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선형동물
안녕하세요. 2019년 4월의 이달의 해양생물은 선형동물입니다. 저번 20번째 이달의 해양생물에서 작은 모래알이나 갯벌의 진흙 사이에 살아가는 중형저서동물들에 대해서 소개해 드렸는데요. 오늘의 주인공인 선형동물은 지난번 앞서 소개해드렸던 중형저서동물 그룹에 속하는 생물...
2019-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낙지
안녕하세요. 3월 이달의 생물은 갯벌의 포식자인 낙지입니다. 낙지의 이름은 한자어로 보통 석거(石距)라 하고 소팔초어(小八梢魚)·장어(章魚)·장거어(章擧魚)·낙제(絡蹄)·낙체(絡締) 등의 이름도 있습니다. 방언에서는 낙...
2019-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대게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올 새해 복 많이 받기를 기원하며, 이달의 생물의 주인공은 바로 ‘대게’ 입니다. 한국인이라면 한번쯤 먹어 봤을 명물 ‘대게’. 우리가 먹는 이 ‘대게’는 학명으로 Chiono...
2019-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미세조류 3
안녕하세요. 이번 이달의 생물에서는 전에도 두 번 소개드렸던 미세조류와 함께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에 대하여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먼저 해양 산성화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산업혁명이 시작될 무렵의 바다는 약알칼리성으로 8.2~8.3 정도의 pH...
2019-0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점박이 물범 2
안녕하세요! 이번 이달의 생물에서 소개해드릴 생물은 바로 '점박이 물범'입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우리나라에도 물범이 살아? 라고 말씀하실지도 모르겠지만, 엄연히 우리나라에서 살고 있는 친구입니다! 우선 점박이 물범은 물범의 한종류 이며, 학명은 Phoca l...
2018-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개조개
8월 이달의 생물은 개조개(butter[purplish] clam)입니다. Saxidomus purpurata 라는 학명을 가진 개조개는 연체동물문(Mollusca) 이매패강(Bivalvia) 백합목(Veneroida) 백합과(Veneridae)에 속합니다. 패각 표면...
2018-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풍선장어
심해, 빛이 들어오지 않는 수심 200m 이상의 깊은 바다에서는 우리가 아직 알지 못하는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수심이 깊어짐에 따라 빛은 차단되어 식물 플랑크톤의 광합성이 불가능해집니다. 이에 많은 과학자들은 심해생태계는 어둡고 산소도 희박하기 때문에 생물...
2018-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갯지렁이
이달의 생물은 바로 ‘갯지렁이’ 입니다. 2013년 이달의 생물로 한번 소개시켜드린적이 있는데요! 이번엔 그 갯지렁이 중에서도 흰이빨참갯지렁이,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버들갯지렁이를 소개시켜 드리려고 합니다. 먼저 흰이빨참갯지렁이를 보실까요? 흰이빨...
2018-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대수리
안녕하세요. 이번에 소개해드릴 ‘이달의 생물’은 바로 ‘대수리’입니다. 대수리라는 생물 이름을 처음 들어오셨다고요? 하지만 사진을 보게 되면 ‘아! 바다에서 봤던 고둥이 바로 대수리였구나!’하고 무릎을 탁...
2018-05-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식물
칠면초
이번에 이달의 생물에서 소개해드릴 생물은 바로 칠면초입니다. 칠면초는 우리나라 펄갯벌의 대표적인 염생식물로 바닷물에 잠기며 토양염농도가 높은 곳에 분포하는데, 잎은 다육성입니다. 침수에 강해 갯벌에서는 주기적으로 침수되는 저조선 부근, 기수지역에서는 강 하구지역에 주로...
2018-04-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산호 3
안녕하세요! 이달의 생물! 이번에 소개해드릴 생물은 바로 '산호'입니다! 이전에 우리나라에 사는 산호에 대해 소개해드렸는데 이번엔 현재 해양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산호가 겪는 최근 현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다 속 아름다운 경관을 이루게 하는 산호가 어떤...
2018-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바다새
생물 채집을 위해 갈쿠리나 삽으로 갯벌 바닥을 긁어놓으면, 뻘 아래 살던 생물들이 밖으로 기어나와 우왕좌왕하곤 합니다. 그리고 어디선가 갈매기들이 날아와 저희를 졸졸 따라다니기 시작합니다. 저희가 지나간 자리에서 방황하는 갯지렁이 같은 저서생물을 얻어먹으려는 심산이지요...
2018-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