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바다과학기행-금강하구
오늘 수업 주제는 금강하구입니다.
오늘의 게스트는 지난 시간에도 함께 해주셨던 노준성 박사님과 이번 시간에 새롭게 참여하게 된 윤서준 박사님입니다.
또한 매년 이슈화되고 있는 적조에 대해 적조란 무엇인가 그리고 적조를 구제하는 방법과 그 원리에 대해서 설명하였습니다.
또한 금강하구와 가까이 위치한 곳과 멀리 위치한 곳에서 각각 그랩으로 조사해본 생물 군집입니다. 하구에 가까워질 수록 빈 조개껍데기와 까맣게 썩은 듯한 퇴적물이 많고 멀수록 생물이 더 잘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고 이야기 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오늘 강의 또한 인간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진 구조물이 생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 그것에 대해 생각해보는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금강하구 조사 정점>
처음으로 보여드린 것은 저희 실험실에서 매년 여러 차례 조사를 나가고 있는 금강하구의 조사 정점입니다. 오른쪽에서 볼 수 있는 서천과 군산 사이의 하구를 따라 쭉 정점이 배치되어있고 외해로 갈수록 랜덤하고 더 넓은 간격으로 정점이 배치되어있습니다.
<그랩 중인 벤토스 대원>
이러한 여러 정점을 누비며 어떤 방식으로 샘플링을 해왔는지에 관해서도 이야기하였습니다. 해저 퇴적물은 그랩이라는 장치로 샘플링을 하였고 수중에 떠다니는 플랑크톤은 네트 등으로 채집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