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표마을조사 몇 번 다녀왔지만, 여전히 해표마을은 무척 멀게 느껴집니다. 익숙해질만도 하지만 아직도 걸어서 1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조사가 이루어지던 날, 날씨가 궂은 데다가 저희가 최상의 컨디션은 아니었던 탓에 천천히 이동할 생각으로 계획보다는 좀 더 일찍 해표마을로 향했습니다. 걱정했던 것과 달리 밖으로 나와 몸을 움직이니 몸이 정상작동을...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펭귄마을 탐험 출처: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남극의 사계, 안인영 저 (2017) 저희는 지금 서울에서 17,240 km 떨어진 남극 한자락에 있습니다. 남극반도 끝자락, 킹조지섬, 세종기지에서... 세종기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남극과학기지로, 1988년 2월에 개소했습니다. 겨울철에는 바다가 꽁꽁 얼어붙지만, 우리가 방문한 여름철에는 바다가 녹아 해양 생물들...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저희 실험실의 연구 무대는 남극입니다. 새하얀 눈으로 덮여있는 지역이지만 남극 대륙도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바다와 만나는 접점 지역에는 조간대가 형성되어 있답니다. 이번 조사 목적은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가 후퇴하면(녹거나, 깎여 나갑니다!) 인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조사 지역은 최근 빙하의 후퇴 현상이 아주 뚜렷하게 나타나...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9월 이달의 바다는 다시 찾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순천만입니다. 순천만은 이미 이전의 이달의 바다에서 여러 차례 소개해드렸었죠. 9월에 다시 찾은 순천만에는 더운 여름이 지나고 가을이 찾아오며 따스한 햇볕과 산들거리는 바람이 함께 있었습니다. 우리 Benthos는 순천만 조사 시 안풍습지, 농주마을, 와온해변, 우명마을을 갑니다. 이중 앞의 안풍습지와 농주마...
2018-09-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67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드릴 곳은 낙동강 삼각주입니다. 삼각주는 나일강 삼각주의 모양이 그리스 문자 Δ(Delta)모양을 하고 있는 것에서 비롯되었다고 합니다. 이런 삼각주 형성에는 하천의 유속과 조차가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만약 조차가 너무 크면 하천이 운반해온 물질이 대부분 바닷물에 의해 쓸려나가 삼각주가...
2018-09-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여러분은 갯벌을 주제로 하는 다큐멘터리에서, 혹은 해변가에서 직접 갯벌에 물이 차오르거나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신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람의 관점으로 보는 밀물과 썰물은 단순하게 물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갯벌이었던 곳이 물로 덮이거나, 물 높이가 낮아지면서 바다였던 곳이 다시 갯벌로 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이 찼을 때(만조)와 빠...
2018-08-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중 한강 유역 공동 조사 (7월 21-22일) -조사인원: 총 10명 (Team 1: Prof. Xiaowei Zhang, 노준성, 이창근, Zhihao Wang, Feilong Li) (Team 2: 윤서준, 추승오, Jianghua Yang, Xu Gao, Yan Zhang) -조사내용: 한강유역 물 시료 분석 및 플랑크톤 샘플링 -조사일정: 201...
2018-08-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4 : 서해연안조사 한중황해공동 조사 팀4 (7월 12일 ~ 7월 16일) 우리 연구실은 2008년도부터 매년 서해 주요 하구역 및 연안 환경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올해로 11년째를 맞이하여 이번에는 더 특별한 서해연안 조사가 이루어졌습니다. 바로 ‘한중황해공동조사’인데요!! 서울대학교, 중국과학원, 안양대학교, 충남대학교...
2018-07-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3 : 청도~난통 한중황해공동 조사 팀3 (6월 30일 ~ 7월 6일) 팀3: 이무준, 김도형 조사정점 예정지 (그림1) (그림2)<팀3 조사정점 예정지> (그림3) “황해”는 동쪽으로는 우리나라의 서해안과 접해 있으며 서쪽으로는 중국의 산둥반도, 북쪽으로는 랴오둥반도 그리고 ...
2018-07-2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 2 : 청도~ 텐진 한중황해공동 조사 팀2 (6월 27일 ~ 7월 10일) 팀2: 윤서준, 이종민 조사정점 예정지 <팀2 조사정점 예정지> 저희 서울대학교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에서는 지난 몇년동안 중국측 대학들과 함께하는 공동연구조사를 추진해왔습니다. 그동안 사드배치와 같은 한중간의 갈등관계로 인해 한중공동조사가 번번히 무산되었으나, 드...
2018-07-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TEAM 1 : 단둥~ 난퉁 2018년 6월 27일부터 7월 13일까지 한중황해공동조사가 수행되었습니다. 본 조사의 목적은 황해와 보하이해 전역에 대한 환경 오염과 위험 평가의 체계적 조사를 위함이며 중국과 한국의 연안을 크게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중국은 황해와 보하이해 연안을 따라 단둥(丹東)시부터 난퉁(南通)시까지 약 3000 k...
2018-07-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BENTHOS 연구진 중국 조사 대비, 강화도 생물 조사 준비완료! 이상무 이번에 소개드릴 이달의 바다는 강화도 입니다.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갯벌 중 하나를 꼽아보라면 강화도 갯벌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Benthos 의 연구지로도 오랜 세월동안 모니터링 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화 갯벌을 지난 6월18일, 방문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강화갯벌...
2018-06-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