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실에서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IF=14.224, 해당분야 상위 3%)에 출판한 논문 2편이 BRIC의 한빛사 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선정된 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제목: Identification of AhR agonists in sediments of the Bohai and Yel...
2022-07-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과학, 정책, 언론의 삼중주 우리나라는 정부 주도로 2021년 갯벌 생태계 서비스 가치가 연간 18조 원이라는 것을 확인하는 최근 연구 결과를 세계 최초로 발표하였다. 이렇듯 우리나라 과학자 연구 성과의 국제 인증을 위해 영향력 있는 과학 논문 한 편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렇게 과학자가 영향력 있는 논문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연 과학과 정책을 연결...
2022-07-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바다, 그리고 숨 쉬는 해안! 우리 바다는 크게 3면으로 나뉘어 있다. 첫째, 황토 빛 서해로 조차가 크고 퇴적층의 경사가 완만하며 수심이 낮다. 또한 강이 많아 퇴적물의 공급이 원활하여 갯벌이 넓게 발달하여 있다. 둘째, 핑크 빛 남해이다. 남해는 조차가 약간 있고 강도 있어서 어느 정도 갯벌이 발달해 있다. 다도해와 길고 복잡한 해안선이 특징이기도...
2022-07-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나라 갯벌이 세계 5대 갯벌이라고? 과거 갯벌의 규모와 지형적 측면을 고려해서 만들어진 상징적인 용어로 우리나라 서해 갯벌이 규모나 생물 다양성의 측면, 블루카본과 같은 탄소 흡수원으로서의 역할로 그 가치가 세계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낌없이 주는 갯벌. 전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해양 생물 다양성, 지질학적 특이성,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대 이동을...
2022-07-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기후변화, 블루카본을 사수하라! 우리나라는 특히 기후변화에 취약하다. 기후 온난화로 인한 식물 생태계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기후 재해로 지난 5년 새 축구장 132개 넓이에 해당하는 해면이 사라졌다. 지금 우리에게 어떤 선택이 남아있나? 바로 탄소 중립. 이것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이상 증가 되지 않도록 순 배출량이 '0'이 되도록 하는 것, 즉...
2022-07-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캐나다에도 전파된 한국 블루카본 연구…한-캐나다 과학기술대회 [출처] 현대해양
2022-07-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제2회 해양조사의 날 기념식 부산서 열려···전문가 특별강연도 [출처] 현대해양
2022-06-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갯벌은 연간 2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출처] 1.5°C MAGAZINE
2022-06-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블루카본 관련 법제도 고도화 방안은?···블루카본 정책 분야 세미나서 다뤄 [출처] 현대해양
2022-06-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