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생물해양학 및 실험 2주-해수의 성질, 해류, 조석&퇴적물 및 해수의 특성
따스한 봄바람이 불어오는 3월, 우리는 두번째 생물해양학 및 실험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오늘 수업에서는 해수의 특성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물의 특성, 그러한 물을 담고 있는 바다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또한, 해수의 물리적 성질인 밀도, 수온, 염분, 투명도 등에 대해 공부하였습니다. 해수의 온도, 압력, 염분, 광량 등은 위치에 따라 달라지며, 이러한 차이에 의해 각기 다른 수괴가 형성됩니다. 이러한 해수의 특성은 해양 생태계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해양 생물의 생존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수온과 염분, 빛과 같은 환경 요인은 생물에게 유리한 조건을 제공할 수도 있지만, 때로는 스트레스로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지만, 지형과 해양 환경이 지역별로 상이하여 해수의 특성 또한 크게 차이를 보입니다. 해수의 주요 특성으로는 수온, 염분, 용존산소량, pH, 영양염 등이 있으며, 환경 변화에 따라 이들 요소가 달라지게 됩니다. 따라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 가능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해수 특성을 꾸준히 모니터링하고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실습이론에서는 이상규 교수님의 해수와 퇴적물의 특성 및 실험 과정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해수의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개별적인 장비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여러 개의 센서를 결합하여 다양한 특성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장비(YSI)도 사용됩니다.
실험 실습에서는 YSI를 활용한 해수 특성 측정과 니질함량 분석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학생들은 직접 YSI를 사용해 해수를 측정하고,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수의 특성을 분석하는 경험을 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차이를 구분하기 어려운 물이지만, 측정 결과를 통해 그것이 담수인지 해수인지, 또는 어느 지역의 해수인지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로웠습니다. 이러한 측정 장비를 활용하면 수온, 염분, pH 등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해양 환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TOC 분석 방법, 니질함량 측정 및 계산 방법, 유기물 함량 측정 방법 등을 정리하며 학습 내용을 복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를 통해 오늘 배운 내용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험 결과를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실험이 끝난 후, 선생님께서 준비해주신 맛있는 피자를 함께 나누며 학생들 간의 친목을 다지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덕분에 더욱 즐겁고 뜻깊은 시간이 되었으며, 학생들은 생물해양학 실험에 대한 열정을 더욱 드러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해양환경과 생물의 적응, 저서미세조류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