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Media

[방송] 정관용의 지금, 이 사람-김종성 교수 서울대 지구환경과학과 : 해양생물학자에게 듣는 우리바다, 갯벌의 가치는?

해양저서생태학연구실l 2020-05-29l 조회수 1
5월 31일이 ‘바다의 날’ 이라고요?

우리나라는 통일신라시대 장보고가 청해진을 설치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 5월의 마지막 날로 바다의 날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저서생물은 무엇인가요?

갯벌의 표층과 그 밑에 굴을 파고 사는 생물을 말합니다. 이 굴을 서식굴이라고 하는데 서식굴은 수직으로 파고 들어가는 모습을 보이며,

독립된 방들도 가지고 있는 수직으로 발달한 방과 같은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갯벌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갯벌은 전체 2500㎢ 정도로 서해안 약 2100㎢, 남해안 약 400㎢ 정도입니다. 서해가 갯벌이 발달한 이유는 서해의 지형적인 특성과 여러 가지 해양학적 환경 때문입니다. 예를 들면 다량의 토사가 공급되어 퇴적물을 공급해 줍니다. 무엇보다 조차(밀물 썰물의 높이 차)가 커야 갯벌이 발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서해는 완만한 경사도를 갖기 때문에 조차가 크면 그만큼 땅이 넓어지게 됩니다. 서해의 갯벌은 갯벌 규모의 측면에서 단일화된 생태계라고 봤을 때 세계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황해의 갯벌은 면적, 규모면에서도 북해 와덴해의 약 5배 정도이고, 생물 다양성 측면에서도 와덴해의 1.5배 정도 높습니다. 아직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지 못했으나 그 가치만큼은 학문적인 관점에서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갯벌 연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나요?

갯벌 연구가 우리나라에서 시작된 것은 1980년대 이후입니다. 1960년대부터 대규모 간척사업을 시작하였고 사람들은 갯벌을 쓸모없는 땅, 우리가 마음대로 써도 된다는 인식이 많았으나 요즘은 갯벌, 바다를 개발보다는 보존하고 지키는 정책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갯벌의 경제적 가치는 얼마나 되나요?

90년대 말 외국의 경제학자들이 갯벌의 경제적 가치를 전 세계적으로 진행하였고, 갯벌이 농경지의 약 100배, 숲의 열 배, 그 정도의 경제적 가치가 있다는 것이 보고되었습니다. 우리나라 해수부를 중심으로 갯벌의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들이 지난 14년 동안 계속 진행되어 우리나라 갯벌 1㎢ 당 경제적 가치는 약 63억 원이다, 우리나라 전체 갯벌의 가치는 연간 16조 원이다, 이러한 자료도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은 그것보다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갯벌의 가치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갯벌의 조절 능력이 무엇인가요?

오염물질들이 갯벌을 지나면서 정화가 됩니다. 갯벌에 사는 저서생물들은 서식굴을 파고 사는데 하루에도 두세 번씩 굴을 파고 그 안에 있는 더러운 것들을 바깥으로 내놓고 땅을 뒤집는 역할을 합니다. 이것을 학술적으로 생물교란현상 이라고 합니다. 또한 생물, 미생물, 식물들이 오염물을 분해, 정화하는 능력이 큽니다.

두 번째 조절 능력은 갯벌이 탄소를 침적해 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 최근 연구되고 있습니다. 반영구적으로 갯벌이 탄소를 대기나 해수층으로부터 격리한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을 블루카본이라고 합니다. 우리 갯벌 같은 경우, 식물이나 갯벌에 사는 조류들이 장기간 이 탄소를 해저 밑바닥으로 가지고 들어가면 이것이 바깥으로 나오지 않는 이상 이산화탄소가 제거되었다고 보는 개념입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이 되는 이산화탄소를 처리해 주는 것입니다.

갯벌을 다시 복원할 수 있나요?

갯벌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자연을 망가뜨리기는 쉬워도 다시 복원하기는 10년, 20년 이상 걸리기 때문에 상당히 어려운 문제입니다. 다행히 우리나라에서 2019년 갯벌법이 통과되었습니다. 갯벌법이 지정되면서 올해 14개 지역 이상에서 복원이 진행되고 있고, 향후 10년 동안 약 3㎢의 갯벌이 복원될 계획입니다.

 

  • 본 영상은 [2020.05.29. KBS 라디오 정관용의 지금, 이 사람] 의 일부 영상으로 현재와 다를 수 있으니 참조 바랍니다.

  • 링크  https://program.kbs.co.kr/1radio/radio/nowhuman/pc/board.html?smenu=906dc8&bbs_loc=R2018-0042-03-705377,list,none,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