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충청남도 보령
보령은 충청남도 서남부에 위치한 해안지역입니다. 여름이 되면 수백만명의 사람들이 보령 머드 축제를 즐기러 보령으로 모여듭니다. 축제기간동안 관광객들은 머드를 이용한 마사지 등의 체험 행사를 즐기곤 하지요. 이스라엘 사해 진흙보다 품질이 훨씬 우수하여 피부 미용에 좋다고 하네요. 저희는 피부 마사지를 즐기기 위해서는 아니지만, 보령의 좋은 갯벌을 누리고 또한...
2017-04-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2017년 2월 15일, Benthos 대원들은 변산일대를 조사하는 막중한 임무를 받고 현장으로 출동했습니다. 전라북도 부안군으로 새만금 방조제의 최남쪽 끝 자락 즈음에 위치한 변산해수욕장은 사질, 즉 모래갯벌로 형성되어 있는 곳입니다. 저희 Benthos 대원들은 새만금과 가력방조제를 통한 담수 내 입자등의 영향이 이 일대에 서식하...
2017-04-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태안 앞바다에서 검은 재앙으로 불렸던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 유출 사고가 난지 올해로 10주년이 됐습니다. 이번 이달의 바다에서는 당시 원유 유출사고를 겪었던 태안 신두리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원유 유출사고로 인한 피해 지역 중 한 곳인 태안 신두리는 면적이 약 2,640,000㎡의 방대한 규모로 서해안의 다른 지역보다 사구가 발달돼 있으며 한반도...
2017-03-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6년 2월과 6월에 이어 2017년에도 호주 퀸즈랜드(Queensland) 주 남동부 연안에서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지난해에는 맹그로브 조간대 지역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의 일차 생산력을 파악하고, 그곳의 먹이망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 조사는 호주 동부 연안에 서식하는 맹그로브 나무의 일차 생산량을 측정하...
2017-02-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40 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할 내용은 28번째, 31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한 메소코즘 시스템입니다. 저희 연구진은 사질 환경이 유류 오염에 노출 되었을 경우, 효과적인 방제/ 정화기법을 탐색하고자 지난 5월 사질 조간대 환경을 모사한 메소코즘 시스템을 설치하였습니다. 6월부터 본격적으로 시작한 실험을 몇 개월에 걸쳐 이번 12월에 마무리 하...
2017-01-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멀리 내다 보는 눈을 가짐이 죄였다 바다엔 썰물과 밀물이 밀고 당기면서 안과 밖을 살려내는 생명력의 터전이여 세상도 그와 같거늘 밀물만 있을 세상에는 고여 쌓여 갔을 뿐 들고 날 때만이 하는 것 조수의 흐름을 감지하면서 내다보는 것이 끝으로 내몰려 더는 허리 조차 펼 수 없노라 갯벌은 버려진 땅 하지만 이것이 바다를 살리는 근원적인 힘인 것을 &hellip...
2016-12-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해
황해 광역해양생태계
이번 달에는 평소보다 조금 큰 규모의 바다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바로 황해 광역해양생태계(Yellow Sea Large Marine Ecosystem)입니다. 광역해양생태계란 1986년에 처음 도입된 개념으로 미국의 Kenneth Sherman이 전 세계 해역을 수심, 수계지리, 생산력, 인구 등을 고려하여 물리/생물학적 특성이 비슷한 해역으로 구분한 것에...
2016-11-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해
충청남도 서산시 고파도
이 달의 바다에서 소개해드리는 10월의 바다는 서산 가로림만에 위치한 고파도입니다. 이 섬은 서산에 위치한 구도 선착장에서 하루 3번 정도 운항되는 여객선을 타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고파도는 그 면적이 1.23 km2 정도로, 저희 연구실이 위치한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4.11 km2)보다 작습니다. 하지만 이 섬에 거주하시는 40여 가구의 주민들은 누구...
2016-10-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해
충청남도 서천군 유부도
군산항 근처에서 작은 배(선외기)를 타면 금세 도착하는 작은 섬이 있습니다. 금강이 황해를 만나 빚은 섬, 유부도입니다. 조용하고 작은 이 섬은, 해마다 수많은 철새들이 찾아오며 수많은 생물이 살아가는 드넓은 갯벌을 품고 있습니다. 탐조가들이나 연구자들은 주로 이 갯벌과 갯벌에서 살아가는 생물을 보기 위해 유부도를 찾곤 합니다. 저희 실험실에서 지난 9월 ...
2016-09-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8월 3일부터 11일까지 캄보디아 프레아 시하누크(Preah Sihanouk) 지방의 Kampong Smach 및 캄포트(Kampot) 지방의 Prek Tnout 지역에서 현장 조사를 진행하였습니다. 본 조사의 목적은 Core zone (274 ha), Buffer zone (1,100 ha), Multiple-use zone (1,641 ha)으로 ...
2016-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8월 이 달의 바다에서 소개해드릴 바다는 캄보디아 캄포트(Kampot) 주의 바다입니다. 앙코르와트로 유명한 캄보디아는 위도 10~14º, 경도 103~107º에 위치한 국가로, 야자수와 두리안 같은 열대과일을 쉽게 만날 수 있는 열대지역이지요. 그 중에서도 캄포트 주는 캄보디아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휴양지로 유명한 관광도시 시하누크...
2016-08-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남해
제주 워크숍
2016년 8월 16일~ 20일, 연구실 워크숍을 다녀왔습니다.교수님의 배려 덕분에 연구실 전원이 참석하는 워크숍을 진행할수 있었고, 스쿠버다이빙 등 바다를 즐기며 제주도의 여름을 실감나게 보고 느끼고 만져보고 왔습니다. <조사를 하기 위해 갯벌과 바다를 방문하는 것과는 또 다른 느낌으로 졸린 눈을 비비고 일찍 일어난 벤토스 식구들>제주...
2016-08-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