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전라남도 여수바다
이달의 바다에서는 14번째 이달의 바다에서 소개했던 여수바다를 다시 한번 소개합니다! 2014년 1월 31일, 여수시 신덕마을 방파제와 해안에 전날 선박사고로 유출된 기름이 흘러들어 오염이 발생했었는데요, 다양한 방제작업을 통해 현재 육안으로 보이는 기름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표층을 걷어내면, 오염토가 조금씩 보이네요.
우리 연구실에서는 2015년 4월부터 KIOST와 협력하여 잔존유를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킬수 있는 기술을 파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신덕마을 해안가에 메소코즘을 설치하고 2주~한달 간격으로 샘플을 채집했습니다. 채집한 샘플로는 단각류 독성평가, 발광 미생물 독성평가, 유전자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한 내분비계 교란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2015년 11월 메소코즘을 철수한 뒤, 다시 실험현장을 방문했는데요!
원래는 메소코즘이 설치되어있던 현장이, 아직 간조시간이 되지 않아 물이 차있는 것을 볼수있었습니다. 함께 실험을 진행했던 KIOST 임운혁 박사님과, 우리 해양저서생태학 실험실의 김종성 교수님, 권봉오 박사님께서 현장에 다 모이셨네요~! 다같이 여수에 위치한 예울마루로 이동하여 실험결과를 논의하는 회의시간도 갖는 뜻깊은 하루였습니다.
환경오염 방지와 생태계 복원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는 우리 연구진! 그렇게 끊임없는 연구의 결과로서 사고로 오염된 생태계가 하루 빨리 복원되길 바랍니다!
하지만 표층을 걷어내면, 오염토가 조금씩 보이네요.
우리 연구실에서는 2015년 4월부터 KIOST와 협력하여 잔존유를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킬수 있는 기술을 파악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신덕마을 해안가에 메소코즘을 설치하고 2주~한달 간격으로 샘플을 채집했습니다. 채집한 샘플로는 단각류 독성평가, 발광 미생물 독성평가, 유전자 재조합 세포주를 이용한 내분비계 교란영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습니다!
2015년 11월 메소코즘을 철수한 뒤, 다시 실험현장을 방문했는데요!
원래는 메소코즘이 설치되어있던 현장이, 아직 간조시간이 되지 않아 물이 차있는 것을 볼수있었습니다. 함께 실험을 진행했던 KIOST 임운혁 박사님과, 우리 해양저서생태학 실험실의 김종성 교수님, 권봉오 박사님께서 현장에 다 모이셨네요~! 다같이 여수에 위치한 예울마루로 이동하여 실험결과를 논의하는 회의시간도 갖는 뜻깊은 하루였습니다.
환경오염 방지와 생태계 복원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는 우리 연구진! 그렇게 끊임없는 연구의 결과로서 사고로 오염된 생태계가 하루 빨리 복원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