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식물] 홍조류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l 2025-07-01l 조회수 16
  <수중에서 촬영한 홍조류, 출처: earth.com>

  안녕하세요. 7월 이달의 생물로 소개할 주인공은 바다의 붉은 보석이라 불리는 홍조류(Rhodophyta)입니다. 홍조류는 식물계(Plantae)>홍조문(Rhodophyta)에 속하는 생물군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김과 우뭇가사리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Ismail et al.,2020). 최근 국내 김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홍조류에 대한 관심도 함께 높아지고 있습니다.

<하늘에서 본 김 양식장, 출처: 국제신문>
 
  홍조류는 단세포부터 복잡한 다세포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대부분은 우뭇가사리처럼 다세포성 구조를 이룹니다. 세포벽은 셀룰로오스를 기본으로 하며, 여기에 한천(agar)과 카라기난(carrageenan) 같은 점액질 다당류가 포함되어 있어 식품 및 바이오 산업에 널리 활용됩니다. 엽록체에는 엽록소 a, 피코에리트린(phycoerythrin), 피코시아닌(phycocyanin) 등 다양한 색소가 존재하여, 빛의 활용 효율이 매우 높습니다(Ismail et al.,2020). 특히 피코에리트린은 청색과 녹색광을 흡수하고 적색광을 반사하여 홍조류 특유의 붉은 색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수심이 깊은 곳에서도 효율적으로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홍조류는 빛이 약한 심해나 그늘진 암반 지역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며, 전 세계 온대에서 열대 해역에 이르기까지 넓은 분포 범위를 자랑합니다.
  생식 방식도 독특합니다. 홍조류는 배우체, 포자체, 감수자체의 삼세대 교번 생활사를 가지며, 일부 종은 감수 분열을 두 번 겪기도 합니다(Foley et al., 2013). 또 정자에 편모가 없는 비운동성 구조를 지녀, 일반적인 편모성 정자를 갖는 다른 조류와 뚜렷이 구별됩니다. 이러한 생식 구조, 광합성 방식, 그리고 부착 생활이나 석회질 축적 같은 생활 방식은 홍조류가 해양 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로서 기능하고,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처와 먹이원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합니다.

<현미경으로 관찰한 홍조류, 출처: 중앙일보>

이처럼 홍조류는 독특한 구조적 특성, 복잡한 생식 주기, 탁월한 광합성 능력, 넓은 지리적 분포, 그리고 해양 생태계에서의 생태적 역할까지 모두 갖춘, 과학적·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생물군입니다. 7월 이달의 생물 홍조류를 통해 바닷속 생물의 다양성과 생명의 경이로움을 다시 한번 떠올려보는 기회가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문헌>
1) https://en.wikipedia.org/wiki/Red_algae
2) Ismail, M. M., Alotaibi, B. S., & El‑Sheekh, M. M. (2020). Therapeutic uses of red macroalgae. Molecules, 25(19), 4411.
3) Foley, P.M., Kim, J.K., & Parulekar, S.J. (2013). Marine macroalgae: An untapped resource for producing fuels and chemicals. Biotechnology Advances, 31, 1346–1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