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할 곳은 충청남도 서천의 금강하구 입니다. 서천군 서쪽에는 금강이 황해로 유입되어 생긴 넓은 하구역이 존재합니다. 드넓은 갈대밭과 농경지를 품고 있는 금강 하구역은 조석의 영향으로 인해 예로부터 독특한 생태계를 형성해 왔습니다. 하지만 1990년 건설 된 금강하구둑으로 인하여 수질악화와 더불어 하구역 수산업의 붕괴, 내/외측 토...
2015-09-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달의 바다/갯벌 코너에서 19번째로 소개할 곳은 강화 여차리 갯벌의 8월! 입니다. 지난번 16번째 바다여행컬렉션에서 강화도 여차리가 소개 된 이후로, ‘해양저서생태학 실험실’에서는 강화도 여차리 갯벌에 ‘7월 16-17일’, ‘8월 2일과 3일’. 두 번 더 다녀왔는데요!! 8월 2일과 3일 뜨거운 햇살이 내리쬐는 이틀동안에는 실험실 학생, 인턴 전원과...
2015-08-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탁 트인 하늘과 바다... 그리고 섬 - 금강하구의 6월 13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드렸던 금강하구 기억하시나요? 오늘은 6월에 다녀온 금강하구를 다시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금강하구의 여름(초여름??) 그 청량한 얼굴을 맞이 하시라! <하늘색.. 물색.. 정말 멋지지 않습니까?>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갈게요. 금강하구는 우리나...
2015-06-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5월17일~18일에 우리 연구진들은 갯벌 조사를 위해 강화도 여차리를 다녀왔습니다. 강화도 갯벌은 강화도 남단 길상면과 화도면 연안에 인접하여 발달한 갯벌을 가리키는데요, 초지대교를 건너 동막해수욕장 방향으로 가다보면 해안가를 따라 광할하게 펼쳐진 갯벌을 볼 수 있습니다. 강화도 남단 지역은 경기만 해역으로, 황해의 해수가 한강, 임진강, 예성...
2015-05-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5 번째 이달의 바다에서는 경상남도 거제시에 위치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와 통영앞바다를 다녀왔습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는 해양생태계 위해성평가 전문 연구 및 국내·외 해양과학전문교육훈련 기관으로써 1997년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우리 연구실과 유류오염 환경영향평가 및 환경복원 연구와 같은 여러 과업을 공동으로 ...
2015-03-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4번째 이달의 바다에서는 전남 여수시 삼일동에 위치한 신덕마을 해안가를 다녀왔습니다. 신덕마을 선착장에 배들이 한가롭게 떠 있네요. 신덕마을은 어촌계 135가구를 비롯한 모두 260여가구로 구성된 어촌마을인데요, 공동어업 구역에서 바지락 등의 패류, 미역이나 톳 등의 해초류, 그리고 우럭 등의 양식업이 주요한 수입원인 곳입니다. 그러나 지난 20...
2015-02-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13번째 이달의 바다에서는 전라도와 충청도의 도계 역할을 하는 금강 하구에 다녀왔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낙동강, 한강 다음으로 큰 강인 금강의 이름은 굽이쳐 흐르는 물길이 마치 비단결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합니다. 하지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옛 백제인들은 금강을 '곰강' 혹은 '웅진강' 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1990년 전라북도와 충청남도...
2015-01-0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달의 바다 11월 편!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인 새만금입니다 새만금은 군산에서 부안을 연결하는 세계 최장의 방조제로 33.9km에 달하며 1960년대 말 심각한 가뭄과 세계적인 식량 파동을 계기로 안정적인 식량자급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새만금의 뜻은 만경평야의 "만"자와 김제평야의 "금"자에 새롭게 확장한다는 뜻의 "새"자를 덧붙여 만든 ...
2014-11-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07년 태안 기름 유출사건을 기억하시나요? 지난 10월 28일부터 30일까지 우리 연구진들은 태안의 아픈 기억을 되짚어 보았습니다. 유류사고 전 맑고 아름다운 해변과 먹음직스러운 해산물로 많은 이들에게 큰 기쁨을 주었던 생명의 바다 태안 앞바다. 지금으로부터 7년 전, 인천대교 공사를 마치고 크레인 부선을 예인선이 거제로 끌고 가던 중 와이어가 끊어지면...
2014-10-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우리 연구실에서는 매년 6월경 서해 주요 하구역 및 연안 환경 조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008년 부터 수행된 이 조사는 올해 횟수로 7년째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2008년 첫 조사에는 중국과학원, 캐나다 사스캐쳐원 대학교와 공동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서해 뿐만 아니라 중국 보하이만을 포함하여 수행하였습니다. <2008년 서해연안조사 정점> 현...
2014-08-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달의 바다 8번째는 제주도 종달리 해변입니다. 작년에 이어 해양생물학 수업 야외조사를 위해 제주도 종달리 해변을 다녀왔는데요! 출발하기도 전에 작년에 다녀온 사람들로부터 "정말 신기하다, 생물 정말 다양하다, 재밌었다" 등의 반응을 들어 한껏 기대하는 마음으로 출발하였습니다. <단체사진 (왼쪽 위부터 전체, 1조, 2조, 3조)> 본격적인 생물...
2014-05-1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달의 바다 4월 편! 누구나 한번쯤은 가보고 싶은 물 맑고, 공기 좋은 강원도 삼척입니다. 개인적으로 삼척의 삼포해수욕장이라는 곳을 참 좋아하는데요.. 물이 참 맑고 파도도 적당해서 자주 가는 해변중에 하나지요. 우리 실험실에서는 1년에 4번 계절별로 삼척에 조사를 나갑니다. 조사 정점은 호산항, 비화항, 나곡항 3곳이고 각 정점에서 해조류, 규조류, 게...
2014-04-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