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쥐노래미
2023년 4월 이달의 생물은 ‘쥐노래미’ 입니다. Hexagrammos otakii (Jordan & Strarks, 1895) 쥐노래미는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쏨뱅이목> 쥐노래미 속에 위치합니다. 회나 탕으로 요리하거나 말려서...
2023-04-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눈콩게
2023년 3월 이달의 생물은 ‘눈콩게’입니다. 눈콩게는 분류학적으로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콩게과> 엽낭게속에 속합니다. 성체의 갑각은 길이 6mm, 폭 8mm정도로 아주 작은 소형게입니다. 조간대 모래에 서식하며 한...
2023-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퉁퉁마디
안녕하세요. 2023년 두 번째 이 달의 생물은 퉁퉁마디(Salicornia europaea)입니다. 여러분은 혹시 퉁퉁마디라는 이름을 들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갯벌이나 식물에 관심이 많다면 한 번쯤 들어보셨을 수도 있는 이름일텐데요. 생김새를 본다면 왜 저런 이름이 ...
2023-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2023년 새해를 맞아 준비한 이달의 생물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수산물 “이매패강”입니다. 이매패강(Class, Bivalvia)은 연한 몸과 외투막을 가진 연체동물문(Phylum, Mollusca)에 속하며 두 장의 패각(껍질)을 가집...
2023-01-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옴조개치레
2022년 12월 이달의 생물은 ‘옴조개치레’ 입니다. Paradorippe granulata (De Haan, 1841) 옴조개치레는 분류학적으로는 절지동물문> 연갑각강> 십각목> 옴조개치레 속에 위치합니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갑...
2022-12-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참돔
2022년 11월 이달의 생물은 ‘참돔’입니다. 참돔(Pagrus major)은 분류학적으로 조기어강 > 도미목 > 도미과 > 참돔속에 속합니다. 도미과에 속하는 어류에는 참돔, 감성돔, 황돔, 붉돔 등등 다양한 어종이 있는데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
2022-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비늘백합
2022년 10월 이달의 생물은 ‘비늘백합’입니다. 비늘백합(Mercenaria stimpsoni Gould, 1861)는 분류학적으로 이매패강 > 백합목 > 백합과 > 비늘백합속에 속합니다. 한국의 강원 연안, 세계적으로는 일본, 러시아, 쿠릴열도에 ...
2022-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피뿔고둥
2022년 9월 이달의 생물은 ‘피뿔고둥’입니다. 피뿔고둥(Rapana venosa, veined rapa whelk)는 분류학적으로 신복족목 뿔소라과에 속합니다. 우리나라 밥상에 가끔 올라오기도 한 친근한 복족류입니다. <피뿔고둥, 출처: 해양저서생...
2022-09-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부세
2022년 8월 이달의 생물은 ‘부세’입니다. 부세(Larimichthys crocea, yellow croaker)는 분류학적으로 농어목 민어과에 속합니다. 참조기와 마찬가지로 주로 굴비를 만드는데 사용됩니다. <옆으로 납작하고 뒤쪽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외형의...
2022-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히드라
2022년 7월 소개드릴 이달의 생물은 ‘히드라’입니다. 히드라(학명: Hydridae)는 자포동물문 히드라충강 히드라충목 히드라과에 속하는 생물로 원통형 몸통에 여러 개의 촉수가 달린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로 담수나 해양에 부착하여 살아가며 촉수를 이용하여 물벼...
2022-07-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기타
해양지시종
안녕하세요. 6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내용은 해양지시종(Indicator species)입니다. 1. 정의 해양지시종(Indicator species)은 생물의 기능적 측면에서 존재 여부에 따라 해양환경의 상태를 나타내거나 지시하는 종을 지칭합니다. 지시종은 분류군의...
2022-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감성돔
2022년 5월 이달의 생물은 ‘감성돔’입니다. 감성돔(학명: Acantopagrus scblegeli)은 도미과에 속하는 해수어입니다. 이름은 검은 돔에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되며 감상어, 먹도미, 감성도미, 감셍이, 구릿, 맹이, 남정바리 등으로...
2022-05-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