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Media
갯벌아 지구를 부탁해 [출처] KBS대전
2022-10-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틈새강연 WHY? - 블루 카본(Blue Carbon) 지금 전 세계적인 화두는 단연 탄소 중립입니다. 최근 6차 IPCC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온도 1.5도 상승 시점이 10년 이상 가속화 되고 있고, 우리나라 한반도가 특별히 더 기후변화에 노출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제 이산화탄소의 감축 혹은 흡수 전략이 필요한 때입니다. 국제사회에서 인정하는 블루 카본...
2022-10-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항공우주국 나사에서 대한민국의 이곳을 주목하고 있다고 합니다. 바로 나무 한 그루 자랄 수 없지만 무궁무진한 생명력이 숨어있는 갯벌. 김종성 교수는 갯벌이 국제 탄소 흡수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꾸준하게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갯벌에서 퇴적물 안에 있는 미세 조류가 어디에서 왔는지 육상이 기원인지, 해양성 기원인지, 그들의 종류는 무엇인지, 유기탄소가 ...
2022-10-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울대학교 블루카본사업단(단장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과 국립군산대학교 해양기후생태연구센터(센터장 해양생물자원학과 노정래 교수)이 연구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현대해양] [서울경제TV] 군산대 '탄소중립 원천 기술' 서울대 블루카본 사업단 업무협약 [전북중앙] 군산대-서울대 블루카본사업단, 연구협력 협약 [전북도민일보] 군산대 해양기후생태연구...
2022-10-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현대해양] ‘블루카본 신규 탄소흡수원 전문가 워크숍’ 성료
2022-09-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현대해양]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어디까지 왔나
2022-09-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베리타스 알파] 군산대 해양기후생태연구센터, 신규탄소흡수원 전문가 워크숍 개최
2022-09-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NASA는 우리 바다에서 자라는 김과 미역 등 해조류에 주목했습니다. 친환경적으로 생산되고 게다가 탄소까지 흡수한다고 말합니다. 해조류 등 연안 생태계와 퇴적물이 흡수한 탄소를 육상 생태계와 구분해 '블루 카본'이라 부릅니다. 이것은 바다 밑에서 자라는 거대한 해조류 군락입니다. 산소를 만들고 탄소를 흡수하는데 흡수한 탄소는 해저에 저장합니다. 바다 식물이...
2022-09-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MBC 뉴스투데이 NASA가 주목한 남해‥'바다숲'을 지켜라
2022-09-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09-12 MBC뉴스데스크 [집중취재M] NASA가 주목한 우리 바다, 기후변화 제동장치 위기
2022-09-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NASA가 주목한 우리 바다, 기후변화 제동장치 위기 바다에서 자라는 김이나 미역 같은 해조류들, 또 갯벌에서 자라는 식물들이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해법 중에 하나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런 바다 식물들이 흡수하는 탄소의 양의 막대해서, 한마디로 기후 변화를 저지하는, 강력한 '브레이크'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는데요. 하지만 최근 환경...
2022-09-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탄소흡수 ‘바다숲’ 228곳 조성 후 관리 미흡 [출처] 단비뉴스
2022-09-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