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
이달의 바다는 2월 출장을 앞두고 있는 새만금 간척지의 앞바다입니다. <새만금 앞바다> 새만금 간척지 앞바다는 전북 군산시 비응도동을 시작으로 전북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이르는 거대한 새만금 방조제 인근의 바다입니다. 새만금 간척지 앞바다에서 수행하는 저희 연구를 설명하기 앞서, 새만금 방조제 사업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새만금 방...
2020-0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경자년 흰 쥐의 해, 2020년 1월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드릴 곳은 경기만에 위치한 동검도 갯벌입니다. 동검도는 본래 섬이었지만 1985년에 강화도 남동단과 연륙교로 연결되어 육지화 되었습니다. 동검도는 본래 섬이었지만 1985년에 강화도 남동단과 연륙교로 연결되어 육지화 되었습니다. 섬 면적 1.61 km2, 해안선 길이 6.95 km이며 대...
2020-01-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해 동막
2019 마지막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해 드릴 곳은 바로 동막입니다!! 강화도 남쪽에 위치한 동막 갯벌은 갯끈풀(Spartina alterniflora)와 갈대(Phragmites australis) 두 염생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입니다. 이에 저희 Benthos 연구실에서는 블루카본 과제와 관련하여 유기탄소 분해능 평가를 위한 mesh-bag 실험을 9월에 설...
2019-12-01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증도, 무의도에 이어 세번째 무어링 조사 지역은 강화도에 위치한 분오리 갯벌입니다. <분오리 갯벌 전경> 이번 무어링 조사도 우리 Benthos 연구실과 인하대학교 연안해양관측연구실이 함께하였습니다. 지난 무어링 조사는 클로로필 센서, EM-유속계, 음향도플러유속계(Acoustic Doppler Current Profiler, ADCP)를 사용하...
2019-11-2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서해연안은 한반도의 서쪽 연안을 뜻하는 말로서 우리 Benthos 연구실에서는 남쪽의 전라남도 영산강 하구에서부터 북쪽의 경기만의 시화호까지 총 21정점에서 2008년부터 조사를 수행해왔습니다. 조사 항목은 물, 퇴적물, 토양 및 생물이고 화학적, 독성학적 분석을 통해 유기오염물질 및 중금속의 다매체 분포 및 거동, 생물축적, 그리고 토양 및 퇴적물의 잠재...
2019-08-27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대부도는 경기만에 위치한 섬으로 현재는 시화방조제로 연결이 되어 육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면적 40.34 km2, 해안선의 길이 61km의 섬이며 최대 9m의 조차를 보이는 대조차 환경을 갖고 있습니다. <광활한 대부도 갯벌 전경> <조사를 위해 갯벌로 향하는 Benthos 대원들> 대부도 갯벌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렇게 다양한 생물...
2019-07-04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가정의 달을 맞이하여 이번 5월 이달의 바다에서 처음으로 소개해 드릴 곳은 고파도 입니다. 고파도는 저희 Benthos 연구실에서 조사하러 주기적으로 방문하는 조사지인데요, 인적이 드문 곳이라 가족과 함께 조용한 ‘섬’ 여행을 생각하신다면 추천하고 싶습니다. <고파도 앞 바다 풍경> <상공에서 바라본 고파도> 출처...
2019-05-2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안녕하세요!! 이번 4월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해 드릴곳은 바로 함평만입니다!! 저희 Benthos 연구실에서는 블루카본 프로젝트와 관련하여 함평만을 지역을 정기적으로 조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함평만 가입리 갯벌지역은 파래(Ulva sp.)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이에 우리 Benthos 연구실은 이 파래가 갯벌퇴적물에 잠재적인 탄소유입원이 되는지에 대해 조...
2019-04-15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2019년 새해가 밝았습니다.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시길 바랍니다. 2019년 처음으로 소개드릴 이달의 바다는 서해 경기만에 위치한 무의도입니다. <상공에서 바라본 무의도 전경> 무의도는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에 있는 섬으로 인천국제공항의 남쪽에 위치하며 면적은 9.43km2, 해안선 길이는 31.6km입니다. 대략 850명이 거주하는 무의도는 ...
2019-01-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여러분은 갯벌을 주제로 하는 다큐멘터리에서, 혹은 해변가에서 직접 갯벌에 물이 차오르거나 빠져나가는 모습을 보신 적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사람의 관점으로 보는 밀물과 썰물은 단순하게 물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갯벌이었던 곳이 물로 덮이거나, 물 높이가 낮아지면서 바다였던 곳이 다시 갯벌로 변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물이 찼을 때(만조)와 빠...
2018-08-20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BENTHOS 연구진 중국 조사 대비, 강화도 생물 조사 준비완료! 이상무 이번에 소개드릴 이달의 바다는 강화도 입니다. 서울에서 가장 가까운 갯벌 중 하나를 꼽아보라면 강화도 갯벌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더군다나 Benthos 의 연구지로도 오랜 세월동안 모니터링 해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강화 갯벌을 지난 6월18일, 방문하였습니다. 특히 이번 강화갯벌...
2018-06-1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
5월 이달의 바다는 함평만입니다. 함평만은 전라남도 무안, 영광, 함평 3개의 군으로 둘러싸여 북서쪽으로 열린 좁고 긴 만입니다. 길이 19.5 km, 최대 너비 7.5 km이며 만의 내측에는 대도(大島), 소도(小島), 승도(升島)가, 만의 입구에는 항도(項島), 장고섬, 닭섬, 목섬 등 여러 섬들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해안은 침수해안으로 해안선의 굴곡이...
2018-04-28l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