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20일부터 24일까지 호주 David Fleay Wildlife Park 및 Griffith University에서 현장 조사 및 일련의 실험들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번 현장조사의 목적은 겨울철 호주 맹그로브 조간대에서의 저서미세조류의 일차 생산량 측정 및 먹이망 구조를 파악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사진 1 > Shing Yip Lee 교...
2016-07-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5~6월 동안, 저희 연구실에서는 서해안과 인접해 있는 안양대(강화캠퍼스)에 사질 조간대 환경을 모사한 메소코즘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본 메소코즘 시스템을 활용하여, 사질조간대 환경이 유류오염에 노출 되었을 경우, 효과적인 방제/정화기법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사진 1> 메소코즘 ...
2016-07-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더위가 점점 강해지는 6월의 이달의 바다는 작년 가을에 방문 하였던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를 가진 새만금 앞바다 입니다.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 갯벌을 개발하기 위해 새만금 방조제와 배수갑문의 바깥쪽에 위치한 새만금 앞 바다를 조사하기 위해 우리 실험실 대원들이 출동하였습니다. 오랜만에 방문한 새만금 바다를 모두 확인해보시죠~ 오랜만에 조사를 ...
2016-06-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세계적인 석학들, 강화도 갯벌 방문 – Robert Costanza 교수, Shing Yip Lee 교수 (2016-05-28) 지난 5월 28일, 생태계서비스 분야의 국제적인 권위자인 로버트 코스탄자(Robert Costanza, 호주국립대) 교수님과 싱입 리(Shing Yip Lee, 그리피스대) 교수님이 세계 5대 갯벌로 불리우는 강화도 갯벌을 방문하...
2016-05-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7 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할 내용은 인천시 강화군에 위치한 안양대학교에 설치된 메소코즘 시스템 입니다. 해양생태계에서는 다양한 환경변화가 일어나며, 이에 따라 생물들의 반응도 매우 다양합니다. 따라서 해양생태계에서 벌어지는 환경과 생물의 상호작용들을 관찰하는 것은 다양한 애로사항들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조사목적에 따라 여러 환경요인들을...
2016-04-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달의 바다에서는 14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했던 여수바다를 다시 한번 소개합니다! 2014년 1월 31일, 여수시 신덕마을 방파제와 해안에 전날 선박사고로 유출된 기름이 흘러들어 오염이 발생했었는데요, 다양한 방제작업을 통해 현재 육안으로 보이는 기름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표층을 걷어내면, 오염토가 조금씩 보이네요. 우리 연구실에서는 2015년 4월부터...
2016-03-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죽을 찾아서…금강하구의 2월> 18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드렸던 금강하구 기억하시나요? 이번 이달의 바다에서는  2016년 2월에 다녀온 금강하구를 다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금강하구의 겨울(그렇지만 약간의 봄기운?)의 그 상쾌한 얼굴을 맞이 하시라. <이곳은 송림리 갯벌, 금강하구의 담수 영향을 받는 하구역으로 볼 수가 있지요.&g...
2016-02-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다가오는 봄 햇살에 질투가 났던지 갑작스레 찾아온 추위에 지난 1월 강원도 삼척의 겨울바다를 떠올려봅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2014년 9월부터 올해까지 3년에 걸쳐 삼척 및 통영 지역의 LNG 생산기지 주변 해역을 모니터링하고 있는데요. 삼척은 늘 방문할 때마다 화가 나있는 바다로 인해 조사를 진행하지도 못한 채 서울로 올라와야만 했던 조금은 얄미운 지역...
2016-01-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2월 16일 연안오염총량관리제 워크샵에 참가하기 위해 모든 실험실 부원들이 창원에 다녀왔습니다. 오염총량제는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을 농도로 규제하는 것이 아니라 배출 가능한 총량을 규제하는 제도입니다. 강제성은 없으나 목표한 배출량보다 발생량을 줄이면 추가적인 지역개발 혜택을 받고, 발생량이 목표량을 초과하면 개발 금지나 국고...
2015-12-3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본 연구실 권봉오 박사는 지난 10월 19-29일에 호주 골드코스트에 위치한 그리피스대학 골드코스트캠퍼스에 방문하여 맹그로브 서식지 현장조사, RGB-D 센서 기술 습득, 한국 갯벌 저서미세조류 다양성 및 일차생산 연구 발표 등을 하였습니다. 본연구실은 그리피스대학 Joe (Shing Yip) Lee 교수 연구팀과 연구교류를 하고 있습니다. &nb...
2015-11-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2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할 곳은 전라남도 순천시에 위치한 순천만입니다. 순천만은 고흥반도와 여수반도 사이에 있는 원형에 가까운 만으로, 우리나라 갯벌 가운데 염습지가 남아있는 유일한 갯벌입니다. 이 곳의 전체 갯벌 면적은 약 22.6 km²에 이르고, 썰물 때 드러나는 면적은 약 12 km² 정도라고 합니다. 2003년 12월부터 습지보존지역으로 지정...
2015-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청량한 가을 하늘이 보이는 이달의 바다는 10월 새만금 앞 바다 입니다. 작년 11월에 "세계 최장 방조제 새만금" 으로 소개시켜 드린 새만금 앞 바다를 이번에는 조금 더 색다른 조사를 위해 찾았습니다. 맑은 하늘을 보며 함께 보시죠~ <김 양식장의 풍경> 10월이 되어서 김 양식장들이 많이 들어섰네요. 조사 정점을 향해 가는 도중 많은 어민들이...
2015-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