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맹그로브 (Mangrove) 열대 또는 아열대 지역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나 다큐멘터리를 보면, 간혹 해안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숲을 볼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이국적이다”, “아름답다” 라는 생각을 하겠지만, 곧 이런 의문...
2016-0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실험실 내 배양실에서는 다양한 실험종과 관상종을 사육하고 있는데, 최근 변화가 있습니다. 새로운 대형축양수조를 설치하고, 저온에서 사육하고 실험할 수 있는 저온실 내에 새로운 2동의 축양장을 설치해서 이제는 총 6동의 축양장을 보유하고있는 실험실이 되었네...
2015-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여름철 바닷가로 여행을 가면 다양한 저서동물들과 마주할 수 있습니다. 어릴 적 갖고 놀던 게와 형형색색의 말미잘, 올망졸망한 따개비와 삿갓조개는 여러분의 기억 한 켠에 자리하고 있을 겁니다. 하지만 모래알이나 갯벌의 진흙을 좀 더 유심히 들여다보면 훨씬 더 작은 생물들...
2015-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사진 1. Monocorophium uenoi, male, antenna 1 removed, 18/07/2013, Yerseke. Photograph by M.A. Faasse 이달의 생물은 단각류입니다! 단각류는 14번째 이달의 생물에서도 한번 소개된적이 있는데요. ...
2015-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동죽
지난밤 술을 거하게 하시고 오신 아버지… 아침이 되자 속이 쓰려서 우는 소릴 내십니다. 우리 어무이, 이를 보고 아버지 해장 메뉴를 고민하시는데… <보기만해도 시원해지는 동죽 조개탕> 우리 어무이의 비밀 필살 해장 시크릿은 바로 조개탕이었습니다. 항상 조개를...
2015-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그림 1. 구멍갈파래 우점지역인 통영의 손덕마을 인근 조간대> 연이은 폭염주의보로 말미암아 시원한 파도소리와 수박이 절로 생각나는8월, 이달의 해양생물은 조간대에서 어느 때나 쉽게 관찰할 수 있는 “구멍갈파래” 입니다. 앞서 ...
2015-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세포
2015년 7월 이달의 생물은 "세포"입니다. 오잉 해양생물 컬렉션에 뜬금없이 세포?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실 텐데요. 세포가 해양 생태계를 평가하는데 얼마나 중요한지 지금부터 말씀 드리겠습니다! 약간 어려울 수도 있으니 지금부터 집중. ...
2015-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5년 6월 이달의 생물 “해양 발광박테리아 - “Vibrio fischeri” 뜨거운 여름, 시원한 바다가 생각나는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밤 바다에서 수영을 하다보면, 바닷 물 속에서 반짝이는 빛을 볼 수 있는데요. 이것은 바로 빛을 내는 오징어...
2015-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푸른 바다를 찾아가보면 우리는 바닷가에서 많은 생물들을 볼 수 있습니다. 보통 생물들은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몸을 자갈이나 모래 밑에 숨기고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바다생물을 찾아서 열심히 주변을 살피며 돌을 들어내거나 모래를 파게 됩니다. 돌을 들게 되면 많은 생...
2015-05-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어릴적 바닷가에서 놀던 중 조그마한 바윗돌을 들쳐보다가 깜짝 놀란적이 있다. 혐오스럽게 생긴 정체불명의 괴기 생명체가 꿈틀꿈틀 거리는 장면에 소스라치게 놀랐던 것이다. 바닷가 근처에서 자랐던 터라 해삼, 멍게, 말미잘과 같은 바다생물들은 그저 친근한 장난감들이었는데, ...
2015-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봄바람이 살랑이는 3월의 끝자락을 함께한 해양생물은 갈대와 칠면초 입니다. 2013년 국제정원박람회가 개최되었던 순천만을 기억하시나요? 지난 1월 우리 연구진들이 '순천만'을 방문하여 그곳에서 간직해온 아름다움을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자아. 함께 떠나볼까요? 전라...
2015-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손을 붙잡고 해변을 걷다 보면 제 눈을 사로잡던 모래경단 들이 있었습니다.모래갯벌에 수놓인 모래경단들은 저에겐 커다란 도화지에 그려진 하나의 작품 같았고, 이 멋진 작품들이 부셔질까 어린마음에 조심조심 걷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렇다면 이 작품들은 ...
2015-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