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Media
[뉴시스] 세계유산 '한국의 갯벌' 블루카본 국제인증 방안 만든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블루카본 국제인증을 위한 전문가 포럼 개최 [매일경제] '갯벌을 국제인증 블루카본으로'…해수부, 내일 포럼서 전략 논의
2021-12-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바닷속 단풍 절정'…산호초 붉게 물든 해중공원의 가을 풍경 [TV조선]
2021-12-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과학, 정책, 언론의 삼중주- 과거에 비해 우리나라 해양 과학기술의 수준과 위상이 꽤 높아졌습니다. 연안 퇴적물 내 탄소 잠재량 평가 사례는 미국과 호주에 이어 우리나라가 3번째이며, 갯벌만 놓고 보면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의 연구 결과입니다. 세계적으로 관심이 많은 블루카본 사이언스의 한 축을 우리나라가 담당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가슴이 뿌듯해집니다. 비단...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숨 쉬는 해안 뉴딜- 최근 미국에서는 해안선을 자연형으로 되돌리자는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친환경 소재를 이용하여 기존 인공화 된 해안선을 자연형으로 되돌리는 사업을 하고 있는데요. 이를 리빙쇼어라인(Living shoreline) 이라는 이름의 커다란 프로젝트로 확장한 것입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기존의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 제방을 철거...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갯벌 복원의 경제적 가치- 최근 갯벌 복원 연구가 한창입니다. 우리나라 갯벌은 어느 정도인지 아시나요? 한국의 갯벌은 세계 5대 갯벌로 꼽힙니다. 한국과 중국의 연안에 걸쳐진 황해 갯벌은 약 18,000㎢로 세계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그렇지만 우리나라 연안 생태계는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크게 훼손되었습니다. 과거 갯벌은 쓸모없는 땅, 버려도 되는 공간...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블루카본을 사수하라!- 탄소 중립을 위한 마지막 기회, 블루카본에 대한 논의가 더욱 활발해 졌습니다. 블루카본. 탄소가 흡수하거나 침적되는 장소가 육지이면 그린카본, 바다면 블루카본이라고 합니다. 즉, 그린카본은 육상의 나무와 숲을 말하고 블루카본은 바다의 식물 생태계를 일컫습니다. 지난 10년간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약 400억 톤으로 추산할 때, 그린카...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기후변화, 물러설 곳 없는 지구- 기후변화, 기후 위기, 지구 온난화까지 모두 우리에게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접하는 제법 친숙해진 말들입니다. 사실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와 기후 위기에 대한 경고를 이미 수 십 년 전부터 해왔습니다. 이제 기후 위기의 징후, 심각한 영향들이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예외는 없습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국제사회는 파리 협정을 통...
2021-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가로림만 행양정원 예타 통과 기대감 높아진다 [출처] 충청투데이
2021-11-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 탄소 중립을 위한 바다의 노력. 현재 코앞에 닥친 기후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전 세계가 머리를 맞대기 시작했습니다. 기후 위기를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탄소 중립에 대한 다방면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우리나라도 탄소 순 배출량을 '0' 으로 만드는 탄소 중립을 위해 실천 중인데요. 해운, 수산업, 흡수원 등 탄소 중립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알아봅니다....
2021-11-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Pick Up! 트렌드 스페셜] 탄소 중립을 위한 바다의 노력 [출처] SBS
2021-11-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해양과학 원리로 기후변화 대책 찾는다…해양한림원 제2회 정기 심포지엄 [출처] 현대해양
2021-11-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기택 한국해양한림원 회장, 해양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국민인식 증진 [출처] 현대해양
2021-11-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