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과학 원리로 기후변화 대책 찾는다…해양한림원 제2회 정기 심포지엄 [출처] 현대해양
2021-11-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기택 한국해양한림원 회장, 해양의 가치와 중요성에 대한 국민인식 증진 [출처] 현대해양
2021-11-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갯벌 '클라스'…9곳, 세계유산 확장 등재 추진 우리나라의 15번째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인 '한국의 갯벌'의 확장 등재가 추진됩니다. 이미 지정된 충남 서천, 전북 고창, 전남 신안, 전남 보성-순천 이외에 경기, 충남 등 북부지역의 갯벌 등 9곳이 검토 대상입니다. 김종성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는 "서해 갯벌은 미세 조류 1차 생산량을 시작으로 ...
2021-11-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연합뉴스] 우리 갯벌 '클라스'…9곳, 세계유산 확장 등재 추진 [매일경제] [포켓이슈] 우리 갯벌 '클라스'…9곳, 세계유산 확장 등재 추진
2021-11-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출처] 내일신문갯벌이 블루카본되면 탄소 흡수원 확대 [출처] 머니투데이기후위기 대응 위한 '해양 블루카본' 알린다…한국해양한림원 정기심포지엄 29일 개최 [출처] 현대해양한국해양한림원 ‘제1회 정기심포지엄’ 탄소중립과 블루카본 논의
2021-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연구실에서 수행한 전략과제 연구가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습니다. 전략과제(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제명: 육상기원 유해물질의 화학역학적 거동 프로세스 규명을 통한 연안생태계의 자정능력 평가 총연구기간:2017~2021 연구내용: 유해물질의 잠재독성 예측을 위한 생-물리 연계 모델 개발 - 신속 정확한 신규독성 예측모델의 개발로 ...
2021-10-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연합뉴스] '한국의 갯벌' 우수성 입증한 국내 논문, 해외 학술지에 첫 게재 [내외뉴스통신] 서울대 연구팀 "지속 연구, ‘한국 갯벌’의 우수성 국제사회 및 학계에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 [뉴시스] 세계자연유산 등재 '한국의 갯벌', 해양생물다양성 세계 최고 [뉴스원] 세계자연유산 '갯벌'…해양생물다양성 '세계 최고 입증' 연구논문 발표 [이데일리] 세...
2021-10-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갯벌, 소중한 자연유산이자 탄소중립 중요한 대안” [인터뷰] 김종성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세계 최고 수준 ‘생물다양성’ 보유…가치와 중요성 더 많이 알려야”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우리 갯벌, 소중한 자연유산이자 탄소중립 중요한 대안” [출처] 공무원 뉴스 “우리 갯벌, 소중한 자연유산이자 탄소중립 중요한 ...
2021-10-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몇 주 전 KBS 촬영팀이 저희 벤토스에 방문하여 함께 촬영하였던 KBS 환경스페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 등재 기획 '갯벌']이 지난 9월 30일 방영되었습니다. 환경스페셜 '갯벌'에서는 우리나라의 갯벌이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기에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되었는가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합니다. 김종성 선생님께서는 처음으로 등장한 인터뷰에서 '갯벌 저서생물 그...
2021-10-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해양한림원 출범기념 심포지엄’ 개최 [현대해양] 기후위기 해결책을 해양에서 찾기 위해 대한민국 해양과학 석학들이 한데 뭉쳤다 [해운산업신문]
2021-10-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 육지와 바다, 그리고 시간이 만들어낸 자연의 걸작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갯벌을 통해 많은 것을 얻어왔다. 낙지와 짱뚱어, 조개를 비롯하여 게에 이르기까지. 이렇듯 우리들에게 늘 가깝게 여겨지고 흔한 풍경이 갯벌이다. 그런데 이 갯벌이 얼마 전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에 등재됐다. 인류가 미래를 위해 지속적으로 보존해야 할 가치...
2021-09-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