게 무리가 대거 서식하고 있는 신안 우의도 해변 영상을 보여주셨고 달랑게가 집게를 이용해 내는 소리를 들...
2021-10-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과학과 정책 그리고 철학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금일 게스트로는 해양환경공단 미래성장처 손규희 박사님을 모셨습니다. 손규희 박사님과 김종성 선생님의 인연은 2013년 해양생태계 복원기술개발 기획연구 워크샵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두 분이 들려주시는 과학과 정책 이야기 정말 기대가 되었습니다. 김종성 선생님이 참여하셨던 여러가지 해양 정책 관련 워크숍 및 활동들에 대한 경험을 나누어주셨습니다. 강의 중간에는 손규희 박사님의 특강이 이어졌습니다. 고려시대에 왜 간척지가 많아졌는지 영해가 12해리인 이유 등 재밌는 사실들에 대한 설명도 덧붙여주...
2021-10-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증도와 무의도입니다. 증도, 무의도 또한 저희 실험실에서 자주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지역입니다. 오늘 강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수년간 함께 공부해오신 인하대학교 연안해양관측연구실 하호경 교수님입니다. 강의에 앞서 갯벌 저서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저서미세조류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갯벌에서는 이른 봄에 저서미세조류의 blooming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갯벌의 저서미세조류는 규조류(diatom)가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증도, 무의도 조사에서 갯벌 퇴적물을 수집하거나 무어링을 통해 해류의 속도, 흐름, 수온 ...
2021-10-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1년 9월 30일 목요일 성북동에서 김종성 교수님의 제2기 ESG 리더십 과정 초청 특강이 있었습니다. 매일경제와 환경재단 주최로 지난 9월에 개설된 ESG 교육은 환경(Environment), 사회적 책임(Social), 투명경영(Governance)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특강을 통해, 기후위기 시대에 맞서는 기업들의 생존 전략을 목표로 수업하게 됩니다. 이에 4주차 초청강연으로 저희 김종성 교수님께서 "해양생태계 기능 회복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과 기업의 역할"에 대해 강연해 주셨습니다. 첫번째로 기후변화, 물러설 곳 없는 지구를 주제로 기후변화로 인한 한반도 해...
2021-10-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의 주제는 바로 낙동강과 영산강입니다. 낙동강과 영산강 또한 저희 실험실에서 오랜 기간 조사를 하고 있는 곳입니다. 이 두 강 주제로 하구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30년간 함께 공부해오신 한국해양대학교 박진순 교수님입니다. 두 분이 함께 대학원에 계신 때에 박진순 교수님의 별명은 catch-park이었습니다. 그 이유는 뛰어난 관찰력으로 지나칠 만한 생물을 발견하실 뿐 아니라 잘 잡으셨기 때문인데요, 별명만큼이나 생물, 생태에 대한 남다른 애정이 느껴졌던 오늘 강의 함께 들여다보겠습니다. 우선 수업에 앞서 김...
2021-10-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수업 주제는 금강하구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지난 시간에도 함께 해주셨던 노준성 박사님과 이번 시간에 새롭게 참여하게 된 윤서준 박사님입니다. <금강하구 조사 정점> 처음으로 보여드린 것은 저희 실험실에서 매년 여러 차례 조사를 나가고 있는 금강하구의 조사 정점입니다.  오른쪽에서 볼 수 있는 서천과 군산 사이의 하구를 따라 쭉 정점이 배치되어있고 외해로 갈수록 랜덤하고 더 넓은 간격으로 정점이 배치되어있습니다. <그랩 중인 벤토스 대원> 이러한 여러 정점을 누비며 어떤 방식으로 샘플링을 해왔는지에 관해서도 이야기하였습니다. 해저 퇴적물은 ...
2021-09-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추석 연휴 후 첫 '바다과학기행' 수업의 주제는  '태안'입니다. 여러분들은 '태안'하면 제일 먼저 어떤 것이 떠오르시나요? 대부분 유류 유출 사고에 대해서 많이 떠올리실텐데요. 오늘 강의에서는 그 이야기와 함께 유출 사고 그 후 그리고 저희 연구실에서 그에 대해 다룬 연구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강의 중인 이창근 박사님, 김종성 선생님, 김태우 박사과정학생> 김종성 선생님과 함께 이 주제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오늘의 게스트는 저희 연구실 이창근 박사님과 김태우 박사과정학생입니다. 2007년 12월 7일 태안 근처에 정박 중이던 허베이스프릿호가 강...
2021-09-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강의의 주제는 화성, 남양만 입니다. 오늘의 초대 손님은 저희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의 연구 교수로 계신 송성준교수님입니다.  오늘 화성, 남양만 편에서 주로 이야기한 현장 조사는 김종성 선생님의 은사님이신 고철환 선생님과 독일의 Kellerman 교수님이 함께한 2003년 남양만 조사입니다. 당시 이 조사의 목적은 남양만 간척 피해 현장 답사 였습니다. <고철환 선생님과 Kellerman 교수님> <남양만 폐사 이매패류> 당시 남양만 간척지가 조성되면서 많은 생물들이 피해를 입었고 맛조개, 동죽 등의 이매패류가 지면 위로 모습...
2021-09-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에서는 대부도와 선재도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드렸습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선생님께 박사 학위를 받으신 노준성박사님입니다. 이번 강의에서 소개해드린 대부도와 선재도는 서울 및 인천에서 매우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럼 다 함께 여행을 떠나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강의는 주로 다양한 저서 생물들에 대한 소개로 구성되었습니다. 첫번째로 소개 해드린 생물은 바로 짱뚱어 입니다. 갯벌의 모든 생물들이 존재하기 위해 꼭 필요한 생물인 저서미세조류에 대한 설명도 있었습니다. 다양한 생물의 서식굴에 대해서도 함께 살펴보았습니다. 또 갯벌 생물의 서...
2021-09-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바다과학기행' 2주차 두번째 강의에서 저희가 함께 여행을 떠난 곳은 바로 시화입니다. <강의 중이신 김종성선생님과 이정현박사님> 오늘의 게스트는 작년 김종성선생님께 박사 학위를 받고 현재 지구환경과학부 과학교육단 소속 연구원으로 계신 이정현박사님입니다. 이정현박사님은 시화호 오염에 관한 논문을 내신 경험을 바탕으로 시화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해 주실 수 있기 때문에 이번 강의에 초청되었습니다. 강의는 먼저 '시화호가 도대체 왜 오염되었는가?'에서 시작됩니다. 1994년 시화에  방조제를 설치하며 시화호가 만들어지고 시화호 주변의 많은 산업 공장들로부터 대기...
2021-09-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9월 8일, 저희 Benthos 김종성 교수님께서는 산터우대학에서 ‘The Yellow Sea Coastal Ecosystem Study: Overview and Future Challenge’를 주제로 초청강연을 하시게 되었습니다. [caption id="attachment_27641" align="aligncenter" width="1720"] <발표주제: The Yellow Sea Coastal Ecosystem Study: Overview and Future Challenge>[/caption] COVID-19로 인해 중국에서 직접 발표하...
2021-09-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