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연구실의 권봉오 교수님, 김호상 학생이 1저자에 김종성 교수님께서 교신저자로 참여하여 작성한 , Mar. Pollut. Bull., (IF=3.782, Volume 151, February 2020, 110707 |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9.110707) 저널에 출판되었던 “Spatiotemporal v...
2020-03-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의 책임자이신 김종성 교수님께서 작성하시고, Environ. Toxicol. Chem.(IF=3.421, First published: 02 November 2009 | https://doi.org/10.1002/etc.5620181107) 저널에 출판되었던 “Alkylphenol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
2020-02-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의 책임자이신 김종성 교수님께서 작성하시고, Environ. Pollut.,(IF=7.943, Volume 132, Issue 3, December 2004, Pages 489-501 | https://doi.org/10.1016/j.envpol.2004.05.001) 저널에 출판되었던 “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
2020-02-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의 책임자이신 김종성 교수님께서 작성하시고, Arch. Environ. Contam. Toxicol.(IF=2.135, February 2001, Volume 40, Issue 2, pp 141-150 | DOI: 10.1007/s002440010157 저널에 출판되었던 “Trace Organic Contaminants in Sediment an...
2020-02-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충남대 홍성진 교수님이 1저자로 김종성 교수님이 교신저자로 참여하여 Mar. Pollut. Bull. (IF=3.782, Volume 144, July 2019, Pages 152-159 |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9.05.006) 저널에 출판되었던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
2020-02-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의 김선주 학생이 1저자로 김종성 교수님이 교신저자로 참여하여 Mar. Pollut. Bull. (IF=3.782, February 2020, 110821 |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9.110821) 저널에 출판되었던 “Long-term trends of persistent toxic substanc...
2020-02-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의 윤서준 학생이 1저자로 김종성 교수님이 교신저자로 참여하여 Mar. Pollut. Bull. (IF=3.782, July 2019, Pages 243-252 | https://doi.org/10.1016/j.marpolbul.2019.05.008) 저널에 출판되었던 “Occurrence and bioaccumulation of persiste...
2020-02-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0.16일(수) 서울대학교 오세정 총장과 피터 스토이체프(Peter Stoicheff) 캐나다 사스케츄완 대학교(University of Saskatchewan) 총장의 접견에 관한 언론보도 입니다. 서울대 오세정 총장, 캐나다 사스케츄완 대학교 총장 접견 [대학저널] 오세정 서울대 총장, 캐나다 사스케츄완 대학교 총장 접견 [ 베리타스 알파]
2019-10-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 소식] 스누새의 편지(시흥캠퍼스) 시흥캠퍼스에서는 무슨 일이? 김종성 교수님께서 추진하고 있는 연안융복합연구센터 소식이 있습니다. - 백만평 관악캠퍼스가 좁다구요? [페이스북- 스누새 편지 보기] 스누새의 편지(시흥캠퍼스)
2019-09-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9월 9월 20일 해양수산부가 주최하고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이 주관,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이 후원하는 생태계 기반 해양공간관리 심포지엄에 관련된 언론보도 입니다. 갯벌, 모래톱 자연재해 저감효과 매우 크다 [어업in수산] KMI, 해양공간·갯벌관리 주제 심포지엄 개최 [뉴시스]
2019-09-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ENGAGEMENT_BLOG ]_Ecological Times | THE ANTHROPOLOGY AND ENVIRONMENT SOCIETY Grounds for Climate Change Mitigation in South Korea’s Tidal Mudflats
2019-09-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