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HOW] 탄소중립 대안 갯벌(上)-'블루카본'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 [1.5℃ HOW] 탄소중립 대안 갯벌(下)-'바다의 허파' 현 주소는?
2023-06-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순천만국제정원박람회를 계기로 에코시티의 모델이 된 순천! 그 모태가 되는 ‘순천만 갯벌’의 가치 재발견 기후변화 대응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이슈가 된 요즘, 생물 다양성과 탄소 흡수력으로 기후 위기의 해답이 될 미래 생태자원으로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순천만 갯벌’. 특히 올해 가장 성공한 행사로 주목 받는 2023순천만국제정원박람...
2023-06-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경ESG] "한국에 큰 도움"…동남아에서나 보던 '그 나무' 조만간 상륙
2023-06-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조선비즈] 탄소 먹는 인니 ‘그 나무’ 2040년 韓 상륙… 블루카본 잠재력 기대하는 정부
2023-06-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경제야놀자] 세계문화유산 대한민국 갯벌! 하지만 아직 인정 못 받는 이유가 있다?! [서울대 김종성 교수님] /에너지썰
2023-06-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경제야놀자] 탄소 빨아들이는 갯벌! 그런데 우리나라 인정받는 갯벌은 겨우 1%?! [서울대 김종성 교수님] /에너지썰
2023-06-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 갯벌이 국제적으로 인정을 받으려면 우리 갯벌의 비 식생 갯벌을 먼저 인정받아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인정을 받는 몇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합니다. 우선 갯벌이 탄소를 오랫동안 격리한다는 것과 보편적으로 탄소를 흡수한다는 것을 밝혀야 하며 갯벌이 있는 국가들이 자국의 탄소 흡수량과 침적량을 연...
2023-06-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