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2022년 4월 이달의 생물은 ‘민꽃게’입니다. <민꽃게 외형 특징> 민꽃게는 분류학적으로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에 속합니다. 일부 지역에서는 돌게, 박하지, 무당게, 뻘떡게라고도 불립니다. 한국, 대만, 일본 근해와 말...
2022-04-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3월 소개드릴 이달의 생물은 ‘말미잘’입니다. 말미잘은 자포동물문(Cnidaria)의 산호충강(Anthozoa) 해변말미잘목에 속하는 분류군입니다. 미잘의 뜻은 항문인데 말의 항문처럼 생겨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말도 있습니다. 말미잘하면 독이 가장 먼저 생...
2022-03-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여러분은 남극 하면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시나요? 아마 많은 분들이 매서운 추위와 꽁꽁 얼어붙은 땅과 바다가 생각나실 겁니다. 오늘은 그 차가운 바닷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물고기를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남극의 바다에는 남극암치아목에 속하는 물고기만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
2022-02-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월 이달의 생물은 맛있기로 유명한 "보리새우” 입니다. <보리새우(출처: 위키백과)> 보리새우(Marsupenaeus japonicus)는 십각목 보리새우과의 갑각류이자 새우로 수산시장과 어민들 사이에서는 “오도리”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보리새우...
2022-01-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농어
2021년 12월 이달의 생물은 농어입니다. 농어(Lateolabrax japonicus, Japanese seabass)는 주걱치목(Pempheriformes) 농어과(Lateolabracidae)에 속하는 해산어류로 지역에 따라 어린 개체를 깔따구, 까지메기로도 불...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11월 이달의 생물은 ‘갯민숭달팽이’입니다. 갯민숭달팽이는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 복족강> 나새목에 속합니다. 전 세계 바다 곳곳에 분포되어 있으며 한국에는 전해역의 조하대에 주로 분포합니다. 갯민숭달팽이는 바다를 뜻하는 &...
2021-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10월에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 이달의 생물은 바로 우산종(Umbrella species)입니다. 1. 정의 우산종(Umbrella species)은 특정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층에 있는 종으로 해당 종에 대한 보전 노력을 통해 그 종이 속한 생태계 내 하위...
2021-10-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2021년 9월 이달의 생물은 ‘강도다리’입니다. 강도다리는 가자미목 가자미과에 속하며 학명은 Platichthys stellatus 입니다. 보통 몸길이는 30 cm 내외 정도 되지만 크게는 최대 1 m, 몸무게 90 kg까...
2021-09-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전 세계 1,300만 마리에 불과한 ‘청다리도요사촌’을 지켜주세요! 안녕하세요. 2021년8월 이달의 생물은 ‘청다리도요사촌’입니다. 이전 이달의 생물과 다르게 이번에는 바다새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청다리도요...
2021-08-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저희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에서 7월에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 이달의 생물은 바로 갯벌에 사는 대형저서동물들의 ‘서식굴’입니다. 1. 개요 서식굴은 갯벌에 서식하는 바다생물들이 갯벌 내부로 굴을 파고 만든 서식 공간을 말한다. 생물은 굴을 ...
2021-06-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크릴
6월에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 이달의 생물은 바로 난바다곤쟁이(크릴, Krill)입니다. 1. 크릴의 분류 난바다곤쟁이(크릴)는 절지동물문 (Arthropoda) > 연갑강(Malacostraca) > 난바다곤쟁이목(Euphausiacea)에 속하는 갑각류를 ...
2021-05-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잘피
2021년 5월 이달의 생물은 잘피입니다. <잘피, 출처: Wikipedia> 잘피(seagrass) 또는 해초(海草)는 해수에 완전히 잠겨서 자라는 속씨식물을 통칭합니다. 단자엽 외떡잎 초본식물에 속하며 꽃이 피는 현화식물로 다시마...
2021-04-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