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우산종
안녕하세요. 10월에 소개해 드리고자 하는 이달의 생물은 바로 우산종(Umbrella species)입니다.
1. 정의
우산종(Umbrella species)은 특정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층에 있는 종으로 해당 종에 대한 보전 노력을 통해 그 종이 속한 생태계 내 하위의 많은 생물 종까지 보호 및 보전할 수 있는 경우를 지칭합니다. 우산종에는 서식지를 대표하는 잘 알려진 종이 주로 포함되는데요, 적절한 우산종의 선택은 보호구역의 선정 및 범위, 보호구역의 생태계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해양에서 우산종은 넓은 서식 범위, 서식처를 공유하는 생물종 수, 정착성, 낮은 개체군 가입률, 인류발생학적 요인에 대한 취약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됩니다.
2. 핵심종 및 지표종과의 차이
이처럼 생태계에서 중요한 보존가치가 있는 종을 지칭하는 말로 우산종 외에도 깃대종(Flagship species), 핵심종(Keystone species), 지표종(Indicator species) 등이 있습니다. 깃대종은 UNEP에 의해 제안된 개념으로 특정 지역의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로서 사람들이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종을 의미합니다. 핵심종은 특정한 한 종이 그 종이 속한 생태계 내의 종다양성 유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경우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지표종은 그 종이 서식하는 서식지와 주변의 특정한 환경을 지시적으로 나타낼 때 지칭하는 말입니다. 개념 혹은 의미는 모두 다르나 우산종, 깃대종, 핵심종, 지표종 모두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생물 혹은 종을 지칭한다는 점이 공통됩니다.
3. 대표적인 우산종
3.1 Humphead wrasse(Cheilinus undulatus) 인도 태평양의 산호초 서식지에 서식하는 대형 농어 종류인 Humphead wrasse (Cheilinus undulatus)는 IUCN Red list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있으며 서식처 파괴, 과도한 어획, 먹이원 감소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Humphead wrasse는 다양한 산호 군집과 공존, 넓은 서식처 면적, 어획에 대한 취약성에 의해 우산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우산효과는 우산종을 보호할 때 서식지 내 서식하는 다른 종까지 보존하게 된다는 의미다. 우산을 펴면 그 밑에 있는 모든 사람이 비를 함께 피할 수 있는 효과를 보는 것과 같다. 우산종의 보호는 해당 지역의 생태군집을 보호를 효율적으로 하게 해준다.
5. 관련용어
깃대종, 핵심종, 지표종 여기까지 이달의 생물 우산종(Umbrella species)에 대한 소개를 마무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글, 그림 by Benthos>
6. 참고문헌
Fleishman, E., Murphy, D.D., Brussard, P.F., 2000. A new method for selection of umbrella species for conservation planning. Ecol. Appl. 10, 569-579. King, M.C., Beazley, KF., 2005 Selecting focal species for marine protected area network planning in the Scotia−Fundy region of Atlantic Canada. Aquat. Conserv. 15, 367-385. Sadovy, Y., Kulbicki, M., Labrosse, P., Letourneur, Y., Lokani, P., Donaldson, T.J., 2003. The humphead wrasse, Cheilinus undulatus: synopsis of a threatened and poorly known giant coral reef. Rev. Fish. Biol. Fish. 13, 327-364.
1. 정의
우산종(Umbrella species)은 특정 생태계 먹이사슬의 최상층에 있는 종으로 해당 종에 대한 보전 노력을 통해 그 종이 속한 생태계 내 하위의 많은 생물 종까지 보호 및 보전할 수 있는 경우를 지칭합니다. 우산종에는 서식지를 대표하는 잘 알려진 종이 주로 포함되는데요, 적절한 우산종의 선택은 보호구역의 선정 및 범위, 보호구역의 생태계 구조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해양에서 우산종은 넓은 서식 범위, 서식처를 공유하는 생물종 수, 정착성, 낮은 개체군 가입률, 인류발생학적 요인에 대한 취약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게 됩니다.
2. 핵심종 및 지표종과의 차이
이처럼 생태계에서 중요한 보존가치가 있는 종을 지칭하는 말로 우산종 외에도 깃대종(Flagship species), 핵심종(Keystone species), 지표종(Indicator species) 등이 있습니다. 깃대종은 UNEP에 의해 제안된 개념으로 특정 지역의 생태·지리·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 동·식물로서 사람들이 보호해야 할 필요성이 인정되는 종을 의미합니다. 핵심종은 특정한 한 종이 그 종이 속한 생태계 내의 종다양성 유지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경우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지표종은 그 종이 서식하는 서식지와 주변의 특정한 환경을 지시적으로 나타낼 때 지칭하는 말입니다. 개념 혹은 의미는 모두 다르나 우산종, 깃대종, 핵심종, 지표종 모두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생물 혹은 종을 지칭한다는 점이 공통됩니다.
3. 대표적인 우산종
3.1 Humphead wrasse(Cheilinus undulatus) 인도 태평양의 산호초 서식지에 서식하는 대형 농어 종류인 Humphead wrasse (Cheilinus undulatus)는 IUCN Red list에 멸종위기종으로 등재되어있으며 서식처 파괴, 과도한 어획, 먹이원 감소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Humphead wrasse는 다양한 산호 군집과 공존, 넓은 서식처 면적, 어획에 대한 취약성에 의해 우산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3.2 Piping plover(Charadrius melodus) 북대서양 연안에 서식하는 물떼새 종류인 Piping plover (Charadrius melodus)는 조류사냥, 연안 개발로 인한 서식지와 산란지 파괴, 로드킬 등의 이유로 급격한 개체수의 감소가 보고되었습니다. Piping plover가 서식하는 지역을 함께 공유했던 종들도 이들과 함께 감소하였고, 제비갈매기류인 Roseate tern (Sterna dougallii)과 곤충의 딱정벌레 종류인 beach tiger beetle (Cincindela dorsalis dorsalis) 등 몇 종은 멸종위기종으로 등록되었습니다. 따라서, Piping plover의 보호는 연안 해변의 생태적 건강성을 증진시켜, 이 종과 관련된 다른 종들도 보호하는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됩니다.
4. 우산효과 우산효과는 우산종을 보호할 때 서식지 내 서식하는 다른 종까지 보존하게 된다는 의미다. 우산을 펴면 그 밑에 있는 모든 사람이 비를 함께 피할 수 있는 효과를 보는 것과 같다. 우산종의 보호는 해당 지역의 생태군집을 보호를 효율적으로 하게 해준다.
5. 관련용어
깃대종, 핵심종, 지표종 여기까지 이달의 생물 우산종(Umbrella species)에 대한 소개를 마무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글, 그림 by Benthos>
6. 참고문헌
Fleishman, E., Murphy, D.D., Brussard, P.F., 2000. A new method for selection of umbrella species for conservation planning. Ecol. Appl. 10, 569-579. King, M.C., Beazley, KF., 2005 Selecting focal species for marine protected area network planning in the Scotia−Fundy region of Atlantic Canada. Aquat. Conserv. 15, 367-385. Sadovy, Y., Kulbicki, M., Labrosse, P., Letourneur, Y., Lokani, P., Donaldson, T.J., 2003. The humphead wrasse, Cheilinus undulatus: synopsis of a threatened and poorly known giant coral reef. Rev. Fish. Biol. Fish. 13, 327-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