랩세미나
논문세미나(2022/12/10)
2022년 12월 10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5-1호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발표-No negative effects of boat sound playbacks on olfactory-mediated food finding behaviour of shore crabs in a T-maze 김호상: 논문 발표-Functional resilience of PSII, vertical distribution and ecosystem-level estimates of subsurface microphytobenthos in estuarine tidal f...
2022-12-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강의 요약
오늘 바다과학기행은 한 학기 동안 살아 숨 쉬는 우리 바다에 대해 수업 시간에 다루었던 내용을 요약하고 현재 전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내용들에 대해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한국의 갯벌은 2021년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될 만큼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서해안 갯벌은 세계 5대 갯벌로 꼽힐 정도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바다는 해양생물의 단위면적당 출현종 수가 전세계 1위일 정도로 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복잡하고 건강한 해양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가 한 학기 동안 배워온 이러한 아름다운 갯벌과 해양은 현재 간척이나 유류 오염, 기...
2022-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오늘 바다과학기행 14주차 수업에서는 지난 시간에 이어서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강의하셨던 내용을 바탕으로 특강을 진행하셨습니다. 지난시간에 총 12가지의 해양 생태계와 생물 이야기 중 4가지 주제에 대해 다루었는데요. 오늘은 그중 남은 8가지 주제에 대해 말씀해 주셨습니다. 먼저 갯벌을 지키는 수호자 '고둥'과 '조개'입니다. 각각은 복족강과 이매패강에 속하는데요. 혼탁한 뻘 물의 부유물질을 길러서 유기물을 먹이로 먹음으로써 갯벌을 정화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여섯번째 이야기는 갑각류입니다. 일전에 게 전문가 이상규 박사님과 함께 게에 대해 많은 이야기...
2022-11-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13주차 수업에서는 김종성 교수님이 서울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강의하셨던 내용을 바탕으로 특강을 진행하셨습니다. 바다 생명 도감, 바다 깊(고 얕)은 곳 신비의 세계라는 제목에 걸맞게 이번 특강은 바다를 친숙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재밌고 신기한 여러 주제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번 수업 때는 는 총 12가지의 해양 생태계와 생물 이야기 중에서 4가지 주제를 다루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갯벌과 함께 사라진 맛의 황제, ‘가리맛조개’를 아시나요”에서는 국내 연안의 갯벌들이 간척되면서 갯벌의 면적이 감소하고 갯벌에 서식하던 가리맛조개...
2022-11-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중국
오늘 바다과학기행 13주차 수업에서는 김종성 교수님이 서울대 해양연구소 연수연구원이신 윤서준 박사님을 초청하여 중국을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셨습니다. 진행되어온 필드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지금까지 진행된 황해의 환경에 대한 연구와 황해 연안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잠깐 가졌습니다. 황해는 조류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낮은 수심의 바다로, 연안 지역의 넓은 갯벌이 특징인 바다입니다. 중국과 한국을 양 옆에 두고 있는 바다인 만큼, 중국에서의 영향은 곧 황해에 대한 영향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국과의 연구 협력은 황해 환경을 더 자세히 파악하기...
2022-11-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제주도
오늘 바다과학기행 주제는 제주도입니다. 김종성 선생님과 함께 강의해주실 오늘의 게스트는 세종대학교 노준성 교수님입니다. 2004년도의 김종성 선생님과 이전 강의에서 뵀던 류종성 교수님, 권봉오 교수님께서 제주도에서의 조사 사진을 보여주셨습니다. 학부생들과의 재밌는 현장체험 다녀온 사진도 보여주셨습니다. 마지막으로 2021년 여름의 해상풍력단지 현장답사 현장을 보여주셨는데요. 스쿠버다이빙과 관련하여 교육 내용, 실제 교육 현장과 바닷속 모습도 보여주셨습니다. 제주도 바닷속의 다양한 생물들을 사진으로 만나보는...
2022-11-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주제는 울릉도, 독도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김종성 선생님과 울릉도, 독도 연구를 함께해온 서울대학교 송성준 연구교수님입니다. 분류학자이신 송선준 연구교수님께서는 기아와 얽힌 고마운 사연이 있어 신종이름을 'KIA'로 지은 재밌는 에피소드에 대해 말씀해 주셨습니다. 서울대학교에는 김종성 교수님이 센터장으로 계신 울릉도, 독도 연구센터가 있습니다. 저희 실험실에서는 2012, 2013, 2017, 2020년의 자체조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울릉도, 독도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울릉도, 독도는 생물 다양성이 매우 높고 서식지가 잘 보...
2022-11-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9주차 수업에서는 박진순 교수님을 모시고 낙동강, 고파도, 유부도, 그리고 순천 갯벌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박진순 교수님께서는 현재 한국해양대학교 해양환경학과의 조교수로 재직하시며 해양과학분야에 대해 가르치고 계십니다. 오늘은 갯벌복원사업을 주제로 강의하셨는데요, 현재 환경오염에서 회복중인 낙동강에서 진행중인 생물조사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고파도에서 진행중인 복원사업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생물들의 보금자리 역할의 인공적인 구조물들이 연구지역에 나열된 풍경을 보여주시며 큰 인상을 남겼습니다....
2022-10-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0월 25일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에서 진도보고 세미나가 있었습니다. 세미나에서는 각 과제별 진행사항 보고 및 학생들 논문 연구발표가 있었으며, 선생님의 애정어린 조언을 듣고 박사님들의 의견을 교류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일시: 2022.10.25 장소: 25-1동 국제회의실
2022-10-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오늘 바다과학기행 9주차 수업에서는 홍성진 교수님을 모시고 울산, 온산, 포항, 형산강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홍성진 교수님께서는 현재 충남대학교 부교수로 재직하시며 해양환경과학에 대해 가르치고 계십니다. 울산은 자동차, 석유화학-정유, 조선업이 발달한 대표적인 산업 도시로 1980년대에는 환경공해인 ‘온산병’이 발생하여 큰 피해를 겪기도 하였습니다.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임해공업단지에서 연안 환경에 대한 오염을 파악하기 위해 육상에서부터 연안까지의 오염물질의 이동, 영향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었습니다. 포항시는 제철...
2022-10-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랩세미나
논문세미나(2022/10/22)
2022년 10월 22일 논문세미나 발표 장소: 25-1호 304호 발표자 및 주제 김범기: 논문 발표-Low-frequency noise pollution impairs burrowing activities of marine benthic invertebrates 김호상: 논문 발표-Functional resilience of PSII, vertical distribution and ecosystem-level estimates of subsurface microphytobenthos in estuarine tidal flats 박신영: 논문 발표-Compariso...
2022-10-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의
바다과학기행-오염총량제
오늘 '바다과학기행' 8주차 수업에서는 게스트로 김태우 박사님을 모시고 오염총량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3주차 경기만과 5주차 신안을 주제로 했던 수업에 오셨던 김태우 박사님께서 캐나다로 떠나시기 전에 마지막 수업으로 와주셨습니다. 현재 연안 환경관리해역에는 어떤 지역이 위치하고 있는지, 특별관리해역이란 무엇인지 설명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연구를 진행하신 울산과 마산에 대해서 어떠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셨고, 그 결과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특히, 마산만 실험으로 현장 메조코즘에 대한 디자인 설명과 함께 실험이 실...
2022-10-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