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회] 제 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30)
블루카본 기반 기후변화 적응형 해안조성 기술개발 연구단(블루카본사업단, 단장 김종성 서울대 교수)이 11월 10일부터 21일까지 브라질 벨렘에서 개최된 제 30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이하 COP30)에 참석해 갯벌 블루카본 국제인증을 위한 활동을 펼쳐 주목받고 있다.

<브라질 벨렘>

<한국홍보관에서 블루카본사업단 연구진 단체사진>
블루카본사업단은 먼저, 11월 10일 COP30 한국홍보관에서 비식생 갯벌과 해조류의 블루카본 국제인증을 추진하기 위한 부대행사 ‘How do Tidal Flat and Seaweed satisfy the IPCC Criteria for New Method?’를 개최하였다. 이 행사는 해양수산부와 블루카본사업단 주관, 국립군산대학교와 한림대학교 공동주최로 진행됐다. 이날 서정호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 권봉오 국립군산대 교수, 김승도 한림대 교수, 윤서준 서울대 교수, Tomoyuki Aizawa UNFCCC Transparency Division, Atsushi Watanabe Ocean Policy Research Institute, 한종원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실장 , 여기동 해양환경공단 본부장과 국내외 관계자들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본 블루카본 부대행사에서는 블루카본 유력 후보군인 갯벌과 해조류의 IPCC 신규 방법론(MRV)의 기준 충족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블루카본 부대행사 단체사진>
이날 부대행사에서는 서정호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과 여기동 해양환경공단 본부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비식생 갯벌과 해조류를 주제로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해양수산부 서정호 실장님 개회사>
첫번째 발표는 서울대학교 윤서준 교수님께서 'Tidal flat'을 주제로 발표 하셨습니다.

<발표 1: 서울대학교 윤서준 교수님>
두번째 발표는 국립군산대학교 권봉오 교수님께서 'Seaweed'를 주제로 발표 하셨습니다.

<발표 2: 국립군산대학교 권봉오 교수님>
이날 토론 세션에서는 Tomoyuki Aizawa(UNFCCC Transparency Division), Atsushi Watanabe (Ocean Policy Research Institute), 그리고 한종원 실장님(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패널로 참석하였고, 한림대 김승도 교수님이 좌장으로써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블루카본 부대행사 토론 주제:
① 갯벌(또는 해조류) 블루카본 발표 내용과 향후 어떤 방향의 연구가 필요할지에 대한 의견 또는 코멘트?
② '관리 토지'에서의 모든 CO₂ 배출 및 흡수를 인위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원칙이 어떻게 적용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③ 이러한 결과들을 가지고 IPCC 국제인증을 받기 위해 어떤 국제협력 방안이 필요할지?

<블루카본 부대행사 토론세션 모습>

<블루카본사업단 권인하 박사 사회>
특히 이날 부대행사에서는 올해 10월 27일에 열린 ‘제63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총회’에서 비식생갯벌, 해조류, 조하대퇴적물 등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방법을 다룬 보고서의 기본 틀(개요)을 승인과 신규 블루카본의 국제 검토 본격화를 발표하였습니다. 앞으로도 우리 연구진은 갯벌과 해조류가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그날까지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