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2월 이달의 생물은 ‘굴’입니다. 굴은 분류학적으로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굴목> 굴과에 속합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은 굴 Magallana gigas (Thunberg, 1793)이며 전세계적으...
2023-12-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민어
안녕하세요. 11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민어(Miichthys miiuy Basilewsky, 1855)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조기강>농어목>민어과에 속합니다. <민어,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민어의 형태적 특성을 보면 몸길...
2023-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상괭이
안녕하세요. 8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상괭이(Neophocaena phocaenoides Pilleri & Gihr, 1972)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포유강>경우제목>쇠돌고래과에 속합니다. <상괭이, 출처: The Kore...
2023-08-13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숭어
안녕하세요. 7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종은 숭어(Mugil cephalus Linnaeus, 1758)입니다.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조기강>숭어목>숭어과에 속합니다. <숭어(위). 가숭어(아래),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조선시대...
2023-07-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놀래기
2023년 6월 이달의 생물은 ‘놀래기’ 입니다. 놀래기의 학명은 Halichoeres tenuispinis (Günther, 1862)이며 분류학적으로는&nbs...
2023-06-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쥐노래미
2023년 4월 이달의 생물은 ‘쥐노래미’ 입니다. Hexagrammos otakii (Jordan & Strarks, 1895) 쥐노래미는 분류학적으로는 척삭동물문> 조기어강> 쏨뱅이목> 쥐노래미 속에 위치합니다. 회나 탕으로 요리하거나 말려서...
2023-04-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눈콩게
2023년 3월 이달의 생물은 ‘눈콩게’입니다. 눈콩게는 분류학적으로 절지동물문> 연갑강> 십각목> 콩게과> 엽낭게속에 속합니다. 성체의 갑각은 길이 6mm, 폭 8mm정도로 아주 작은 소형게입니다. 조간대 모래에 서식하며 한...
2023-03-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2023년 새해를 맞아 준비한 이달의 생물은 한국인이 사랑하는 수산물 “이매패강”입니다. 이매패강(Class, Bivalvia)은 연한 몸과 외투막을 가진 연체동물문(Phylum, Mollusca)에 속하며 두 장의 패각(껍질)을 가집...
2023-01-0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옴조개치레
2022년 12월 이달의 생물은 ‘옴조개치레’ 입니다. Paradorippe granulata (De Haan, 1841) 옴조개치레는 분류학적으로는 절지동물문> 연갑각강> 십각목> 옴조개치레 속에 위치합니다. 형태적 특징으로는 갑...
2022-12-26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참돔
2022년 11월 이달의 생물은 ‘참돔’입니다. 참돔(Pagrus major)은 분류학적으로 조기어강 > 도미목 > 도미과 > 참돔속에 속합니다. 도미과에 속하는 어류에는 참돔, 감성돔, 황돔, 붉돔 등등 다양한 어종이 있는데요. 그 중 가장 대표적인 ...
2022-1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비늘백합
2022년 10월 이달의 생물은 ‘비늘백합’입니다. 비늘백합(Mercenaria stimpsoni Gould, 1861)는 분류학적으로 이매패강 > 백합목 > 백합과 > 비늘백합속에 속합니다. 한국의 강원 연안, 세계적으로는 일본, 러시아, 쿠릴열도에 ...
2022-10-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동물
피뿔고둥
2022년 9월 이달의 생물은 ‘피뿔고둥’입니다. 피뿔고둥(Rapana venosa, veined rapa whelk)는 분류학적으로 신복족목 뿔소라과에 속합니다. 우리나라 밥상에 가끔 올라오기도 한 친근한 복족류입니다. <피뿔고둥, 출처: 해양저서생...
2022-09-1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