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14주차 실습 내용은 "어류 배아 노출 실험"입니다. <14주차-촬영현장> 어류는 아가미를 가진 수서 척추동물로 정의합니다. 전세계의 어류는 28,000여 종이 존재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모든 척추동물들을 다 합한 것 보다 많은 수 입니다. 어류의 조상은 초기 고생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자유 유영을 하던 원삭동물에서 파생되었습니다. 이후 턱이 없는 초기어류인 무악어류는 이후 현존하는 먹장어나 칠성장어로 진화하게 됩니다. 데본기 이후 턱을 가진 여러 어류 그룹들이 본격적으로 출연하였는데, 상어, 가오리와 같은 연골어류와 ...
2020-06-1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13주차 실습 내용은 “환형동물의 동정”입니다. <13주차-촬영현장> 환형동물문은 좌우대칭의 가늘고 긴 무척추동물을 말합니다. 해양환경에서 가장 우점하는 분류군 중 하나이며, 특히 연성저질의 조하대에서는 매우 높은 비율로 출현하는 생물 분류군 중 반 이상의 생물이 환형동물에 속합니다. 또한 다양성 역시 매우 높은 분류군이며 여과식자, 퇴적물식자, 육식자 등 다양한 섭식 유형으로 존재합니다. 환형동물에는 크게 갯지렁이라고 하는 다모강, 우리가 흔히 아는 지렁이나 거머리가 속해있는 빈모강으로 나뉩니다. 다모류는 뻘, 모래,...
2020-06-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12주차 실습 내용은 "절지동물의 동정"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3520" align="aligncenter" width="838"] <12주차-촬영현장>[/caption] 절지동물은 마디다리를 가진 무척추동물을 말합니다. 무척추동물문 중 갑각아문은 대부분 수생생활을 하며 두 쌍의 더듬이를 가진 절지동물입니다.  절지동물은 3배엽성, 좌우대칭, 선구동물, 진체강, 일부 종을 제외하고 체절이 존재합니다. 절지동물문은 크게 갑각아문, 협각아문, 다지아문, 육각아문으로 분류됩니다. 바다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절...
2020-05-2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11주차 실습 내용은 "이매패류의 동정"입니다. [caption id="attachment_23509" align="aligncenter" width="825"] <11주차-촬영현장>[/caption] 이매패류는 연한 몸과 외투막을 가진 동물문인 연체동물문에 속합니다.  그중 이매패강은 좌우 두 장의 단단한 패각을 가지는 연체동물입니다. 몸은 좌우대칭이며 외투막에 모든 연체부위가 둘러싸여 보호되고 있습니다. 특히 이매패류의 몸은 옆으로 납작하고 발도 납작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도끼 모양을 가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매패류는 서식지 ...
2020-05-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연두색 녹음이 주변을 푸르게 물들이는 계절의 여왕 5월이 되었습니다. 따뜻한 봄날이 코로나-19사태를 잠재워주길 바라며 글을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10주차 실습 내용은 “복족류 관찰”입니다. <10주차-촬영현장> 복족류는 현존하는 연체동물의 8개의 강 중 하나의 강으로 가장 많은 생물종이 포함되어있으며, 약 600여개의 과와 8만종 정도가 알려져 있습니다. 가장 최신의 분류는 2005년 연체동물학 학회지에 복족류과 분류와 명칭 이라는 이름으로 Bouchet 과 Rocroi이 발표한 논문에 수록되어 있습니다...
2020-05-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9주차 실습 내용은 “연체동물(다판류)의 동정”입니다. 연체동물문은 동물계에서 절지동물문 다음으로 많은 종을 포함하는 동물로 이번주 다판류를 시작으로 복족류, 이매패류 순으로 소개할 예정입니다. <9주차-촬영현장> 연체동물(Mollusca)은 연한 몸을 가진 동물이며 ‘부드러운’이라는 뜻을 가지는 라틴어 molluscus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종 다양도 및 풍부도가 높으며 3배엽성, 좌우대칭, 선구동물, 진체강, 일부 종을 제외하고 체절이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연체동물은 모두 8개의 강(미공강, 구복강, 단판강, 다판강, 굴족강, ...
2020-05-0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번 생물해양학 및 실험 7주차 실습 내용은 “자포동물의 동정”입니다. 실습 수업이 비대면 강의로 진행되어 촬영에 임한지도 어느덧 7주차가 되었습니다. [caption id="attachment_23249" align="aligncenter" width="1291"] <7주차-촬영현장>[/caption] 자포동물(Cnidaria)은 동물 분류상의 한 문(Phylum)으로 발생 과정에서 중배엽이 형성되지 않고 성체가 방사 대칭을 이루는 수서생물입니다. 자포동물은 배엽을 형성하는 동물의 7계통 중 하나이며 유일하게 외배엽과 내배엽인 2배엽으로 이루어진 동물입니...
2020-04-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생물해양학 및 실험 비대면 강의 수업이 벌써 6주차가 되었습니다. 이번 실습 주제는 “해면동물 동정”입니다. <6주차- 촬영 현장> 해면동물(Porifera)은 구멍을 뜻하는 ‘Por’와 가지다라는 뜻을 가진 ‘fera’로 만들어진 가장 원시적인 다세포 동물입니다. 모세관현상으로 수분을 빨아 드리는 해면동물은 고대 그리스 시대 때부터 현재까지 목욕용, 세척용, 청소용, 화장용 등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해면동물에 대한 채집->고정->관찰 순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해면동물을 채집 같은 경우 조간대에서 끌 또는 핀셋을 이용하여 직접 채집을 하고, 조하...
2020-04-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생물해양학 및 실험 5주차 실습 내용은 “중형저서동물의 동정”입니다. 실습 수업이 비대면 강의로 진행되고 있지만 내용을 보다 잘 알차게 전달하기 위해 이번 촬영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5주차-촬영현장> 중형저서동물(Meiofauna)은 1 mm 망목의 체를 통과하여 32 μm의 체에 걸러지는 크기의 모든 무척추동물 그룹입니다. 모래나 자갈 등 입자 사이에 사는 생물인 간극생물을 크기에 따라 구분한 생물 분류 중 하나이며 선충류, 저서성 요각류, 패충류, 복모동물 등이 해당됩니다. 중형저서동물 중 가장 다양성이 높고 우점하는 분류군은 선형동물(Nema...
2020-04-1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4주차 강의에서는 저번 주 해조류 동정에 이어 갯벌에서 1차 생산을 담당하는 염생식물에 대해 배우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수업을 제작함에 있어 동영상이라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실험을 알려드릴 수밖에 없는 한계를 조금이나마 극복하고, 좀 더 현장감 넘치는 수업을 위해 저희 벤토스 대원들은 함평과 증도의 갯벌에서 염생식물을 채집하고 이를 동영상에 담았습니다. <현장사진과 염생식물 채집> 더불어, 실습수업내용을 알차게 담고, 쉽게 설명하고자 저희 벤토스는 여러 문헌과 자료들을 뒤져가며 수업제작에 혼신의 힘을 담았습니다. <실습 영상 촬영 진행 모습> 생물해양학 ...
2020-04-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생물해양학 및 실험 3주차 실습 내용은 “해조류의 동정”입니다. 간접적으로 실습 수업 내용을 전달하기에 더 알찬 내용으로 준비했는데요. 지난주 촬영의 경험이 컸는지, 조금 더 안정된 모습으로 촬영을 진행했습니다. <3주차-촬영 현장> 해조류는 해양 생태계 내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해조류는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며 바다에서의 주된 일차생산자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또한 서식지 제공하며 어류의 산란장 및 성육장으로 해양생태계에서 아주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주와 마찬가지로 해조류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실습 방법에 ...
2020-03-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생물해양학 실습 수업은 평소대로라면 학생들이 직접 실험을 함으로써 생물해양학에 대한 지식들을 체득하는 시간입니다. 하지만 이번 학기는 비대면으로 강의가 진행됨에 따라, 간접적인 방법으로만 실험을 알려드리게 되어 이 한계를 어떻게 극복할지 고민이 컸습니다. 요리 레시피가 있다고 해도, 요리를 처음 하는 사람까지 요리를 다 잘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것과 비슷합니다. 실습 수업 내용을 보다 유익하게 잘 전달하기 위해, 저희는 실습에 대한 이론을 슬라이드 강의로 전달한 뒤, 저희가 실제로 실험하는 영상을 밀착 촬영하기로 하였습니다. 긴장하고 떨어서 3시간을 촬영했는데 실습 ...
2020-03-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