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Benthos

[동물] 동죽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l 2015-09-01l 조회수 1
B18-1 지난밤 술을 거하게 하시고 오신 아버지… 아침이 되자 속이 쓰려서 우는 소릴 내십니다. 우리 어무이, 이를 보고 아버지 해장 메뉴를 고민하시는데…

B18-2 <보기만해도 시원해지는 동죽 조개탕>

우리 어무이의 비밀 필살 해장 시크릿은 바로 조개탕이었습니다. 항상 조개를 조금씩 시장에서 사다가 냉동고에서 얼려두어 아침에 청양고추를 쫑쫑쫑 썰여서 뭉근하게 끓여내면… 크아! 그야말로 시원함의 극치! 저도 가끔씩 생각이 나는 군요. 항상 어무이가 조개탕 해장감으로 최고로 쳐주던 조개가 있습니다. 그 당시 어무이는 모시조개라고 불렀었는데, 이제야 이 녀석의 이름을 제대로 불러보는 군요. 그 이름도 거룩한, 아니 시원한! ^^ 조개 바로 오늘의 주제 “동죽(Mactra veneriformis)” 입니다.

B18-3 <갯벌에서 캐낸 동죽>

동죽은 이매패강 백합목 개량조개과에 속하며, 조간대의 모래나 펄에 서식하는 서해안 일대에 많이 서식하는 조개입니다. 약 5cm 까지 자라는 비교적 먹을만(?)한 크기로 커지는 조개이기에 조개구이 집들에서도 구이감으로 심심치 않게 보셨을 것 입니다. 이 녀석들은 제법 빵빵하게 생긴 뽀얀 회백색 껍질에 둥근 검은 선들이 나 있습니다. 모시조개, 불통이, 물통조개, 동조개, 새조개 등등 다양한 이름으로 여러 지역들에서 불리우지만 모두 동죽을 의미합니다.

B18-4 <봉골레는 동죽이 제 격!>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유럽 등지에서도 동죽은 많이 서식합니다. 여러분 봉골레 파스타 아시죠? 많은 레시피들을 찾아보면 바지락을 넣어서 요리하는 것으로 나오는데요, 오히려 유럽 등지에서는 동죽을 넣고 파스타를 만든 답니다. 우리나라 근방에서는 바지락 생산이 더 많고 때문에 구하기 쉬워서 바지락으로 만드는 것일까요? 다음에는 동죽을 사서 한번 만들어 보시라! 유럽의 정취를 담아보시라! 동죽의 생태적 특징을 알아볼까요! 자 모두들 집중! 집중! 동죽의 학명은 Mactra veneriformis 입니다. 지구상 어디를 가더라도 ‘막트라 베네리포르미스’ 라고 하시면 동죽을 말하는 거에요^^. 서식지는 주로 조간대 갯벌의 모래나 펄에 살아요. 때문에 여름 서해안의 갯벌체험장에 가셔서 펄을 좀 훑다가 보시면 동죽을 발견하실거에요. 특히 서천군 월포리 주변에서 동죽이 매우매우 많이 서식한다고 하니, 언제 한번 구경 가시죠?

B18-5 <동죽 잡으러 출동!>

크기는 각장… 그러니까 폭으로 가장 긴 부분이 50 mm 정도 되구요, 각고… 음 이건 조개의 높이를 말하는 거에요. 한 45 mm 정도되는 녀석입니다.

B18-6 <동죽 샘플링>

동죽의 최적 생육수온은 수온은 20~28 도 입니다. 염분은 27~32 퍼밀 (Kang et al. 2014) 이 적정생육염도라고 하는데요, 여름철 전형적인 서해안의 바닷가가 이 녀석들의 최적 서식지라고 생각되네요. 6~11월 20도 전후가 되면 슬슬 산란을 하기 시작합니다. 동죽은 따로 짝짓기를 하지 않고 체외수정을 통해서 번식을 한다고 해요. 동죽의 정자와 난자가 만나서 수정란이 되면 수정 후 약 2-3주간 부유생활을 합니다. 그러다 저서로 내려가 저서생활을 시작하게 되는데요, 이 시기 즈음부터 치패로 불리는 어린 동죽 개체입니다. 저서생활 중에는 바닥 고형물에 일시적으로 부착한 후 저질 중에 잠입을 하게 됩니다. 포식자를 피해서 숨어서 생활하는 거지요. 수온 10도 이상을 유지하는 11월 중순까지는 계속 성장을 하구요, 12~2월 겨울철은 성장이 상대적으로 느린 시기에요. 추워서 활동을 하기 힘든가봐요. 약 1년생 동죽은 각장의 길이가 26 mm 내외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때부터 산란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빠르죠? 거참 빨리 성장하는 녀석들 입니다.

B18-7 <아낌 없이 주는 갯벌- 우리의 연구지 입니다^_^>

우리 연구실에서는 서해 금강하구 일대에 서식하는 동죽이 무엇을 먹고 성장하는 가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 입니다. 부유 유기물입자나 플랑크톤 등을 먹고 산다고 알려진 동죽인데요, 계절별이나 혹은 동죽의 크기별로 어떠한 먹이 그룹들이 더 기여도가 높은지가 저희의 관심 주제들 입니다. 이를 위해 동죽과 다양한 잠재 먹이원들을 서식지에서 샘플링 주기적으로 나가는데요, 이 샘플링을 해 온 시료들은 연구실에서 다양한 전처리 과정들 이후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거치게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동죽과 먹이원 간의 안정동위원소 탄소, 질소의 거동을 통해 먹이망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이구요. 재밌지 않나요? 궁금하시다면 연구실을 방문해주세요. 저희의 생태계의 먹이망 구조를 이해하는 방법들을 보여드릴게요^_^ 엄청 흥미진진 하답니다. 동죽만이 아니에요... 아직 더 실험하고 공부해야 하는 생물들은 무궁무진하거든요^^. 우리 연구실에서는 앞으로도 다양한 생물들의 먹이망을 이해하기 위한 도전들을 앞두고 있습니다. 해양생물을 더 알고 싶고 이들이 궁금한 분은 언제든지 물어보시라. 우리와 함께 바다 생물을 알고 공부할 사람...푸쳐핸섭! 우리가 달려가리다! 바다 지킴이 - 해양저서생태학 연구실 일동!!   <by Benth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