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4월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해 드릴곳은 바로 함평만입니다!! 저희 Benthos 연구실에서는 블루카본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함평만을 지역을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함평만 가입리 갯벌지역은 파래(Ulva sp.)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이에 우리 Benthos 연구실은 이 파래가 갯벌퇴적물에 잠재적인 탄소유입원이 되는지에 대해 조...
2019-04-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월 이달의 바다는 지난 12월 예비조사를 다녀왔던 중국 광저우 주하이시에 위치한 Qi'ao Island 입니다. 중국 중산대학교 Yisheng Peng 교수님의 초청을 받아 서울대학교의 권봉오 교수님, 인하대학교의 하호경 교수님을 비롯한 벤토스 대원들이 Qi’ao Island를 방문하였습니다. 이번 방문은 '한국과...
2019-02-1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2월 18일부터 20일까지 생태계 기반 해양공간분석 및 관리 워크숍이 제주도에서 개최되었습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 주관하는 이 워크숍은 올해는 2회로 해양공간분석 및 관리에 관한 내용과 그에 관한 여러 연구들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소개하고 함께 토론을 하는 자리였습니다. <바다의 빛을 품은 제주> 2월 18일 오전 11시 제주공항에 참석자...
2019-02-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2019년 처음으로 소개드릴 이달의 바다는 서해 경기만에 위치한 무의도입니다. <상공에서 바라본 무의도 전경> 무의도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에 있는 섬으로 인천국제공항의 남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9.43km2, 해안선 길이는 31.6km입니다. 대략 850명이 거주하는 무의도는 ...
2019-01-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2월 이달의 바다는 중국 주하이시에 있는 Qi’ao Island 입니다. 지난 12월 2일 중국 Sun Yat-Sen 대학교 Yisheng Peng 교수님의 초청을 받아 김종성 교수님, 권봉오 교수님, 해양대학교 박진순 교수님을 비롯한 벤토스 대원들이 Qi’ao Island를 방문하였습니다. Qi’ao Island에는 다량...
2018-12-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11월 2일(화), 저희 Benthos 대원들은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를 방문하였습니다. 본 연구소는 1931년,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의 Ernest Lawrence 물리학과 교수가 주도하에 설립되었습니다. 주립대학인 버클리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인근사립대학인 스탠퍼드 대학의 선형가속기센터(SLAC)와 함께 실...
2018-11-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출남극 준비- 시료정리1 2월은 남극 조간대에서 조사하는 것이 애매해지는 시기입니다. 조사가 가능할 정도로 조간대가 드러나는 날이 출남극 전까지 하루이틀 정도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이죠. 더 이상의 시료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생각하여 조금씩 쌓아두기만 했던 시료들을 정리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시료를 담은 용기에 적어놓은 정보들이 한국으로 운반되면서 행여나...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저서미세조류 실험 조간대부터 화려한 색의 동식물이 즐비한 열대바다를 생각해보면, 확실히 남극의 조간대는 채도가 낮습니다. 그렇다고 그 곳에 아무런 생물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이 전에도 기록했듯이 삿갓조개나 갯지렁이 등이 꼭꼭 숨어있지요. 숨바꼭질의 달인인 이 생물들은 누구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을까요? 그렇습니다. 우리가 늘 연구하던 갯벌에도 있는 그 녀석...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보급선, 하역, 성공적! 바다길이 넓고 수월해지는 하계에는 보급선이 세종기지에 귀중한 물자를 공급하게 됩니다. 그러나 올해는 변수가 많았습니다. 계속되는 궂은 날씨 때문에 보급선이 도착하기로 되어있던 날로부터 한 달이 훨씬 지나, 크리스마스가 되어서야 도착했습니다. 보급선이 도착하자마자 간밤에 월동대원들이 잠까지 반납하면서 컨테이너를 배에서 내리고 분류를 ...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해표마을조사 몇 번 다녀왔지만, 여전히 해표마을은 무척 멀게 느껴집니다. 익숙해질만도 하지만 아직도 걸어서 1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조사가 이루어지던 날, 날씨가 궂은 데다가 저희가 최상의 컨디션은 아니었던 탓에 천천히 이동할 생각으로 계획보다는 좀 더 일찍 해표마을로 향했습니다. 걱정했던 것과 달리 밖으로 나와 몸을 움직이니 몸이 정상작동을...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펭귄마을 탐험 출처: 극지과학자가 들려주는 남극의 사계, 안인영 저 (2017) 저희는 지금 서울에서 17,240 km 떨어진 남극 한자락에 있습니다. 남극반도 끝자락, 킹조지섬, 세종기지에서... 세종기지는 우리나라 최초의 남극과학기지로, 1988년 2월에 개소했습니다. 겨울철에는 바다가 꽁꽁 얼어붙지만, 우리가 방문한 여름철에는 바다가 녹아 해양 생물들...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저희 실험실의 연구 무대는 남극입니다. 새하얀 눈으로 덮여있는 지역이지만 남극 대륙도 한반도와 마찬가지로 바다와 만나는 접점 지역에는 조간대가 형성되어 있답니다. 이번 조사 목적은 기후 변화로 인해 빙하가 후퇴하면(녹거나, 깎여 나갑니다!) 인근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입니다. 조사 지역은 최근 빙하의 후퇴 현상이 아주 뚜렷하게 나타나...
2018-09-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