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nars & Lectures

[강의] 생물해양학 및 실험 3주-해양환경과 생물의 적응&저서미세조류의 분류, 채집, 표본제작및 동정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l 2025-03-18l 조회수 63

개강한 지 어느덧 3주 차가 되었습니다. 아침에는 눈이 내렸으나 수업이 시작될 무렵, 봄의 기운이 점점 더 느껴졌습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해양환경과 생물의 적응에 대해 배웠습니다. 해양에서 가장 중요한 환경 요소인 빛, 수온, 염분 조건과 이러한 환경에서 생물이 어떻게 적응하는지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먼저, 빛 환경에서는 광합성에 이용되는 빛을 나타내는 PAR(광합성활성복사)와, 이중 식물에 의해 흡수된 빛 에너지를 의미하는 PUR에 대해 배웠습니다. 수온과 염분에 대해서는 위도와 계절에 따른 수직 분포 및 변화 과정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 담수와 달리 염분 조건이 중요한 해수에서 생물이 어떻게 반응하고 적응하는지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었고, 해양 생태계와 육상 생태계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좀 더 명확히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 이론 시간에는 해양 생물 중 저서미세조류를 관찰하는 방법에 대해 배웠습니다. 저서미세조류는 수층 밑바닥에 서식하는 작은 크기의 광합성 가능한 단세포 생물로, 전 세계 해양에서 일차 생산량의 20%를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히, 한국 갯벌에 서식하는 저서미세조류는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생산성을 보여 그 중요성을 더욱 강조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세포외 분비물질인 EPS가 무엇인지, 규조류를 분류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배웠습니다. 실험 실습 시간에는 갯벌에서 패치를 샘플링하여 얻은 저서미세조류를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각 학생은 개별적으로 프레파레트를 제작하고, live cell을 관찰하면서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다음주 4주차에는 “생태학의 기본개념1과 염생식물의 분류, 채집, 표본제작 및 동정”에 대해 학습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