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9-12 MBC뉴스데스크 [집중취재M] NASA가 주목한 우리 바다, 기후변화 제동장치 위기
2022-09-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NASA가 주목한 우리 바다, 기후변화 제동장치 위기 바다에서 자라는 김이나 미역 같은 해조류들, 또 갯벌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 중에 하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런 바다 식물들이 흡수하는 탄소의 양의 막대해서, 한마디로 기후 변화를 저지하는, 강력한 '브레이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하지만 최근 환경...
2022-09-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연합뉴스] 해수부, 제12회 연안포럼 개최..연안관리정책 발전 방향 모색 [에너지데일리] 기후위기시대, 해양쓰레기 해결 범정부 차원 대책 시급 '중론'
2022-09-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데일리안] [탄소 먹는 하마①] '블루 카본'이 뭐길래..열대 숲 대비 탄소 흡수 50배
2022-08-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환경일보] [2022 생물다양성 녹색기자단] 와이파이·e스포츠 외에도 우리나라가 1위인 것은?
2022-08-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습지 보호 지역으로 지정된 화성 매향리 갯벌. 한국전쟁 중이던 1951년부터 54년 간 미군의 폭격 훈련장으로 사용된 아픔의 땅이 평화의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다. 하늘에서는 계절 마다 멸종 위기 철새들이 날아오고 땅에서는 다양한 저서 생물의 생태계가 펼쳐지는 역동적인 생명의 세계로 탈바꿈했다. 매향 갯벌을 포함한 화성 습지를 무대로 검은 머리 물...
2022-08-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