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밤게
무더위와 모기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바야흐로 더운 계절인 7월에 접어들었습니다. 모두들 시원한 물을 찾아 계곡과 바다로 피서들을 많이 떠나는 데요, 그 중 서해의 갯벌 체험도 요즘 뜨고 있는 피서의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합니다. 점차 갯벌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해양...
2016-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홍합
날이 점점 더워지는 6월. 하늘의 태양이 쨍쨍할수록 넓게 펼쳐진 파란 바다를 그리워하게 되는 거 같습니다. 바다는 우리에게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특히 바다로부터 오는 먹거리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무궁무진합니다. 수 많은 바다의 먹거리 중 홍합은 홍합탕, 홍합볶음, 홍...
2016-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조피볼락
이번에 소개해드릴 종은 조피볼락, 흔히 불리는 다른말은 ‘우럭’입니다. 볼락에는 아주 많은 종류가 있지만 그 중 조피볼락은 국내에서 양식되는 어종 중 TOP 3 안에 속하며, 넙치와 함께 가장 많이 소비되는 수산양식어류중에 하나이기 때문에 이 글을...
2016-05-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저서미세조류
4월의 생물로 소개해드릴 주인공은 저서미세조류(microphytobenthos, MPB)입니다. 사실, 저서미세조류는 생물 이름이 아니라 저서에 살면서 광합성을 하는 작은 생물들을 총칭하여 부르는 인위적인 그룹이랍니다. 지역에 따라 종 조성에 차이는 있지만 이 그룹에서...
2016-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산호
이번 바다생물 이야기의 주인공은 산호입니다. 형형색색의 아름다운 자태를 가진 산호는 나무와 유사한 생김새 때문에 한 때 식물로 오해받기도 하고, 심지어 광물로 여겨지기도 했지만 지금은 명실상부한 저서생태계의 대표적인 생물입니다. 분류학상으로는 동물계, 자포동물문, 산호...
2016-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굴
굴 (Oyster) 서양에서 바다의 우유라고 불리는 이 생물은 무기염류성분인 아연, 셀레늄, 철분, 칼슘등이 풍부해 한때는 강장제로 여겨졌던 영양가 많은 생물입니다. 무침, 밥, 부침개 국등 많은 요리에 사용되는 2월 이달의 생물은 그렇습니다 바로 굴입니다. 껍데기 색...
2016-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맹그로브
맹그로브 (Mangrove)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보면, 간혹 해안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숲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국적이다”, “아름답다” 라는 생각을 하겠지만, 곧 이런 의문...
2016-0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니모(크라운퍼큘러)
우리 실험실 내 배양실에서는 다양한 실험종과 관상종을 사육하고 있는데, 최근 변화가 있습니다. 새로운 대형축양수조를 설치하고, 저온에서 사육하고 실험할 수 있는 저온실 내에 새로운 2동의 축양장을 설치해서 이제는 총 6동의 축양장을 보유하고있는 실험실이 되었네...
2015-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여름철 바닷가로 여행을 가면 다양한 저서동물들과 마주할 수 있습니다. 어릴 적 갖고 놀던 게와 형형색색의 말미잘, 올망졸망한 따개비와 삿갓조개는 여러분의 기억 한 켠에 자리하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모래알이나 갯벌의 진흙을 좀 더 유심히 들여다보면 훨씬 더 작은 생물들...
2015-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단각류 2
사진 1. Monocorophium uenoi, male, antenna 1 removed, 18/07/2013, Yerseke. Photograph by M.A. Faasse 이달의 생물은 단각류입니다! 단각류는 14번째 이달의 생물에서도 한번 소개된적이 있는데요. ...
2015-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동죽
지난밤 술을 거하게 하시고 오신 아버지… 아침이 되자 속이 쓰려서 우는 소릴 내십니다. 우리 어무이, 이를 보고 아버지 해장 메뉴를 고민하시는데… <보기만해도 시원해지는 동죽 조개탕> 우리 어무이의 비밀 필살 해장 시크릿은 바로 조개탕이었습니다. 항상 조개를...
2015-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그림 1. 구멍갈파래 우점지역인 통영의 손덕마을 인근 조간대> 연이은 폭염주의보로 말미암아 시원한 파도소리와 수박이 절로 생각나는8월, 이달의 해양생물은 조간대에서 어느 때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구멍갈파래” 입니다. 앞서 ...
2015-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