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2021년 4월 이달의 생물은 갯지렁이입니다. 갯지렁이(polychaete worms)는 이달의 생물에 이미 2번이나 게시가 되었을 정도로 해양생태계에서 빠져서는 안되는 중요한 생물이며, 특히 해양저서생태계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 중의 하나입니다. 그동안 우리나라 갯...
2021-03-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군부2
2021년 3월 이달의 생물은 군부입니다. ‘군부’란 연체동물문 다판강에 속하는 모든 종을 통틀어 이르는 말입니다. 다판강은 판이 많다라는 뜻이며 라틴어 학명도 같은 의미입니다. 판, 즉 패각은 모두 8장으로 되어 있고 머리에서부터 항문 쪽으로 기...
2021-02-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2월 이달의 생물은 저서미세조류입니다. <저서미세조류 live cell, 서울대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1월 이달의 생물은 거대한 해조류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이달의 생물은 저서미세조류(microphytobenthos, MPB)에 대해 알아보겠습...
2021-01-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1월 이달의 생물은 해조류입니다. <자이언트 켈프, oceana> 지난 해조류 1편에서 해조류에 대한 간단한 설명과 함께 해조류 채집, 동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면 2021년 1월 해조류 2편에서는 해조류의 생태와 대표 종을 알아보겠습니다. 해조...
2020-12-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0년 12월 이달의 생물은 ‘웃는 돌고래’라는 별명을 가진 상괭이입니다. 우리나라 서해안에 주로 분포하는 상괭이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는 쇠돌고래과 (Family Phocoenidae)에 속하는 쇠돌고...
2020-12-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0년 11월 이달의 생물은 깃대종입니다. 깃대종(Flagship species)은 유엔환경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에 의해 제안된 개념으로 특정 지역의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2020-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0년 10월 이달의 생물은 태형동물입니다. 태형동물은 보통 이끼벌레로 알려져 있고, 그리스어 이끼 ‘bryon’와 동물 ‘zōon’에서 유래하였습니다. 전 세계 1만 여종이 담수 및 해양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
2020-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0년 9월 이달의 생물은 완족동물입니다. 완족동물(Brachiopoda)의 학명은 그리스어로 팔을 의미하는 ‘brachion’과 발을 의미하는 ‘poda’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완족동물의 촉수관이 발과 비슷한 모양으로 마치...
2020-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살파
2020년 8월 이달의 생물은 이름도 생소한 살파(Salpa)입니다. 살파는 척삭동물문 탈리아강에 속하는 대형 플랑크톤의 일종입니다. 젤라틴으로 된 투명한 껍질인 피낭을 가진 동물로 몸이 투명하여 신체의 내부 구조가 그대로 보이는 특징을 가집니다. 전 세계적으로 80여...
2020-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7월의 이달의 생물은 동문동물입니다. 1. 개괄 동문동물은 바다에 서식하는 체장 1mm 이하의 부유성 소형 생물군인 동문동물문(Phylum Kinorhyncha)을 일컫습니다. 학명의 어원은 그리스어인 움직이다(kineo)와 주둥이(rhyncho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2020-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강치
6월의 이달의 생물은 강치입니다. 강치라는 생물은 지금껏 소개드렸던 생물들보다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을 것입니다. 강치의 학명은 Zalophus japonicus (Peters, 1866)이고, 국명으로는 ‘바다사자’입니다. 이제 강치의 모습이...
2020-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0년 5월 이달의 생물은 ‘극피동물’입니다. 지난 2015년 4월과 2019년 8월에 각각 거미불가사리와 성게를 소개해드린 적이 있었습니다. 이 생물들이 모두 극피동물문에 속합니다. 개괄 극피동물(echinoderms)은 극피동물문(echinodermata)에 속...
2020-05-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