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동물] 낙지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l 2019-03-01l 조회수 1
안녕하세요. 3월 이달의 생물은 갯벌의 포식자인 낙지입니다.

낙지의 이름은 한자어로 보통 석거()라 하고 소팔초어()·장어()·장거어()·낙제()·낙체() 등의 이름도 있습니다. 방언에서는 낙자·낙짜·낙쭈·낙찌·낙치라고 하며 학명은 Octopus minor 입니다. 체장은 60㎝에 이르고 몸통·머리·팔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통 다리라고 생각하는 팔은 8개인데 몸집에 비하여 매우 길고 가지런하지는 않으며 몸의 표면에는 불규칙한 돌기가 있으나 매끈합니다. 둥근 주머니 같은 몸통 안에 각종 장기가 들어 있고 몸통과 팔 사이의 머리에 뇌와 한 쌍의 눈, 입처럼 보이는 깔때기가 위치합니다. 팔에는 1, 2열의 흡반이 달려 있고 팔 가운데 입이 있으며 날카로운 악판(: 연체동물의 인두 안에 있는 턱)이 들어 있습니다. 서식지는 얕은 바다의 돌 틈이나 진흙 속에 숨어서 살며 한국·중국·일본의 연해에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전라남북도 해안에서 많이 잡힌다고 합니다.

낙지 1

<전체적인 낙지의 모습>

출처: NAVER 지식백과

정약전(銓)의『자산어보』에는 “살이 희고 맛은 달콤하고 좋으며, 회와 국 및 포를 만들기에 좋다. 이것을 먹으면 사람의 원기를 돋운다.”, “한여름에 논 갈다 지치고 마른 소에게 낙지 네댓 마리를 먹이면 기운을 차린다”라 하였고 허준 (許浚)의『동의보감』에는 “성()이 평()하고 맛이 달며 독이 없다.”고 하였습니다. 오늘날에도 많은 사람들이 낙지볶음·산낙지회를 즐겨 먹으며 통째로 먹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지요. 낙지에 관한 속담은 대체로 낙지의 생태나 낙지를 잡는 행위와 관련된 것이 많습니다. 예를 들면 일이 매우 쉽다는 뜻으로 ‘묵은낙지 꿰듯’이라는 속담이 있고 제때가 되어야 제 구실을 한다는 뜻으로 ‘봄 조개, 가을 낙지’라는 말을 씁니다.

묵은낙지

<이른 봄철 산란으로 기력이 쇠한 묵은 낙지의 모습. 생의 마감을 앞둬 동작이 느린 편이라 잡기가 쉽다>

출처: NAVER 지식백과

평소 흐물거리는 모습과 먹거리로 만나게되는 낙지에게 포식자라는 단어가 어색해 보이지만 낙지는 조간대 환경에서 어류, 갑각류, 조개, 갯지렁이 등등 보이는 생물을 닥치는대로 잡아먹습니다. 길고 강한 다리를 이용해 먹이를 붙잡고 8개의 다리 사이에 있는 앵무새 부리와 같은 입으로 부수고 치설을 사용해 구멍을 뚫어서 먹습니다.

낙지입

<낙지 입의 구조>

출처: howstuffworks

목포와 무안의 명물로 알려진 세발낙지는 그 이름 때문에 발이 세개인 낙지라는 오해를 받기 쉬운데요, 사실 세발낙지의 이름은 다리가 가늘다 하여 붙여진 것입니다. 낙지와 이름이 다른 만큼 낙지와는 다른 종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는 섭취하는 먹이, 서식하는 환경 등으로 성장에 차이가 발생한 결과일 뿐 낙지는 모두 한 종이라고 합니다.

세발낙지

<다리가 보통 낙지보다 얇아 이름이 붙여진 세발낙지>

출처: 한국농어민신문

하지만 조개낙지와 집낙지는 낙지라는 이름을 갖지만 낙지와는 다른 종인 생물입니다. 조개낙지(Argonauta argo)는 조개처럼 껍데기가 있다 하여 이런 이름이 붙었고 수컷은 15 cm 정도이고 껍데기가 없다고 합니다. 암컷은 30 cm 정도로 수컷의 2배 크기이고 껍데기 속으로 자유로이 드나들 수 있습니다. 껍데기는 얇고 흰색이며 끝이 안쪽으로 말려들어가 있고 표면에는 굵은 방사상의 골(방사륵)이 있습니다. 방사륵 끝은 돌기를 이루어 가장자리 부분의 양쪽에서 대칭으로 줄지어 있으며 껍데기 입구는 좁은 달걀꼴이며 가늘고 깁니다. 집낙지(Argonauta hians)는 조개낙지에 비해서 작고 껍데기의 너비가 넓지만 돌기의 수는 적고 양옆에 날개 모양의 돌기도 없습니다. 조개낙지와 같이 암컷만이 배 모양의 투명한 껍데기를 가지며 크기는 약 12 cm이고 수컷은 암컷의 1/10∼1/20 크기라고 합니다. 한국·일본을 비롯한 세계의 아열대 바다의 표층에 분포하며 한국에는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조개낙지

집낙지

<조개낙지(위)와 집낙지(아래)의 모습>

출처: 두산백과

이상으로 3월 이달의 생물에서는 세발낙지부터 집낙지까지 다양한 낙지들에 대한 소개를 드렸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