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숍] 2020년 새만금 연구진 워크숍 및 전문가 자문회의
“새만금 연구진 워크숍 및 제 15차 과학위원회”가 지난 11월 11일 부산 해운대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개최되었습니다.
금번 “새만금 연구진 워크숍”은 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해 넓은 공간의 발표장에서 연구진 전원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키며 마스크를 꼼꼼히 착용하고 안전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코로나 방역 조항들을 엄격히 지킨 연구진 워크숍 장소>
각 기관별 발표자 및 자문위원은 다음과 같습니다.
<11월 11일 기관별 발표자 명단>
이름 | 기관 |
류종성 | 안양대학교 |
김도형 | 서울대학교 |
권봉오 | 군산대학교 |
김재성 | 워터앤에코바이오(WEB) |
조영헌 |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황대호 | ㈜한국물관리정책연구소 |
이번 “새만금 주변해역 해양환경 및 생태계 관리 연구개발“과제 연구진 워크숍에서는 각 기관에서 진행되었던 연구성과를 발표하고 분야별 전문 자문위원님들의 의견을 듣는 순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과제를 진행하면서 보완해야할 사항들과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심층적인 토의가 진행되었습니다.
1. 안양대학교(류종성 교수님)
: 먼저 안양대학교 류종성 교수님께서 새만금 외해역1) 인공위성관측을 기반 수질 장기간 변동과 2) 유영 및 저서생태계 군집변화에 대한 발표로 연구진 워크숍을 시작하셨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공위성 기반한 수질자료(식물플랑크톤 생물량, 용존산소 등.)를 통해 새만금 외해역의 장기간 수질 변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 확인
-새만금 해역 유영생물은 지속적 어류 개체군이 가입할 수 있는 잠재력 유지
-새만금 신시 및 가력 배수갑문에 위치한 저서생물의 군집구조에서 교란상태 관찰됨
<인공위성 기반 새만금 해역별 수질 장기간 변동 결과>
<새만금 조하대 저서생태계 군집분석 결과>
2. 서울대학교(김도형 박사과정)
: 두번째로 서울대학교 김도형 박사과정 학생의 “새만금 외해역 해양지질 및 퇴적환경”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었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만금 해역은 전반적으로 침식작용이 우세하며, 특히 하∙동계에 침식률이 높게 나타남
-새만금 방조제 건설 이후 계절별 지형 변동성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됨
-연도별 계절 변동성 규모와 변동양상이 상이하므로 연속적 장기적 관측필요
<발표중이신 서울대학교 김도형 박사과정생>
<퇴적환경분야 연구목표>
3. 군산대학교(권봉오 교수님)
: 군산대학교 권봉오 교수님께서 “새만금 갯벌의 생태계 기능”에 대한 내용으로 세번째 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만금 방조제 내측 부유입자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는 부영양화 영향을 반영함
-방류수 유입에 따라 퇴적물과 저서미세조류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가 변화함
-대형저서동물의 먹이원 활용은 방류수의 잠재적 영향을 나타냄
-저서미세조류의 일차생산은 퇴적물내 규산염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냄
-방류수 유입은 새만금 갯벌 생태계 기능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남. 따라서, 지속적인 생태계 기능 모니터링을 통한 효율적인 갯벌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함
<발표중이신 군산대학교 권봉오 교수님>
< 새만금 갯벌 저서미세조류 생물량 및 일차생산량 공간 분포>
<새만금갯벌 여과섭식성 바지락 잠재적 먹이원 활용>
4. 워터앤에코바이오, WEB(김재성 박사님)
: 워터앤에코바이오 김재성 박사님께서 “새만금 외∙내해역 수질 및 부유생태계 모니터링”에 대한 내용으로 네번째 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만금 해역 수질은 강우 강도 및 방류에 의한 영향을 받음
-방류수 유입에 따라 퇴적물과 저서미세조류의 질소안정동위원소비가 변화함
-새만금 내측 수역의 수질, 생태환경은 해수 유입에 따른 영향을 받음
-새만금 내측 수역에 해수 유출입시(현행) 적조, 담수화시 녹조 발생 불가피함
<발표중이신 워터앤에코바이오(WEB) 김재성 박사님>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량 변화에 따른 수질 및 부유생태계 환경변수 공간 분포>
<배수갑문을 통한 해수유통량 변화에 따른 새만금 해역 적조 발생 시계열 분포>
5. ㈜한국물관리정책연구소(황대호 박사님)
: 마지막 발표로 ㈜한국물관리정책연구소 “새만금유역 및 새만금호 환경관리 현황분석과 시사점 도출”에 대한 내용으로 네번째 발표를 진행하셨습니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새만금 호내 환경오염사고(물고기 폐사, 해파리, 적녹조, 비산먼지 등)의 가장 큰 원인은 해수유통량 감소로 인한 환경변화가 원인으로 추정됨 -새만금 상류유역에는 축산계 중심의 비점오염부햐량이 증가하고 있어, 향후 새만금 상류유역 수질개선에 한계가 있을 것으로 사료됨
<발표중이신 ㈜한국물관리정책연구소(황대호 박사님)>
다시 한번 이번 2020년 제2차 생태계기반 해양공간분석 및 활용기술 개발 연구진 워크숍을 위해 소중한 시간을 내주신 모든 참여 연구진 분들께 감사드립니다.