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KDO, an Island Full of Infinite Potentials
2023-10-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National Geographic] South Korea is a test case on how to fight an ecological disaster
2023-08-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헤럴드경제] 현대차 정몽구 재단, 기후테크 지원 사업 ‘그린 소사이어티’ 출범
2023-08-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연합뉴스] [대학人] (29) '강력한 탄소흡수원' 블루카본 연구하는 권봉오 교수
2023-07-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블루카본의 보고, 우리 바다를 사수하라 현재 우리는 2단계 블루카본 사업에서 하는 일이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갯벌을 중심으로 한 탄소 흡수원으로의 메커니즘을 밝히고, 갯벌이 국제사회에서 탄소 감축원으로 인정받는 일련의 일들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우리나라 전체 해안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공법을 적용하여 탄소 흡수력을 증진하고 부가적으로 연한 침식을 ...
2023-07-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갯벌의 돈 되는 가치를 밝혀라 과거 갯벌이 쓸모없는 땅으로 인식됐을 때 간척과 매립으로 절반 가량이 이미 사라졌지만 지금 남아있는 갯벌을 돈이 되는 갯벌의 가치를 잘 알리고, 잘 보존할 것 인가를 새로운 화두로 두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지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동안 바다와 갯벌의 경제학적 서비스 가치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
2023-07-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바다가 특별한 이유 지난 40년 간 우리나라 갯벌은 전체 면적의 절반 정도가 사라지는 간척의 희생양이었다.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사라진 갯벌의 면적은 서울시의 4배에 달한다. 제주도보다 더 큰 땅의 갯벌이 모두 매워진 것이다. 그런데 그 갯벌이 너무나 고맙게도 탄소를 흡수하고 있다. 탄소를 흡수하는 메커니즘은 육상에서 나무가 자라면서 탄소를 흡수하...
2023-07-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