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30일 ‘글로벌 중추국가를 향한 신해양강국’ 구현을 위한 제21회 함상토론회가 ‘독도함’과 ‘한산도함’에서 개최됐다.
2024-06-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스경제] [지구의 경고 1.5℃] 세계유산 韓 갯벌, 연 26만t 이산화탄소 흡수
2024-06-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풍력발전기가 암반을 좋아하는 물고기들을 끌어들여 새로운 생태계를 조성, 긍정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 [SBS 8뉴스 ] '생태계 논란' 그 후 7년…기자가 직접 들어간 바닷속 풍경
2024-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스경제] "K-해양, 조선업 위주에서 나아가 해양탄소제거 등 스타산업 발굴해야" [한국농어민신문] 제29회 바다의 날 기념식 개최 [대한경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안보를 넘어 기후위기 시대 지속 가능한 바다를 그리다 [충청뉴스] aT, 안보를 넘어 기후위기 시대 지속 가능한 바다를 그리다 [국제뉴스]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바다의 날 '글로벌 중추 국가...
2024-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4년 5월 29일 수요일, 국내 언론매체인 헤럴드경제와 중국의 주요 언론매체인 신화통신에서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을 방문하여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기자단이 방문한 본 인터뷰에서 김종성교수님께서는 연구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한중 연구를 소개하였으며 추가로 연구실을 돌며 ‘과학기술기반 해양환경영영향평가 기술개발’ 및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
2024-05-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기후위기 해결사로 떠오른 바다는 지구에서 가장 큰 탄소 저장고입니다. 저탄소식품인 우리 수산물이 미래 위협을 극복할 대안이라는 건데, 내일 바다의 날의 맞아 그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바다의 가치와 탄소중립 해법을 찾기 위해 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해군, 대학 등이 머릴 맞댔습니다. 독도함 함상에서 '신해양 강국', 특히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실천방안...
2024-05-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해양수산부 인생수필] 해양에서 탄소를 흡수하는 블루카본 - 김형기 해양환경과학과 교수
2024-05-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전자신문] 국립광주과학관, 18~19일 '2024 광주과학발명페스티벌' 개최…체험 행사 풍성 [뉴시스] '로봇·기초과학 체험' 국립광주과학관 발명축제…5·18 무료개방
2024-05-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현대해양] 바다숲 블루카본 국제인증 받으려면…바다식목일 기념 국제포럼 열려
2024-05-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