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홍해삼
2025년 8월 이달의 생물은 ‘홍해삼’입니다.
홍해삼(Stichopus japonicus)은 분류학적으로 극피동물문 > 해삼강 > 바다오이목 > 홍해삼과 > 홍해삼속에 속하는 해양 무척추동물입니다.
바다의 홍삼이라고도 불리는 홍해삼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연안에서 서식하며, 몸길이는 10~30cm에 이르고 몸 표면은 돌기와 융기로 덮여 있어 거칠고 단단한 느낌을 줍니다.

<홍해삼,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먼저 홍해삼의 특이한 생태적 적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홍해삼은 해저의 유기물질을 먹고 사는 저서성 동물로, 입 주변에 위치한 촉수를 이용해 퇴적물 속 유기물을 섭취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해삼은 해저 표면을 끊임없이 정화하고 있으며, 해저 생태계의 '청소부'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홍해삼은 수온과 염분 변화에 비교적 강한 내성을 가지며, 얕은 연안부터 수십 미터 심해까지 다양한 해역에서 발견됩니다. 또한, 자극을 받으면 내장을 밖으로 뱉어내는 자절 행동을 통해 포식자로부터 스스로를 방어하기도 합니다. 이 내장은 이후 빠르게 재생되며, 홍해삼이 가진 뛰어난 재생 능력은 해양생물학 연구에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홍해삼, 출처: 국립수산과학원>
이제 홍해삼의 생태적 역할을 살펴보겠습니다. 홍해삼은 바닥 퇴적물을 섭취하면서 내부에서 소화하고 다시 배설함으로써, 해저 퇴적물의 입도와 화학적 조성을 바꾸고 산소를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생물교란 활동은 저서환경의 산화 환원 상태를 개선하여, 다양한 저서생물의 서식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홍해삼은 해저 생태계를 정화하고 안정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가진 생물로, 해양 생태계의 건강성과 회복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들의 독특한 생리적 적응과 생태적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연안 생태계의 보호와 친환경 양식 기술 개발에도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이것으로 2025년 8월 이달의 생물 ‘홍해삼’ 소개를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Conand, C., 1990. The fishery resources of Pacific Island countries. Part 2: Holothurians.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No. 272.2. Uthicke, S., 2001. Interactions between sediment-feeders and microalgae on coral reefs: grazing losses versus production enhancement.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210: 125–138. Purcell, S.W., Gossuin, H., Agudo, N.S., 2006. Status and management of the sea cucumber fishery of La Grande Terre, New Caledonia. WorldFish Center Studies and Reviews 1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