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갯끈풀
안녕하세요. 이번 이달의 생물에서 소개해드릴 생물은 바로 ‘갯끈풀 (Spartina anglica)’입니다. 이전 이달의 생물에서 소개했던 생물들은 고둥, 어류 등 위주로 소개했는데 이번에는 갑자기 왜 풀이냐고요? 그 이유는 바로 갯끈풀이 우리 해...
2017-0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넙치
이번 12월에 소개해 드릴 생물 종은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넙치입니다! 흔히 수산시장이나 항구에서 광어라는 이름으로 많이 접하셨을텐데, 이때 광어는 한자입니다. 몸이 납작하게 크다는 의미로 넓을 광(廣), 물고기 어(漁) 라고 불리고, 가자미 목 넙칫과에 속하는 어류예...
2016-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갯가재
이번에 소개할 생물은 ‘바다의 무법자’ 갯가재 입니다. 혹시 수산시장에 지나다니다가 사진과 같이 새우랑 비슷하지만 다리 모양이 다른 생물을 보신 적이 있나요? 뒤쪽 가슴다리에 집게가 없는 사진의 주인공은 바로 갯가재입니다. 갯가재는 자기...
2016-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농게
저희 실험실에서 유부도 갯벌(http://benthos.snu.ac.kr/?p=9422 참고)을 방문했을 때였습니다. 저희가 갯벌 안으로 들어가기도 전에 갯벌 초입부에서 집게발을 번쩍 들고 ‘저요!’ 하며 존재감을 드러내는 녀석들을 발견했습니다. ...
2016-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돌돔
그림 1. 한가로이 유영 중인 돌돔 치어 모습 회색 바탕에 검은 줄무늬를 가진 이 물고기를 보신적이 있는지요? 9월 이달의 생물에서는 낚시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어종 중의 하나인 ‘갯바위의 제왕’ 돌돔에 대해서 설명하고, 저희 연구실에서 진행되고 돌...
2016-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미세조류 2
8월, 이달의 생물 에서 소개해 드릴 생물은 ‘미세조류 (Microalgae) – Dunaliella sp. ’ 입니다. 지난 4월에 ‘저서미세조류’를 소개해 드린 적이 있는데, 그보다 더 큰 분류군에 속합...
2016-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밤게
무더위와 모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더운 계절인 7월에 접어들었습니다. 모두들 시원한 물을 찾아 계곡과 바다로 피서들을 많이 떠나는 데요, 그 중 서해의 갯벌 체험도 요즘 뜨고 있는 피서의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합니다. 점차 갯벌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해양...
2016-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홍합
날이 점점 더워지는 6월. 하늘의 태양이 쨍쨍할수록 넓게 펼쳐진 파란 바다를 그리워하게 되는 거 같습니다. 바다는 우리에게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히 바다로부터 오는 먹거리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합니다. 수 많은 바다의 먹거리 중 홍합은 홍합탕, 홍합볶음, 홍...
2016-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조피볼락
이번에 소개해드릴 종은 조피볼락, 흔히 불리는 다른말은 ‘우럭’입니다. 볼락에는 아주 많은 종류가 있지만 그 중 조피볼락은 국내에서 양식되는 어종 중 TOP 3 안에 속하며, 넙치와 함께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수산양식어류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이 글을...
2016-05-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저서미세조류
4월의 생물로 소개해드릴 주인공은 저서미세조류(microphytobenthos, MPB)입니다. 사실, 저서미세조류는 생물 이름이 아니라 저서에 살면서 광합성을 하는 작은 생물들을 총칭하여 부르는 인위적인 그룹이랍니다. 지역에 따라 종 조성에 차이는 있지만 이 그룹에서...
2016-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산호
이번 바다생물 이야기의 주인공은 산호입니다.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자태를 가진 산호는 나무와 유사한 생김새 때문에 한 때 식물로 오해받기도 하고, 심지어 광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지금은 명실상부한 저서생태계의 대표적인 생물입니다. 분류학상으로는 동물계, 자포동물문, 산호...
2016-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굴
굴 (Oyster) 서양에서 바다의 우유라고 불리는 이 생물은 무기염류성분인 아연, 셀레늄, 철분, 칼슘등이 풍부해 한때는 강장제로 여겨졌던 영양가 많은 생물입니다. 무침, 밥, 부침개 국등 많은 요리에 사용되는 2월 이달의 생물은 그렇습니다 바로 굴입니다. 껍데기 색...
2016-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