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Media
[연합뉴스] [신간] 바다 생물 콘서트 | 바닷속 해조류 지구 산소 70% 생산 온실가스 줄이고 오염물질 정화 단순 바다에 대한 보호 호소 대신 해양 생물들의 중요한 역할 제시 [매일경제] [신간] 바다 생물 콘서트 [알라딘] 바다 생물 콘서트 [세계일보] 바다 깊은 곳에서 울려퍼지는 생명의 노래 [조선일보] 수영하다 삼킨 바닷물, 최고의 수퍼푸드죠 [서울...
2021-07-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SBS 모닝와이드] 3부- 세계가본 대한민국 | 한국의 해조류 주목하는 이유 김종성 교수님께서 SBS와 인터뷰한 내용이 모닝와이드에 방송되었습니다.
2021-07-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 한국인 ‘해조류’ 먹는다고 칭찬 일색? 프랑스의 언론매체가 완도의 해조류 채취 현장을 보도하며 외신의 칭찬이 이어졌다. 바로 한국이 해조류 섭취로서 환경 보호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 '바다의 잡초'라 불릴 만큼 서양인들에게 생소했던 해조류. 그러나 최근 건강에도 좋고 환경 보호까지 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고. 특히 한국은 해조류가 잘...
2021-07-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세상사] “믿을건 한국 갯벌뿐!” 영국매체 특종보도에 속 뒤집힌 일본 상황 “110년 만에 일제 잔재 완전히 청산” | 김종성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팀 - 국가차원에서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 흡수 역활 및 기능을 세계최초로 규명, 그 연구결과를 국제저명학술지 '종합환경과학회지' 최신호에 7월 7일 발표   https://www.youtube.com/watch...
2021-07-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he Korea Times] Korea's mudflats proven effective carbon neutralizer: study [Aju Business Daily] Researchers prove mud flat's ability to capture carbon [KBS WORLD] Studie: Wattenmeere in Korea nehme...
2021-07-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울대 김종성 교수 연구팀 국제학술지 게재…자동차 11만대 배출 분량 [연합뉴스] "한국 갯벌, 연간 26만t 이산화탄소 흡수"…세계 첫 규명 [서울신문] 車 11만대분 탄소 ‘꿀꺽’… 지구 지키는 ‘갯벌의 힘’ [세계일보] 연간 승용차 11만대 분량 이산화탄소 흡수… 갯벌은 온실가스 ‘저장고’ [부산일보] 우리나라 갯벌, 자동차 11만 대 CO2 ‘꿀꺽...
2021-07-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국내 갯벌이 자동차 11만 대가 내뿜는 수준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서울대 김종성 교수 연구팀은 지난 4년 간 전국 갯벌 20 여 곳을 조사한 결과 국내 갯벌이 연간 26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승용차 11만 대가 내뿜는 이산화탄소량과 맞먹는 수준이며, 이번 연구는 갯벌이 온실가스를 자연...
2021-07-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KBS NEWS_인사이드 경인] 한강하구 ‘쓰레기 오염’ 심각
2021-06-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에게 청량감을 주는 바다가 우리가 버린 쓰레기 때문에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도와 인천 바다는 한강에서 유입된 쓰레기가 유입되면서 오염이 심각합니다. 경인 지역 해양 오염 실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와 인천 바다가 다른 지역 바다와 다른 특성이 있나요? 경기 바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한강 하구에 위치해 있다는 것입니다. 경기 바다의 ...
2021-06-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중앙일보] 세계가 주목한 한국의 ‘해양보호’ 성명…기념 행사선 “한국은 기후악당국가” 왜? | 해양환경보호 성명서 공표 심포지엄 |해양환경보호 관련 국제정책 제안 75개 해외한림원 및 국내 46개 기관, 지지 표명 [연합뉴스] 지구표면 71% 바다는 인류생존과 번영을 위한 필수공간" [동아일보] “남획-오염으로 신음하는 바다… 각국...
2021-06-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1년 5월 20일 오후 8시 YTN 사이언스에서 탄소중립을 주제로한 다큐멘터리가 방영되었습니다. 해당영상에서는 저희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에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블루카본 연구에 대한 소개도 방영되었습니다. 블루카본 연구는 전세계에서 온실가스 흡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구온난화의 대응방안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2021-05-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구가 점점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18세기에 시작된 산업혁명 이후 인류는 대기에 엄청난 온실가스를 배출해 왔고, 그 결과, 지구의 평균 기온이 지난 100년 간 1℃ 상승했죠. 어떤 의미에선 ‘1도’가 크게 와 닿지 않을 수 있지만, 과거, 지구의 온도가 단 1~2℃ 낮아졌을 때 소 빙하기가 찾아왔다는 걸 보면 지구의 ‘1도’는 멸종과도 직결될 수 있는 문...
2021-05-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