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동물 갯게
안녕하세요, 따스한 봄바람이 불어오는 4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갯게(Chasmagnathus convexus)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절지동물문>연갑강>십각목>참게과>갯게속에 속합니다. 갯게는 생물의 사체나 갈대 등의 유기물을 섭취하여 갯벌...
2024-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3월 이달의 생물은 ‘괭생이모자반’입니다.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Turner) C. Agardh, 1820)는 분류학적으로 유색조식물계>대롱편모조식물문>갈조강>말목>모자반과>모자반속에 속합니다. 우리나라 전...
2024-03-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2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내용은 우점종입니다. 1. 정의 우점(dominant)이라는 용어는 우선적으로 혹은 우위를 점하여 군집 환경 내에서 가장 수가 많거나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는 군집(종)의 상태를 말합니다. 어떤 환경에서 우점 상태를 이룬 종을 ...
2024-01-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1월 이달의 생물은 ‘전복류’입니다. 전복류(Abalones)는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 > 복족강 > 등구멍고둥목 > 전복과 > 전복속에 속합니다. 한국의 조간대 하부에서 조하대 얕은 수심 20 m 이내에 서식하고 대부분 해조류가 많은 ...
2024-0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12월 이달의 생물은 ‘굴’입니다. 굴은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굴목> 굴과에 속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은 굴 Magallana gigas (Thunberg, 1793)이며 전세계적으...
2023-12-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민어
안녕하세요. 11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민어(Miichthys miiuy Basilewsky, 1855)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조기강>농어목>민어과에 속합니다. <민어,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민어의 형태적 특성을 보면 몸길...
2023-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가을이 한창 익어가는 10월 이 달의 생물로는 아마 생소하실 수 있는 모새달(Phacelurus latifolius)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모새달이라는 이름은 고운 모래라는 의미의 ‘모새’에 생김새가 닮은 달뿌리풀의 ‘달...
2023-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9월 이달의 생물로 부착생물(periphyton)을 소개하겠습니다. 부착생물은 점착성 세포외고분자물질(EPS)을 분비하여 식물, 동물, 암석 등의 기질에 붙어 살아가는 생물들을 말합니다. 여기서 세포외고분자물질(EPS)과 한국 갯벌에 대해서 좀 더 궁금하신...
2023-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8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상괭이(Neophocaena phocaenoides Pilleri & Gihr, 1972)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포유강>경우제목>쇠돌고래과에 속합니다. <상괭이, 출처: The Kore...
2023-08-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숭어
안녕하세요. 7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숭어(Mugil cephalus Linnaeus, 1758)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조기강>숭어목>숭어과에 속합니다. <숭어(위). 가숭어(아래),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조선시대...
2023-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3년 6월 이달의 생물은 ‘놀래기’ 입니다. 놀래기의 학명은 Halichoeres tenuispinis (Günther, 1862)이며 분류학적으로는&nbs...
2023-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5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내용은 독도의 저서생물입니다. 1. 개괄 독도는 울릉도와 오키 군도 사이에 있는 섬으로 동도와 서도를 포함한 총 91개의 크고 작은 바위섬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동경 131° 52' 10.3", 북위 37° 14'...
2023-05-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