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Media
새로운 탄소흡수원으로 주목받는 ‘갯벌’ [출처] 한국경제
2022-06-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 갯벌이 세계 2대 갯벌] 우리나라 갯벌이 세계 2대 갯벌 안에 든다? 우리나라 바다 생물이 전 세계적으로 봤을 때, 단위 면적 당 생물의 종 수가 1등이다. 우리나라 갯벌의 저서 생물을 중심으로 한 동물들이 약 2 천 종 정도 가까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는 와덴해 저서 생물이 600~700종으로 우리나라가 5~6배 정도 높다는 것이다. 이러한 ...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나무만 탄소 흡수? 갯벌이 더 잘해요] 탄소중립이 화두가 된 시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건 숲만이 아니다. 훨씬 가성비가 높은 탄소감축원이 바로 갯벌이다. 숲에 흡수되는 탄소가 그린카본이라면, 갯벌 같은 바다에서 흡수되는 탄소가 블루카본이다. 다행히 한강하구에는 세계적인 갯벌이 펼쳐져 있다. 인사이드경인은 갯벌 전문가 안양대 해양바이오공학과 류종성 교수...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나무만 탄소흡수? "갯벌이 더 잘해요" [인사이드 경인]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 갯벌이 세계 2대 갯벌 [인사이드 경인]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갯벌이 탄소 흡수 [출처] KBS 경인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갯벌이 탄소 흡수] 탄소 중립이 화두가 된 시대,  훨씬 가성비 높은 탄소 감축원이 바로 갯벌이다. 우리는 자연이 인간에게 주는 혜택을 생태계 서비스라고 개념을 붙여 이야기 한다. 바다에서 나오는 많은 수산물과 먹거리들이 갯벌에서 계속 공급이 되고 이러한 것들을 공급 서비스라 한다. 또한 갯벌은 육상과 바다의 완충 역할과 조절하는 역할도 하며 더불어 오염...
2022-06-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기후변화 해결할 '블루카본' 보전과 확대 나선다 [출처] K스피릿
2022-05-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울대 평생교육원, 모두를 위한 바다 수업, '바라는 바다' 강의 오픈 [출처] 현대해양
2022-05-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벌써부터 반팔을 꺼내 입을 정도로 더워진 5월 17일, 우리나라 갯벌의 블루카본을 주제로 취재를 위해 KBS 경인방송에서 저희 벤토스 연구실을 방문해 주셨습니다. 최근 더욱 대두되고있는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하여 바다의 탄소 흡수 능력, 즉 블루카본이 세계적으로도 크게 주목받고 있는데요, 우리나라에서는 갯벌이 블루카본으로써 매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2-05-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기후 위기와 해양] (17) 탄소 흡수하는 바다의 '블루카본' [연합뉴스]
2022-05-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과학적 해양환경영향평가 시스템 도입 위한 전문가 워크숍 성료 [출처] 현대해양
2022-04-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