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enthos News
[여성과기인 삶과 꿈] 안인영 한국해양연구원 부설 극지연구소 선임연구부장 안인영 박사(84석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생물연구부장 1991년 12월 28일. 칠레 최남단도시 푼타아레나스에서 `에레부스`라는 배를 타고 험하기로 악명 높은 드레이크해협을 건너 세종기지에 처음 도착했다. 4박5일 동안 심한 배멀미로 거의 굶어서 기지 도착 후 처음 먹었던 미역국의 감칠맛을 잊을 수가 없다. 경이로운 세계를 경험하게 된 행운에 감사했다. 그렇게 남극과 나의 첫 인연이 시작됐다. 미국에서 조개 생태를 전공한 나는 남극에서도 유사한 연구를 하고 ...
2014-04-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4년 4월, 세번째 LNG 생산기지 현장조사 및 시료채집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번 야외조사의 목적은 천연가스 생산과정 중 저온의 LNG를 상온의 기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해수가 열원으로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실제의 해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배수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런 냉배수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본 야외조사에서는 LNG기지, 손덕마을, 사동초교 세 정점을 대상으로,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생물, 해조류, 규조류 분석 및 시료채집 등을 수행하였고, 부착생물의 생물상 조사를 위해 작년 11월에 부착시킨 부착판의 상판을 제거하여 실험...
2014-04-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4년 1월, 삼척에서 두번째 LNG 생산기지 현장조사 및 시료채집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번 야외조사의 목적은 천연가스 생산과정 중 저온의 LNG를 상온의 기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해수가 열원으로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실제의 해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배수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런 냉배수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본 야외조사에서는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생물, 해조류, 규조류 분석 및 시료채집 등을 수행하였고,부착생물의 생물상 조사를 위해 작년 11월에 부착시킨 부착판의 상판을 제거하여 실험실로 옮기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관련과제: LN...
2014-01-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4년 1월, 두번째 LNG 생산기지 현장조사 및 시료채집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번 야외조사의 목적은 천연가스 생산과정 중 저온의 LNG를 상온의 기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해수가 열원으로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실제의 해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배수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런 냉배수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입니다.따라서 본 야외조사에서는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생물, 해조류, 규조류 분석 및 시료채집 등을 수행하였고,부착생물의 생물상 조사를 위해 작년 11월에 부착시킨 부착판의 상판을 제거하여 실험실로 옮기는 작업을 하였습니다. 관련과제: LNG 생산기지...
2014-01-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남극 빙하 녹는 속도 2년 새 절반으로 신형철 박사(88석사)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 24차 남극세종과학기지 월동연구대장 [경향신문]
2014-01-0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삼척에 이어 두번째 2013년도 LNG 생산기지 현장조사 및 시료채집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번 야외조사의 목적은 천연가스 생산과정 중 저온의 LNG를 상온의 기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해수가 열원으로 사용되며 이 과정에서 실제의 해수보다 낮은 온도의 냉배수를 방출하게 되는데, 이런 냉배수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본 야외조사에서는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생물, 해조류, 규조류 분석 및 시료채집 등을 수행하였고, 부착생물의 생물상 조사를 위해 부착판을 부착하였습니다. 관련과제: LNG 생산기지 주변연안 공간관측 정밀조사용역 기간: 2013년...
2013-11-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3년도 울릉도 주변 생태계 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본 야외조사에서는 울릉도 생물상을 조사하기 위해 암반 조간대, 조하대의 저서생물, 해조류, 규조류 분석 및 시료채집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기간: 2013년 11월 11~15일 출장자: 송성준박사님, 박진순박사님, 서재환, 김수호 장소: 울릉도
2013-11-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3년도 2분기 선재도 시료채집을 수행하였습니다. 올해 6월부터 시작되는 과제의 일환으로 분기별 야외조사를 수행할 계획입니다. 이번 야외조사에서는 밀물, 썰물때에 맞춰 100m간격으로 총 1.6km에 해당하는 정점별 해수 및 퇴적물 시료를 채집하였습니다. 관련과제: 갯벌 조간대 저서미세조류의 시공간 거동특성 파악 기간: 2013년 10월 7~8일 출장자: 홍성진, 김민규, 서재환, 배한나, 김수호, 전승연 장소: 선재도
2013-10-0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강영철 박사 (제주오션, 88석사/98박사)
2013-09-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3년도 태안 유류오염지역 현장조사 및 시료채집을 수행하였습니다. 허베이 스프리트 사고 이후 잔존유류가 존재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현장에서 유징을 확인, 시료를 채집하였습니다. 구름포, 의항항, 신두리 지역에서 잔존 유류가 발견되었고 퇴적물 시료를 채집하였습니다. 관련과제: 유류 생물활성 성분의 독성확인평가 기술 개발 기간: 2013년 9월 9~10일 출장자: 홍성진, 서재환, 김수호 장소: 태안 연안
2013-09-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구환경과학부 김종성 교수님께서 지난 8월 30일, 중국 북경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 이하 CAS) 본원에서 중국과학원의 Wang Tieyu 교수님과 함께 2012 CAS International Cooperation Award for Young Scientists을 수상하셨습니다. 본 상은 중국 최고의 국가과학기술원인 CAS와 타국 연구기관의 국제공동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2011년에 제정하여 수여하고 있는 권위있는 과학상의 하나로 45세 미만의 젊은과학자 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기초연구, 생물학 및 생명공학, 자원 및 환경과학,...
2013-08-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 김종성 교수님께서 중국과학원(Chinese Academy of Science)의 Wang Tieyu 교수님과 함께 2012 CAS International Cooperation Award for Young Scientists의 수상자로 선정되셨습니다. 본 상은 중국 최고의 국가과학기술원인 CAS와 타국 연구기관의 국제공동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2011년에 제정하여 수여하고 있는 권위있는 과학상의 하나로 45세 미만의 젊은과학자만을 대상으로 합니다. 이번 수상은 그동안 두 연구팀이 지난 5년간 수행해왔던 황해(Yellow Sea)의 생태계 및 오염에 관한 공...
2013-08-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