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이달의 바다는 다시 찾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순천만입니다. 순천만은 이미 이전의 이달의 바다에서 여러 차례 소개해드렸었죠. 9월에 다시 찾은 순천만에는 더운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찾아오며 따스한 햇볕과 산들거리는 바람이 함께 있었습니다. 우리 Benthos는 순천만 조사 시 안풍습지, 농주마을, 와온해변, 우명마을을 갑니다. 이중 앞의 안풍습지와 농주마...
2018-09-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67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드릴 곳은 낙동강 삼각주입니다. 삼각주는 나일강 삼각주의 모양이 그리스 문자 Δ(Delta)모양을 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삼각주 형성에는 하천의 유속과 조차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만약 조차가 너무 크면 하천이 운반해온 물질이 대부분 바닷물에 의해 쓸려나가 삼각주가...
2018-09-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여러분은 갯벌을 주제로 하는 다큐멘터리에서, 혹은 해변가에서 직접 갯벌에 물이 차오르거나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신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람의 관점으로 보는 밀물과 썰물은 단순하게 물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갯벌이었던 곳이 물로 덮이거나, 물 높이가 낮아지면서 바다였던 곳이 다시 갯벌로 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이 찼을 때(만조)와 빠...
2018-08-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중 한강 유역 공동 조사 (7월 21-22일) -조사인원: 총 10명 (Team 1: Prof. Xiaowei Zhang, 노준성, 이창근, Zhihao Wang, Feilong Li) (Team 2: 윤서준, 추승오, Jianghua Yang, Xu Gao, Yan Zhang) -조사내용: 한강유역 물 시료 분석 및 플랑크톤 샘플링 -조사일정: 201...
2018-08-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4 : 서해연안조사 한중황해공동 조사 팀4 (7월 12일 ~ 7월 16일) 우리 연구실은 2008년도부터 매년 서해 주요 하구역 및 연안 환경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이하여 이번에는 더 특별한 서해연안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바로 ‘한중황해공동조사’인데요!! 서울대학교, 중국과학원, 안양대학교, 충남대학교...
2018-07-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3 : 청도~난통 한중황해공동 조사 팀3 (6월 30일 ~ 7월 6일) 팀3: 이무준, 김도형 조사정점 예정지 (그림1) (그림2)<팀3 조사정점 예정지> (그림3) “황해”는 동쪽으로는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국의 산둥반도, 북쪽으로는 랴오둥반도 그리고 ...
2018-07-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 2 : 청도~ 텐진 한중황해공동 조사 팀2 (6월 27일 ~ 7월 10일) 팀2: 윤서준, 이종민 조사정점 예정지 <팀2 조사정점 예정지> 저희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지난 몇년동안 중국측 대학들과 함께하는 공동연구조사를 추진해왔습니다. 그동안 사드배치와 같은 한중간의 갈등관계로 인해 한중공동조사가 번번히 무산되었으나, 드...
2018-07-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 1 : 단둥~ 난퉁 2018년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한중황해공동조사가 수행되었습니다. 본 조사의 목적은 황해와 보하이해 전역에 대한 환경 오염과 위험 평가의 체계적 조사를 위함이며 중국과 한국의 연안을 크게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중국은 황해와 보하이해 연안을 따라 단둥(丹東)시부터 난퉁(南通)시까지 약 3000 k...
2018-07-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BENTHOS 연구진 중국 조사 대비, 강화도 생물 조사 준비완료! 이상무 이번에 소개드릴 이달의 바다는 강화도 입니다.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갯벌 중 하나를 꼽아보라면 강화도 갯벌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Benthos 의 연구지로도 오랜 세월동안 모니터링 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화 갯벌을 지난 6월18일, 방문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강화갯벌...
2018-06-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5월 이달의 바다는 함평만입니다. 함평만은 전라남도 무안, 영광, 함평 3개의 군으로 둘러싸여 북서쪽으로 열린 좁고 긴 만입니다. 길이 19.5 km, 최대 너비 7.5 km이며 만의 내측에는 대도(大島), 소도(小島), 승도(升島)가, 만의 입구에는 항도(項島), 장고섬, 닭섬, 목섬 등 여러 섬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안은 침수해안으로 해안선의 굴곡이...
2018-04-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58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드릴 곳은 4월 낙동강 하구 입니다. 해양 생태계에 대한 무분별한 이용으로 인해 훼손되고 있는 우리 앞바다, 계속된 비계획적인 해양이용개발은 결국 우리에게 자연이 주는 여러 혜택들을 더 이상 제공하지 못하게 할 것입니다. 미래의 후손들에게 자연이 주는 여러 편익들을 고스란히 물려주기 위해서는 지금에서라도 현재의 해양관리체제를 개...
2018-04-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3월의 이달의 바다는 새만금 앞바다입니다. 새만금 앞바다에는 이전 30번째 이달의 바다인 “초여름의 새만금 앞바다” 에서도 소개했던 것처럼, 길이가 33.9km나 되는 세계 최장 방조제가 건설된 곳입니다. 네덜란드의 주다치 방조제(32.5km)보다 1.4km 더 길어 2010년 8월 2일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오르기도 ...
2018-03-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