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새만금 갯벌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l 2022-05-31l 조회수 1
6월 이달의 바다는 5월 현장조사를 다녀온 새만금 바다입니다. 이달의 바다를 구독하시는 분들이라면 익숙한 새만금은 전북 군산시 비응도동을 시작으로 전북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에 이르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방조제 인근에 위치한 바다입니다. 그림1. 새만금 개발의 역사[/caption] 새만금 방조제는 전라북도 만경강과 동진강, 두 강의 하구를 막은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33.9 km)로, 새만금 방조제 건설 사업 이후, 서울시의 2/3 면적(409 km2)토지가 형성된 사업입니다. 새만금 방조제 건설 사업으로 인해, 광활한 새만금 갯벌 면적은 감소되었으며, 이곳 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큰 변화가 있었다고 보고됩니다. 현재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1 km2에 연간 약 63억원으로 평가되는 것을 고려하면, 새만금 방조제 건설 사업은 갯벌의 경제 및 생태 가치를 모두 손실하게 만든 인간의 어리석은 행동으로 보여집니다. 그러나, 현재 정부는 새만금호 해수 유통을 통해 수질 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와 함께 방조제 내측 개발을 통하여 새만금 간척지의 활용 방안들을 고안하고 있습니다. 그림2. 새만금 방조제 배수갑문을 통해 유출되는 새만금호 담수[/caption] Benthos 연구진은 2014년부터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새만금호와 외측 갯벌 생태계 기능 연구를 진행하며, 방조제 내측 개발과 방류수 방출에 따른 영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해오고 있습니다. 금번 춘계 조사에서도 방조제 내측과 외측 갯벌(방류수 영향지 및 비영향지)에서 퇴적물 입도, 공극수 영양염, 저서미세조류 일차생산, 대형저서동물의 먹이원 활용을 모니터링 하였습니다. 새만금 갯벌은 계절적 환경변화와 함께 내측 개발 및 해수 유통량의 변화와 같은 다양한 영향을 받고 있어, 정확한 해석을 위해 다양한 요인에 대한 장기간 영향 관찰이 필수적으로 보여집니다. 자, 그럼 저희가 어떻게 조사를 사진을 통해 살펴보겠습니다.
그림 3. 새만금 방조제 외측 수층유기입자 채취
그림 4. 새만금 방조제 내측 수층유기입자 채집
그림 5.  저서미세조류 샘플 채취
장기간 모니터링 자료를 잘 활용하여, 방조제 건설이 새만금 갯벌 생태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차후 새만금 갯벌 관리를 위한 기본 자료를 제시하도록 Benthos 연구진은 계속 노력하겠습니다. 이만 글을 마치겠습니다. -글/그림 by BENTH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