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enthos News
2022년 11월 1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가 열렸습니다.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는 해양 환경 및 에너지 분야 학생들의 연구 활동을 확장시키고 우수한 인재들이 학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매년 추계학술대회에서 공모전을 실시해왔습니다. 이번에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의 지원을 받아 사회적 팬데믹에 의한 연안환경 영향을 분석하고자 해양수산 미래연구 논문공모전을 시행하였습니다 . 본 연구실의 송현서 학생이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Marine Environment:...
2022-11-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1월 18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개최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과 함께 공동으로 주체한 논문공모전 시상식을 진행하였습니다. 작년부터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에서는 KMI의 지원을 받아 해양수산 분야의 미래 연구부문의 연구활동을 확장시키기 위해 ‘해양수산 미래연구 논문공모전’을 시행하고 있으며, 올해 논문주제는 “사회적 팬데믹에 의한 연안환경 영향 분석”이였습니다. 본 연구실의 권인하 학생은 “Review on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CO2 emission and Bl...
2022-11-1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1월 3일 강릉에서 개최된 한국해양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분과별 우수논문상이 수여되었습니다. 분과별 우수논문상은 물리와 화학, 생물, 지질의 4개 분과별로 전 해 발표된 논문들 중 우수논문을 선정하여 수상하는 것으로, 해양과학의 발전과 관련 연구자들의 사기 진작 및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된 상입니다. 본 연구실의 김동우 박사가 2021년 국제저널 “Ecological Indicators”에 게재된 “Patterns, drivers and implications of ascidian distributions in a rapidly deglaciating...
2022-11-0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22년 10월 6일, 해양환경영향평가연구단(해평단)에서 생물영향평가 파트를 담당하고 있는 저희 BENTHOS 연구실과 네오엔비즈가 제주도에 방문하였습니다. 이번 제주 방문에서는 탐라해상풍력단지에서 현장 메조코즘 실험을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예비 실험과 앞으로의 세부 계획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습니다. 날짜: 2022년 10월 6-9일 장소: 제주바다목장 다이브리조트 인원: 김종성 선생님, 이정현 박사님, 이창근 박사님, 김자영 작가님, 김범기, 박신영(서울대) 이정석 대표님, 강민호 과장님, 김재영 과장님, 장솔 과장님, 권은미 과장님(네오엔비즈) &...
2022-10-09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난 학기 우리 연구실에서 인턴으로 함께해 온 류윤정(석박통합과정), 이청재(석박통합과정), 서우성(석사과정) 학생이 2022년 2학기 서울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에 입학하였습니다. 입학을 축하드립니다.
2022-09-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이슈&스토리] 지구 온난화 위기 대안 '주목'… 인천시 '블루카본' 거점도시로 [출처] 경인일보 권봉오 교수(군산대, 박사12)
2022-07-22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네오엔비즈 - 최고의 친환경 바이오플락 양식기술 보유 [출처] 현대해양 이규태 박사 (90 박사), 이정석 박사 (90 박사)
2022-07-1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간 독성' 금강 남세균 독소…하굿둑 바깥 갯벌 굴·조개에도 쌓인다 [출처] 중앙일보 홍성진 교수(충남대, 14박사)
2022-06-2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본 연구실의 윤서준 박사가 창의도전기반연구기반지원 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교육부가 발주하고 한국연구재단에서 주관하는 과제로 대학 내 연구전담 계층에게 실패에 대한 두려움 없이 독립적 창의적 연구에 도전할 수 있도록 안정적 연구기회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축하합니다.
2022-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한국이 전세계 1위, 대한민국 바다에 관한 숨은 상식들 [출처] 프레시안 류종성 교수 (안양대, 97석사/06박사)
2022-05-3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WMO “지난해 온실가스 농도·해양 산성화 등 4개 지표 최악…역대 가장 더운 해는 시간 문제” 류종성 교수 (안양대, 97석사/06박사)
2022-05-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지구한바퀴] 비행기가 온다‥상괭이와 동백나무는 살 수 있을까? 2022.05.11/뉴스데스크/MBC 류종성 교수 (안양대, 97석사/06박사)
2022-05-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