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블루카본을 사수하라! 우리나라는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기후 온난화로 인한 식물 생태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기후 재해로 지난 5년 새 축구장 132개 넓이에 해당하는 해면이 사라졌다. 지금 우리에게 어떤 선택이 남아있나? 바로 탄소 중립. 이것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이상 증가 되지 않도록 순 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 즉...
2022-07-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캐나다에도 전파된 한국 블루카본 연구…한-캐나다 과학기술대회 [출처] 현대해양
2022-07-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제2회 해양조사의 날 기념식 부산서 열려···전문가 특별강연도 [출처] 현대해양
2022-06-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갯벌은 연간 2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출처] 1.5°C MAGAZINE
2022-06-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블루카본 관련 법제도 고도화 방안은?···블루카본 정책 분야 세미나서 다뤄 [출처] 현대해양
2022-06-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 갯벌이 세계 2대 갯벌] 우리나라 갯벌이 세계 2대 갯벌 안에 든다? 우리나라 바다 생물이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단위 면적 당 생물의 종 수가 1등이다. 우리나라 갯벌의 저서 생물을 중심으로 한 동물들이 약 2 천 종 정도 가까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와덴해 저서 생물이 600~700종으로 우리나라가 5~6배 정도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나무만 탄소 흡수? 갯벌이 더 잘해요] 탄소중립이 화두가 된 시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건 숲만이 아니다. 훨씬 가성비가 높은 탄소감축원이 바로 갯벌이다. 숲에 흡수되는 탄소가 그린카본이라면, 갯벌 같은 바다에서 흡수되는 탄소가 블루카본이다. 다행히 한강하구에는 세계적인 갯벌이 펼쳐져 있다. 인사이드경인은 갯벌 전문가 안양대 해양바이오공학과 류종성 교수...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